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595 |
---|---|
한자 | 三天峯地區戰績碑 |
영어공식명칭 | Monument to the Military Achievement of Samcheonbongjigu[Jeonjeokbi]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원미경 |
건립 시기/일시 | 1983년 10월 01일![]() |
---|---|
현 소재지 | 삼천봉지구 전적비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리 GOP 입구![]() |
성격 | 비 |
양식 | 콘크리트 석축 기단|화강암 자연석 비 |
관련 인물 | 삼천봉지구전투 참가자 |
재질 | 화강암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리에 있는 6·25전쟁 당시 삼천봉지구 전투 승리를 기념하여 세운 비.
삼천봉지구 전투는 1951년 8월 9일부터 9월 3일까지 약 3개월간 삼천봉[815고지]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중공군 제20군 예하 58사단 177연대, 60사단 179연대, 27군 예하 180사단 39연대, 8사단 238연대, 239연대의 대 병력이 적근산 및 대성산을 탈취하고자 전면적인 파상 공격을 펼쳤다. 한국군 제2사단 예하 17연대, 32연대, 사단유격대대, 18포병대대 용사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인 끝에 대성산을 지킬 수 있었다. 삼천봉지구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여 1983년 육군 제6685부대가 삼천봉지구 전적비(三天峯地區戰績碑)를 건립하였다.
삼천봉지구 전투에서 불멸의 전공을 세운 한국군 제2사단 장병들의 영웅적인 투혼을 기리고, 삼천봉지구 전투에서 산화한 호국 영령들의 명복을 비는 마음으로 육군 제6685부대가 1983년 10월 1일 건립하였다.
삼천봉지구 전적비는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의 마현리에서 화천으로 넘어가는 도로 옆 GOP 입구에 있다.
삼천봉지구 전적비는 콘크리트 석축 기단 위에 화강암 자연석 비를 올려놓았다.
앞면에 ‘삼천봉지구 전적비(三天峯地區 戰績碑)’라고 새겨져 있다.
강원도 철원군에서 가장 높은 고지는 근남면 마현리에 있는 대성산(大成山)[1,175m]이며, 대성산은 지리적으로나 군사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지역이다. 삼천봉지구 전투는 대성산을 점령하려는 중공군 대 병력의 침입을 막고 사수하여 현재 김화 지역을 차지할 수 있었던 의미있는 전투이다. 삼천봉지구 전적비는 죽음을 각오하고 삼천봉지구 전투를 승리로 이끈 호국 영령들의 정신을 되새길 수 있는 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