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내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149
한자 邑內里
영어공식명칭 Eupnae-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강원도 김화군 군내면 읍내리로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17년 - 강원도 김화군 군내면 읍내리에서 강원도 김화군 김화면 읍내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4년 - 강원도 김화군 김화면 읍내리에서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 읍내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1월 1일 -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 읍내리에서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가구수 27세대
인구[남/여] 31명[남 28명|여 3명]

[정의]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철원군 김화읍의 북부 중앙에 있으며, 동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감봉리, 서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도창리, 철원군 근북면 유곡리, 금곡리, 남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생창리, 북쪽으로 군사분계선과 접하고 있다.

[명칭 유래]

김화군 군내면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김화군청이 소재하고 있어서 김화읍내, 읍내(邑內)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강원도 김화군 군내면 상리, 중리, 장동, 성주동, 샘내와 김화군 초북면의 이현, 찰청동 등을 병합하여 강원도 김화군 군내면 읍내리로 개설되었다. 1917년 군내면이 김화면으로 개칭되어 강원도 김화군 김화면 읍내리가 되었다. 1944년 김화면이 김화읍으로 승격되어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 읍내리가 되었다. 1945년 8·15 해방 이후 북한 지역에 속하였고 6·25전쟁 이후 수복되었다. 1963년 1월 1일 김화군이 폐지되면서 강원도 철원군에 편입되어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 일대의 지체구조는 중생대 마그마 작용에 의해 형성된 경기육괴에 속한다. 서부에 있는 안암산[588m] 산자락은 중생대 쥐라기 대보화강암과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명성산 화강암이 분포하고 있다. 동부에 있는 계웅산[603m]에는 연천층군의 운모편암, 사질편암 등 변성퇴적암이 분포하고 있다.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성재산[471m]은 철원성산성[자모산성]이 위치하고 있어 성재산이라는 지명이 붙었다.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의 중앙부는 곡저에 형성된 충적층이 분포하고 있다.

[현황]

2017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가구 수 27세대에 31명[남자 28명, 여자 3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는 현재 민통선 북방 지역으로 되어 있다. 철원성산성철원군 김화읍 읍내리 성재산에 있으며 강원도 평강군에서 철원군, 화천군, 회양군으로 가는 길목을 감시할 수 있는 요충지에 축성되어 있다. 산성의 축조 방식으로 보아 최소 통일신라 이전에 축성된 것으로 보이며 후삼국, 고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계속 수리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시기 일본군이 주둔한 흔적으로 일본 산성에서 흔히 나타나는 횡굴의 흔적이 남아 있다. 김화향교는 조선시대 향교로서 유학자 장렴이 건립하였다. 1916년 유학자들이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 등의 건물을 중수하였으나 6·25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전골총은 1636년 청나라가 침입했을 때 김화읍 북쪽의 백수봉과 자모산성에서 적을 맞아 싸우다 전사한 병사들을 묻은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철원 충렬사지는 1637년 병자호란 당시 김화 오성산 진터골에서 의용병 300명과 근왕병 2,000여 명을 지휘하여 청나라 군대를 격퇴하고 전장에서 순절한 충렬공 홍명구를 기리는 사당이 있던 터이다. 6·25전쟁 당시 완전 소실되었던 사우를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복원하였으며, 1997년 10월 25일 강원도 기념물 제72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