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행해지는 식품과 음식에 관련된 모든 활동. 김제 지역은 천혜의 지리적 여건과 토질 그리고 알맞은 기후로 일찍부터 농업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김제는 일찍이 농업의 발상지로 여겨져 왔다. 더욱이 백제시대에 호남평야의 중심지인 금만평야의 복판에 수리 토목을 일으켜 벽골제(碧骨堤)라는 저수지를 시축하고 우리나라 수전의 기원을 이루어 놓았다. 이로 말미암아 주곡인 쌀...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고유의 명절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김제 지역에서는 예부터 농경 위주의 생활을 이어 왔으며, 이에 따라 기후와 계절이 밀접한 관계를 갖는 세시풍속이 발달하였다. 세시풍속은 1년 사계절에 따라 관습적으로 반복되는 생활양식을 말하며, 해마다 되풀이 되는 민중 생활의 생활사가 되기도 한다. 우리 조상들은 계절에 따라 좋은 날을 택하여 명절이라 했다. 이때에는...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전해 오는 음식. 전북 지역은 호남의 곡창지대로서 넓은 평야에서 나오는 질 좋은 쌀과 좋은 토양에서 나오는 각종 야채와 해산물 등 천혜의 식재료가 넘친다. 예부터 김제 지역 선조들은 이를 사용하여 맛과 멋을 즐겼고, 특별히 입맛에 맞는 맛있는 향토음식을 많이 만들어냈다. 뜸부기 찜은 뜸부기 적당량에 밀가루 적당량, 간장 적당량으로 요리를 한다. 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의례를 치를 때 준비하는 음식. 의례에는 사람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생을 마칠 때까지 지나는 출생의례, 통과의례, 평생의례 등이 있다. 이들 의례에는 각기 규범화된 의식(儀式)이 있고, 그 의식에는 음식이 따르게 마련이다. 각 의례음식에는 대개 의례의 의미를 상징하는 특별한 양식(樣式)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시행하는 통과의례는 출생, 삼칠일(三七日)...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 한국 요리는 한국의 전통음식을 뜻한다. 복잡한 궁중 요리에서부터 지방의 특색 요리와 현대의 퓨전 요리에 이르기까지 재료와 조리법이 매우 다양하다. 전통적인 한국 정식은 밥·국·김치 등과 함께 나오는 많은 반찬들로 이루어진다. 한국 음식은 보통 참기름·된장·간장·소금·마늘·생강 그리고 고추장 등으로 맛을 낸다. 식단은 계절별로 다양한데,...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집안의 안녕을 위해 가신(家神)에게 올리는 의례인 고사(告祀) 때 먹는 음식. 고사떡은 가을 추수와 가내 평안을 기원하는 고사를 지낼 때 준비하는 떡이다. 특히 우리 조상들은 10월을 상달[上月]이라 하여 한 해 농사를 추수하고 햇곡식으로 제상을 차려 감사하였다. 말날[午日]이나 길일을 택해서 가내의 안녕을 관장하는 성주신에게 햇곡식으로 떡을 마련하고 술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꼬막이나 동죽의 조갯살로 만든 무침 요리. 꼬막은 고막·고막조개·안다미조개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감·복로(伏老)·괴합(魁蛤) 등으로도 불린다. 이매패류에 속하며, 껍데기 길이가 약 5㎝, 높이 약 4㎝, 너비 약 3.5㎝로, 피조개나 새꼬막보다 크기가 작다. 껍데기는 사각형에 가깝고, 매우 두꺼우며, 각피에 벨벳 모양의 털이 없다. 『자산어보(玆山魚譜)』에...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김이나 취 등으로 싸서 먹는 음식. 쌈이란 명칭은 김, 상추, 배춧잎, 취, 호박잎, 깻잎, 생미역 등에 밥과 쌈장을 얹어 손으로 모아 싸서 먹는 데서 유래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정월 대보름날 나물 잎에 밥을 싸서 먹으니 이것을 복쌈[길쌈]이라 한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복을 싸서 먹는다는 뜻으로 복을 기리는 서민의 소박한 마음...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단옷날에 쌀가루와 수리취 등으로 만들어 먹는 떡. 단오떡은 수리떡, 수리취절편, 차륜병(車輪餠)이라고도 한다. 수리취의 족이를 넣고 빻은 멥쌀가루에 설탕물을 넣어 체로 내린 뒤 찐 떡이다. 족이는 수리취를 삶아 어레미[구멍이 굵은 체]에 받쳐 건더기를 손으로 짠 것을 말한다. 멥쌀은 씻어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건져 물기를 뺀 뒤 소금과 수리취 족이를 풀어 함...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찹쌀로 빚은 맑은 술에 밥알을 동동 뜨게 만든 술. 동동주란 술 위에 밥알이 동동 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술 이름이다. 그 외에 맑은 술에 개미가 물에 떠 있는 것과 같다고 하여 부의주(浮蟻酒), 나방이 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부아주(浮蛾酒), 또는 녹의주(綠蟻酒)라고도 한다. 『목은집(牧隱集)』에 의하면 부의주는 고려시대부터 있었다고 한다. 술의 색깔은...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동짓날 찹쌀 새알심을 넣고 쑤어 먹는 팥죽.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동짓날 찹쌀 새알심을 넣고 쑤어 먹는 팥죽으로, 동지두죽(冬至豆粥), 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고도 했다. 동지팥죽은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團子)를 만들어 넣어 끓인 것이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만들기 때문에 옹시래미[새알심]라고 부른다. 