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033
한자 地境木
영어공식명칭 Jigyeongmok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형동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서 집터를 단단하게 다질 때 사용되는 통나무.

[개설]

전통적인 방식으로 집을 지을 때에는 먼저 기반이 되는 집터를 단단하게 다지는 기초공사를 하게 된다. 이 작업을 ‘지경다지기’라고 하고, 땅을 다지는 데에 쓰이는 큰 나무를 ‘지경목’이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지경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서는 지경목을 사용한다.

지경다지기는 땅을 다지는 기초공사의 의미를 넘어 의례적인 성격도 띠고 있다. 집터를 관장하는 지신(地神)을 잘못 건드리면 재앙을 받는다고 믿어 지경다지기를 할 때에는 고사를 지냈다.

[연원 및 변천]

지경목을 언제부터 사용하였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현재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집을 짓지 않으므로 지경목을 사용하는 경우를 보기 어렵다.

[형태]

지경목은 높이 1m, 지름 1m 정도 되는 통나무로, 그 허리에 새끼줄을 매고 새끼줄로부터 10여 개의 발을 낸다. 이 발을 여러 장정이 일정한 구호에 맞춰 당겼다가 놓으면 지경목이 공중으로 솟았다가 떨어지면서 땅을 다지게 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지경다지기는 지경목을 사용하여 땅을 다지는 일이라 땅을 관장하는 지신의 노여움을 살 수도 있기에 미리 고사를 지내어 액을 방지한다. 지신이 활동하는 시간이 밤이므로, 저녁에 횃불을 밝히고 집주인이 제주가 되어 축문을 읽고 고사를 지낸다. 지경을 다질 때는 지경다지기소리가 곁들여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2011년 상노리에서 불리는 지경다지기소리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서비스하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웹서비스에 ‘지경소리/땅다지는소리’라는 이름으로 채록되어 있다. 상노리에서는 철원 상노리 지경다지기가 민속놀이로서 전승되고 있는데, 2000년에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철원군지증보편찬위원회, 『철원군지』上·下(철원군, 1992)
  • 한국구비문학대계(https://gubi.aks.ac.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