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024
한자 衣生活
영어공식명칭 Clothing Habit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형동

[정의]

강원도 철원군 사람들이 착용하여 온 의복과 관련된 생활상.

[개설]

강원도 철원군에서 의생활은 식생활, 주생활과 함께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의생활은 기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생활양식에 따라서도 제약을 받는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을 통하여 들어온 양복과 양장이 서서히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6·25전쟁 이후로는 나일론을 소재로 하는 의복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전개된 ‘새마을운동’, ‘신생활 재건운동’은 의복에도 영향을 끼쳐 남성 복장으로는 작업복 스타일의 ‘재건복’을, 여성 복장으로는 ‘신생활복’을 간소화한 의복으로 권장하였다. 그 결과, 양장이 일상복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한복은 의례를 치르는 때에만 입게 되었다. 최근에는 의례를 치를 때에도 한복을 입는 일이 드물다.

철원군의 의생활에서 지역적인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으며 일반적인 우리나라 의생활의 특징과 변천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종류]

철원군에서 과거에 전통적으로 입었던 옷은 한복이다. 한복은 언제 입느냐에 따라서 평상복, 예복, 상복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근래에는 대체로 예복이나 상복, 혹은 제례복으로만 입는다. 누가 입느냐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남자 의복으로는 바지, 저고리, 마고자, 두루마기, 도포, 토시, 버선, 대님, 행전 등이 있다. 현재는 도포 정도만 제사를 지낼 때 간혹 입는다. 여자 의복으로는 저고리, 치마, 배자, 단속옷, 장의, 적삼, 버선 등이 있다. 자녀들이 혼인할 때 어머니들은 한복을 입는 경우가 가끔 있다. 아이 의복으로는 아이가 태어나기 직전에 배안에옷[배냇저고리]를 만든다. 배냇저고리는 깨끗한 무명이나 아버지의 옷을 활용하여 만든다. 배냇저고리에는 옷고름을 따로 만들지 않는다.

[변모]

의복의 종류를 나눌 때에 소재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소재로는 모시와 삼베, 명주와 목화 등이 쓰인다. 강원도에서는 목화를 많이 재배하지 않았으나 삼베와 명주는 많이 생산하였다. 의복을 스스로 만들어 입었던 과거에는 집집마다 직물을 짜는 도구들이 있었다. 밭에서 키운 삼을 삼베로 짜기 위해서는 돌갯[돌꼇], 물레, 베틀 등의 기구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합성섬유를 활용한 옷들이 대량으로 생산되면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의복을 만드는 일은 거의 사라졌고, 직접 만들어 입기보다는 가게에서 사서 입는 식으로 변화하였다.

요즈음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혼인을 치르는 경우를 제외하면 예복으로 한복을 입는 경우도 많이 사라졌다. 상복의 경우도 검은색 양복 등으로 대체되면서 간략하게 건, 상장, 완장 등만을 찰 뿐이다. 제례복의 경우에도 시제 등의 행사를 제외하면 전통적인 의복으로 갖춰 입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