팥죽을 다 만들면 그릇...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농주. 막걸리는 예부터 각 지방의 관인 양조장에서만 생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애용하기도 했다. 발효할 때 알코올과 함께 유산균이 생성된다.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막걸리는 탁주(濁酒) 또는 탁배기라고도 하는데, 원래 고두밥...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콩을 이용하여 만든 각종 장의 기본이 되는 원료. 보통 김제 지방의 각 가정에서는 입동(立冬)을 전후해 김장을 끝내고 메주를 쑨다. 콩을 충분히 불린 다음, 큰 무쇠 솥에서 끓여 삶은 것을 절구에 찧어 으깬다. 이것을 콩 1되로 1개 혹은 2개 정도가 되도록 둥글거나 네모나게 빚어 단단하게 만든다. 일반 농가에서는 이 메주를 더운 뜰아랫방에다 짚을 깔고 드문...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초여름 모내기를 하면서 먹는 밥. 쌀농사가 많은 전라북도 김제에서는 모내기철이 되면 농사를 많이 짓는 집일수록 일꾼이 많이 필요했다. 그리고 아낙네들은 이 일꾼들을 위한 점심으로 커다란 함지박 가득 정성스레 음식을 준비해서 논으로 향한다. 이 함지박 안에는 생선, 젓갈, 김치, 상추, 나물, 된장, 보리밥, 장아찌, 국, 냉국 등이 들어 있었다. 푸짐하고 짭...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학성강당(學聖講堂)에서 사계절 꽃으로 담그는 전통주. 백화주(百花酒)는 밑술에 두 차례의 겹술[덧술]을 한 뒤 세 번째 겹술로 백 가지 꽃을 담아 최소한 40일에 걸쳐 만든다. 꽃은 이른 봄 매화에서부터 늦가을 감국까지 김제 들판에서 자라는 풀꽃과 꽃나무에서 채취하여 말린 것이다. 술 빛은 짙은 갈색인데 탁하진 않다. 도수는 14도쯤으로, 백화주는 도수에 비...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들일을 하다가 잠깐 쉬면서 먹는 음식. 새참은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 먹는 음식이다. 육체노동이 심한 노동자나 농번기의 농부들은 하루 3끼의 식사 외에 한두 번 더하게 되는데, 한 번의 새참은 아침식사를 새벽에 했을 경우 오전 10시쯤 하게 되고, 또 한 번의 새참은 점심과 저녁 사이인 오후 4시 무렵에 하는 것이 보통이다. 새참으로는 국수가 가장 보편...
-
전라북도 김제시 요촌동 경주김씨 가문에서 송순(松荀)으로 담그는 전통주. 약 400년 동안 김제 지역에 전해 내려온 송순주(松筍酒)는 경주김씨 가문의 밀장된 가용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김제시 요촌동에 사는 90세 고령인 배음숙(裵陰淑) 할머니의 구전(口傳)에 의해 전해 내려왔다. 배음숙 할머니는 15세에 김씨 가문에 시집와 시어머니와 시할머니로부터 송순주 양조법을 전수받았다고...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소를 넣고 빚은 떡. 송편은 멥쌀가루를 익반죽한 다음 알맞은 크기로 떼어내서, 가운데에 여러 가지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어 솔잎을 깔고 찐 떡이다. 소는 깨, 팥, 콩, 녹두, 밤 등이 사용된다. 송편이란 이름은 솔잎을 깔고 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송편을 먹으면 소나무처럼 건강해지고, 절개와 정조가...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죽이나 밀가루 풀, 미음, 메주, 묵, 팥죽을 만들 때 하는 조리법. 쑤기는 김제 지역에서 세시 풍속으로 메주 쑤기나 팥죽 쑤기를 할 때 행해졌다. 『농가월령가』에 11월령에는 메주 쑤기, 동지에는 팥죽 쑤기 등을 한다는 기록이 있다. 쑤기는 가루를 물에 푼 다음 불에 올려 가루가 끈적끈적해질 때까지 은근히 끓이거나 죽처럼 쌀이 완전히 퍼질 때까지 물을 부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연잎을 잘라 쌀과 각종 곡식을 넣어 만든 음식. 중국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연잎이 불로장수 음식으로 알려져서 잎, 꽃, 열매, 뿌리 모두가 약재나 요리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원래 민가보다는 사찰에서 스님들이 수행하면서 즐기던 음식이다. 사찰 음식답게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오장을 다스려 준다고 해서 요즘 들어 웰빙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밥은 기...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정월 대보름 절식의 하나. 오곡밥은 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의 하나로 신라시대 까치에게 감사하며 정월 대보름 제사상에 올리던 약밥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약밥에 사용되는 잣, 밤, 대추 등의 귀한 재료를 구할 수 없었던 일반 평민들이 약밥 대신 쌀과 콩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넣어 오곡밥을 지어 먹었다고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토란을 넣고 끓인 국. 시원하게 끓인 토란국은 예부터 김제 지역의 대표적인 추석 별미였다.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인 토란에는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하는 성분이 있다. 이 때문에 떡이나 고기를 많이 먹어 배탈이 나기 쉬운 추석에 토란국을 끓여 먹은 조상들의 지혜가 엿보인다. 토란의 주성분은 녹말·단백질·섬유소·무기질 등으로 소화가 매우 잘되는 음식이나 수산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