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337
한자 洞祭
영어공식명칭 Religious Ritual for the Village Tutelary Spirit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명희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동제라는 말은 동신제, 동제, 마을 제사 등으로 불리며 지역에 따라서는 산신제, 서낭제, 용신제, 당산제, 도당굿, 당굿 등으로 불린다. 기본적으로 동제는 천신제의 역할을 포함한다. 오랜 옛날부터 가을에 가을걷이를 마치면 천신에게 감사의 제를 올린 것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천신, 산신, 토지신, 용신, 부군신 등이 위하는 대상이 되며 날짜는 정월이나 시월에 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동제의 제의 방식은 크게 유교식과 무교식을 나눌 수 있는데, 유교식은 마을에서 적당한 사람을 뽑아 유교식의 제의 절차를 수행하고, 무교식은 마을 기금 등으로 무당을 불러서 굿을 한다. 철원 지역에서는 두 가지 방식 모두 행하여졌다.

[연원 및 변천]

동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마을 공동체가 오랜 기간 지속해 온 민속 의례이다. 강원도 철원군에서는 산업화 이후로 마을 인구가 고령화되거나 도시 등지로 이주하면서 동제를 지내는 마을이 점차 줄고 있어 예전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2019년 현재에도 철원 지역에서 동제를 지내는 이길리, 문혜리 등의 마을도 규모와 참여 인원이 예전 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동제를 올리는 마을에 서낭당, 산제당 등의 신당이 있는 경우가 있다. 신체로는 마을 뒷산의 오래된 나무, 큰 바위 등 자연물이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절차]

동제는 제삿날을 정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제삿날은 보통 정월 열나흗날[음력 1월 14일]에 지내는 경우와 시월상달에 날을 정하여 올리는 경우가 있다. 날이 정해지면 이어서 제관을 뽑는다. 생기복덕을 가려서 부정하지 않은 부부를 골라 제관으로 정하는데, 제관의 수는 한 명에서 두세 명까지 마을의 형편에 따라 뽑는다. 제관으로 뽑히면 금기를 지켜야 하는데, 마을에 따라 일주일에서 보름까지 집 밖 출입을 삼가고 근신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고기를 먹지 않고 부부 생활도 금하며, 문 앞에는 금줄을 치고 황토를 깔아 부정을 미리 방지한다. 금줄과 황토는 제당 앞에도 똑같이 치거나 깐다.

그 다음으로 제관들은 제물을 장만한다. 제주의 집을 도가라고 하는데 제의에 차려 놓을 음식을 만든다. 주과포, 고기, 술, 떡 등을 만드는데, 술은 예전에는 서낭당 앞에 단지를 묻고 만들어 동제 당일에 제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사서 쓴다.

준비가 끝나고 제의 당일이 되면 제사를 올린다. 보통 닭이 울기 전에, 부정한 것을 보기 전에 제당에 올라가 제의를 시작한다. 이때 제관들은 목욕재개하고 참여한다. 초헌, 아헌, 종헌을 하고 축을 읽고 소지를 올린다. 이때는 가가호호 소지를 모두 올려 주며 가정에 있는 소나 돼지 등 가축의 안녕을 위한 소지를 올리기도 한다. 이후 모두 모여 음식을 함께 나눠 먹으며 제의를 마친다. 마을회관이나 제관의 집으로 돌아와 동회를 열어 결산을 마치기도 한다.

[부대 행사]

동제를 마치면 풍물굿을 치며 마을을 돌기도 한다.

[현황]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에 사는 오O천[1939년생]에 따르면, 대덕봉 아래 큰 소나무가 있어 그 아래에서 산신제를 지냈다고 한다. 제일은 중구일[음력 9월 9일]이며 제관은 마을 회의를 거쳐 그 해에 부정이 없고 깨끗한 사람, 부인이 제의 당일에 월경 주기가 아닌 깨끗한 사람을 각각 제관과 도가로 선출한다. 도가는 나누어 낸 제사 비용으로 돼지 한 마리, 백설기, 막걸리 등의 제물을 준비한다. 철원의 금학산울음산의 산신령은 여신으로 알려졌으며 유교식으로 제의를 올렸으나 1990년대에 들어 소원해지고 2000년도에 들어 완전히 사라졌다. 중구절에 제를 올리는 이유는 중구절 무렵에 추수가 모두 끝나 연중 가장 풍요로운 때였기 때문이다.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의 토박이 이O강[1934년생]에 따르면 산제모시기라고 하여 중구일에 마을 한가운데에 있는 제당에서 제의를 올렸다고 한다. 제당은 1950년대 이후 개축한 제당이고 내부에는 폐백만 남아 있다. 산신의 성별은 여신이다. 제의 준비는 음력 9월 초하루에 회의를 통해 생기복덕을 봐서 부정하지 않은 사람을 도가로 정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도가가 정해지면 막걸리를 만들어 아흐레 동안 익히고 제물을 마련하여 도가가 제관의 역할을 하며 제의를 진행한다. 축은 없고 소지만 올렸다. 제물은 돼지 한 마리, 팥시루떡, 메, 막걸리 등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마을신앙에 대한 관여가 없었으나 인공 치하에서는 미신 타파를 이유로 동제를 행하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8·15 광복 이전, 인공 치하 이전까지 동제를 지내다가 중단되었고, 수복 후에 재개하여 계속 지내 오다가 2012년부터는 다시 중단되었다. 수복 후에 재개하면서부터는 여성도 동제에 참여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철원군 근남면 육단리의 박O호[1938년생]에 따르면 근남면 사곡리에서 마현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서낭당이 있어,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수시로 돈이나 돌로 제물을 올리고 기원하였다고 한다. 소나무를 신체로 하여 헝겊으로 꾸민 성황당이 존재하였으며 그 앞을 지나갈 때 동전을 던지거나 돌무더기를 쌓아 올렸고 침을 뱉기도 하였다.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에서는 산제사를 지내 왔는데, 이는 이길리를 둘러싸고 있는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올해 농사를 짓게 해 주셔서 감사하다는 마음을 표현하는 의례이다. 제물로는 돼지머리, 대추, 밤, 사과, 배, 북어포, 곶감 등을 썼는데, 당일 새벽에 일어나 음식을 손질한다. 등산로 끝자락에 있는 쉼터에 제물을 차려 놓고 나서, 절을 하고 산신에게 축사를 올린다. 그 후에는 음복을 하고 고시레를 하여 간단히 치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