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358 |
---|---|
영어공식명칭 | Korean snake sage |
이칭/별칭 | 토단삼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기억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명성산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 |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복계산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육단리
![]() |
성격 | 특산식물|희귀식물 |
학명 | Salvia chanryoenica |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통화식물목〉꿀풀과〉배암차즈기속 |
원산지 | 한국 |
높이 | 40~50㎝ |
개화기 | 8월 |
결실기 | 9월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통화식물목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참배암차즈기는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강원도와 경기도,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물빠짐이 좋은 양지나 반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참배암차즈기는 특산식물과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참배암차즈기는 여러해살이풀로 굵은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나기도 한다.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높이 40~50㎝ 정도이다. 줄기 전체에 갈색 털이 있다. 뿌리잎은 엽병(葉柄)[잎몸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의 길이가 17~19㎝ 로 길며, 달걀 모양의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끝이 둔하거나 짧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아심장저(亞心臟底)[잎 밑이 심장모양에 가까운 형태]이며, 가장자리에는 짧고 뾰족한 둥근 톱니와 털이 있다. 줄기잎은 뿌리잎과 비슷하나 엽병이 짧고 마주나 달려 있다. 잎 마디 사이가 짧아져서 밑부분에 모여 달리는 경향이 있다.
꽃은 7~8월에 아래위 2개의 황색 꽃이 입술 형태로 피며, 길이 3㎝ 정도이다. 꽃은 줄기 위쪽 마디에 모여난다. 꽃받침에는 선상(腺狀)[특정의 물질을 분비하는 샘이 있는 것]의 분비털과 일반적인 털이 있다. 꽃부리는 끝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의 2배 정도로 길고 표면에는 선상의 털이 다소 있다. 수술은 2개이고 암술대는 길게 밖으로 나오며 끝은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종자는 다소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참배암차즈기는 높은 산 깊은 곳에 주로 생육한다. 해발 고도가 낮은 곳에서는 반그늘진 곳에서 생육하며, 고도가 높은 곳에서는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토양은 부식질이 풍부하고,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강원도 철원군에는 갈말읍 신철원리 명성산과 근남면 육단리 복계산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