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502 |
---|---|
한자 | 花江栢田 |
영어공식명칭 | Hwagangbaekje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영규 |
조선 후기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의 자모산성 근처에서 벌어진 김화 백전 전투를 소재로 하여 정선이 그린 진경산수화.
「화강백전(花江栢田)」은 조선 시대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완성자인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이 김화 백전 전투 현장에 들러 그린 진경산수화이다. 김화 백전 전투(金化栢田戰鬪)는 병자호란(丙子胡亂)[1636] 당시 김화읍 생창리 성재산(城齋山)[471m] 일대 진터골에서 평안도관찰사 홍명구(洪命耈)[1596~1637]와 평안도병마절도사 유림(柳琳)[1581~1643]이 이끄는 조선 근왕군(勤王軍)이 청나라 팔기군(八旗軍)과 싸워 승리한 전투이다. 광교산 전투(光敎山戰鬪)와 더불어 2대 승전으로 평가된다. 「화강백전」의 화강(花江)은 김화 지역 한가운데를 흐르는 하천이자 김화의 옛 지명이며, 백전(栢田)은 김화 진터골의 잣나무 숲을 일컫는다. 「화강백전」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에 있는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화강백전」의 그림 크기는 가로 25㎝, 세로 32.1㎝이다.
「화강백전」의 그림 배경에 있는 빽빽한 잣나무는 김화 백전 전투 당시 청나라 군대에 맞서 싸워 승리한 조선군의 충만한 사기를 표현한 것이다. 정선의 30~40대는 특유의 진경산수화풍이 형성되는 시기로 북종화법(北宗書法)과 남종화법(南宗畵風) 의 장점을 결합시키고, 음양이 잘 조화된 화면 구성을 보이고 있다. 『정선 필 해악전신첩(鄭敾筆海嶽傳神帖)』은 정선 특유의 다양한 필묵법(筆墨法)과 옅은 청록색의 선염법(渲染法)이 고른 수준으로 능숙하게 구사되어 있는 만년의 진경산수화풍을 대표하는 금강산 그림으로서 예술적·학술적·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은 금강산을 자주 찾았는데, 길목에 있는 철원 지역의 명승을 작품으로 남겼다. 「화강백전」도 그중 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