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285
한자 村-
영어공식명칭 A Hillbilly
이칭/별칭 촌뜨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현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904년 - 「촌띄기」 강원도 철원군 묘장면 산명리에서 이태준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34년 3월연표보기 - 「촌띄기」 『농민순보』에 발표
배경 지역 안악골 -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배경 지역 떡전거리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중리 지도보기
성격 단편소설

[정의]

강원도 철원 출신의 이태준이 1934년 발표한 단편소설.

[개설]

「촌띄기」는 1934년 3월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1904~?]이 『농민순보』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제목 그대로 시골 산마을에 사는 촌뜨기 ‘장군이’가 일제의 수탈과 문명의 발전에 쫓겨 삶의 터전을 잃고 고향을 떠나는 과정을 잘 담아낸 소설이다. ‘촌띄기’라는 제목은 소설 끝부분에서 아내와 헤어진 장군이가 관청 물을 먹은 새파란 양복쟁이의 자전거와 부딪혔는데, 양복쟁이가 장군이의 뺨을 때리며 ‘촌뜨기 녀석’이라고 투덜댄 것에서 기인한다.

작가 이태준은 현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철원군 묘장면 산명리에서 1904년 출생하였다. 월북 후 1956년 숙청당하였다고 하나 사망 연도는 불확실하다.

[구성]

이태준의 단편소설 「촌띄기」의 발단은 장군이가 경찰서에서 나오면서 마을을 떠나겠다고 하는 장면이다. 전개에서는 장군이의 지난 과거와 유치장에 갇히게 된 사연이 소개된다. 위기는 장군이의 아내 이야기와 발동기 방아 탓에 실패하게 된 물방앗간 사업에 대한 내용이다. 절정은 장군이와 아내가 마을을 떠나 서로 다른 길로 가는 부분이다. 결말은 장군이가 못내 아쉬워 아내를 불러 떡을 사 먹이고 헤어지는 부분이다.

[내용]

장군이는 몇 대째인지는 모르지만 하늘에서 떨어져서는 첫 동네라는 안악굴[지금의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꼭대기에 산다. 장군이는 작은 오막살이에서 인물이 박한 아내와 단둘이 화전을 일구며 숯을 굽고 산짐승을 잡아 연명을 한다. 하지만 아버지 대에까지는 굶지는 않고 비럭질은 하지 않아도 되었다. 그런데 산 주인이 일본 기업 삼정(三井)[미쓰이(Mitsui)]으로 바뀌면서 화전과 숯 굽기가 금지되고, 경찰서에서는 덫도 허가 없이는 놓을 수 없다고 금지한다. 하지만 달리 재주가 없는 안악굴 사람들은 불법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처지였고, 관청 입장에서 보면 범죄자들인 셈이었다.

장군이는 먹고살기 위해 빚을 얻어 물방앗간을 시작하려 하였다. 그러나 다 완성하기도 전에 인근 새막슬의 장풍언네가 발동기 방아를 들여와 실패하고 빚만 지게 된다. 더구나 사냥을 나온 순사 부장이 하필 장군이가 파 놓은 사냥 구덩이에 빠져 다치게 되면서 장군이는 경찰서 유치장에 갇히게 된다. 장군이는 유치장의 전기등 밑에서 알루미늄 도시락에 쌀밥을 먹고 잘 지내다가 스무 날 만에 집으로 돌아왔다.

유치장에서 나온 장군이는 안악굴에서는 살길이 막막하여 마을을 떠날 결심을 한다. 2년을 기한으로 아내는 당분간 친정으로 보내고, 자신은 도시로 나가 돈을 벌어 농사지을 밑천을 마련한다는 계획이었다. 이틀 후, 마을 사람들의 배웅을 받으며 장군이는 읍내로 향하고, 장군이의 아내는 친정으로 향한다. 장군이는 비록 못생기고 밉기만 한 아내이지만 헤어지기가 아쉬워 아내를 다시 불러 읍내로 데려가 아내가 좋아하는 이차떡[인절미]을 사 먹인 후 헤어진다.

[특징]

「촌띄기」의 배경은 용담에서 철원읍까지의 뒷산 길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용담에서 철원으로 초등학교를 다녔던 이태준에게는 아주 익숙한 길이었을 것이다.

[의의와 평가]

「촌띄기」가 나온 1930년대 강원도 철원 지역의 인구통계를 보면 일본인이 3,600여 명이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일본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당시 일본의 수탈과 철원 주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민들의 처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촌띄기」는 힘든 상황 속에서도 도시로 떠나는 장군이를 배웅하는 화전민들의 따뜻함과, 못생기고 밉다고 하면서도 애틋한 정을 나누는 장군이 부부의 모습에서 묘한 위안을 독자에게 전하고 있다. 또한 당시 철원 지명이 직접 서술되어 있어 일제 강점기 철원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릴 수 있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장군이가 유치장에 갇혔던 철원경찰서, 장군이가 실랑이를 하던 철원읍사무소, 안악굴 이웃들과 이별하는 언덕, 성황당, 아내와 이별하는 율이리 삼거리, 아내와 이차떡을 먹던 떡전거리, 아내와 이별을 하는 관전리 길 등은 현재 철원군에서 5.4㎞의 ‘촌뜨기길’로 조성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