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491
한자 鶴沙四里發見埋藏文化財申告遺物
영어공식명칭 Artifacts Founded in Haksa-4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4리 628-2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박경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청동기 시대 -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제작
출토|발굴 시기/일시 1967년 7월 23일 -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중 간돌검 채집
이전 시기/일시 1969년 10월 13일 -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국립중앙박물관 유물 등록[간돌검]
이전 시기/일시 1974년 9월 13일 -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국립중앙박물관 유물 등록[간돌창, 간돌화살촉]
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168-6]
출토|발견지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4리 628-2 지도보기
성격 석기|간돌 유물
재질 옥석
크기(높이,길이,너비) 17.7㎝[간돌검 길이]|14.4㎝[간돌창 길이]|2.8㎝[간돌창 너비]|1.0㎝[간돌창 두께]|9.1㎝[간돌화살촉 길이]|1.4㎝[간돌화살촉 너비]|0.7㎝[간돌화살촉 두께]
소유자 국유

[정의]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4리에서 채집된 청동기 시대 간돌 유물.

[개설]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鶴沙四里發見埋藏文化財申告遺物)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4리에서 채집된 간돌 유물 3점으로, 철원 지역의 청동기 시대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간돌검은 자루가 없는 유경식(有莖式)으로서 검신(劍身)의 단면은 납작한 마름모꼴이다. 간돌창도 유경식(有莖式)으로 소형에 속한다. 간돌화살촉은 촉신(鏃身)이 매우 긴 유경식(有莖式)이다. 1967년 7월 23일 주민 엄진섭이 간돌검을 채집하여 신고하였다. 1969년 10월 13일 간돌검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유물로 등록되었으며 1974년 9월 13일 간돌창, 간돌화살촉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유물로 등록되었다.

[형태]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 중 간돌검의 검끝에는 등날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양날은 매우 날카롭게 마연되어 있는데, 검신과 기부(基部)가 직각을 이루는 형태이다. 경부 끝은 부분적으로 결실되었다. 경부의 단면은 육각형에 가까운데 끝부분에는 양측면에 약간의 홈이 나 있다. 간돌창은 너비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로 대형의 간돌화살촉 모양을 하고 있다. 간돌화살촉은 두께에 비하여 너비가 넓은 형태로 단면은 납작한 마름모꼴이다. 간돌검의 길이는 17.7㎝이고, 간돌창은 길이 14.4㎝, 너비 2.8㎝, 두께 1.0㎝이다. 간돌화살촉은 길이 9.1㎝, 너비 1.4㎝, 두께 0.7㎝이다.

[특징]

철원 학사4리에서 발견된 3점의 간돌 유물들은 모두 유경식으로 신부(身部) 단면이 마름모꼴이면서 짧은 경부가 달려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의의와 평가]

철원군에서 발견된 간돌 유물들은 비록 소량이지만 철원군 지역에 청동기 시대 유적이 존재함을 확인시켜 준 유물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발견된 유물이 검, 창, 화살촉 등 모두 무기류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주변에 마을 유적보다는 무덤 유적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방증하여 준다. 현재 유물이 발견된 지역은 학사4리 유물 산포지로 지정된 지역에 해당하는데 어느 지점에서 유물이 채집되었는지 정확한 정보를 알 수는 없다. 다만 남대천의 북쪽에 형성되어 있는 넓은 충적 대지상에서 발견된 점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무덤군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