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1245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영식 |
채록 시기/일시 | 2011년 - 「말머리 잇는 소리」 두 종 채록 |
---|---|
채록지 | 제보자 정진택 자책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 |
채록지 | 제보자 박원 자책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 |
성격 | 민요/유희요 |
기능 구분 | 언어유희요|말이음요 |
형식 구분 | 독창 |
가창자/시연자 | 정진택|박원 |
강원도 철원군에 전승되는 언어유희요.
「말머리 잇는 소리」는 강원도 철원군에 전하여 오는 언어유희요로서, 앞말의 뒷부분을 문제 삼아 질문을 붙이고, 그것에 대하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노랫말을 구성하는 소리이다.
철원군에서 채록된 「말머리 잇는 소리」 두 종이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정리되어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서비스하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웹서비스를 통하여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말머리 잇는 소리는 앞말의 첫 부분을 문제 삼아 계속하여 사설을 구성하는 까닭에 교환창으로 부를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실제로는 독창으로 부른다.
「말머리 잇는 소리」는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아차차차 벼룩이 뛰었다」 유형을 제외하면 「배가 아파 못 가겠네」 유형이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일반적이다. 「배가 아파 못 가겠네」 유형 역시 지역이나 개인에 따라 사설의 길이와 내용이 달라지기도 한다. 갈말읍 신철원리 제보자 정진택은 “아이구 배야 그러믄/ 무슨 배/ 자라 배/ 무슨 자라/ 읍 자라/ 무슨 읍/ 당 읍.”이라 노래하였고, 근남면 사곡리 제보자 박원은 “김서방 나무하러 가세/ 배 아퍼 못 가네/ 무슨 배/ 자라 배/ 무슨 자라/ 업 자라/ 무슨 업/ 탱 업/ 무슨 탱/ 비지 탱/ 무슨 비지/ 날 비지/ 무슨 날/ 지직 날/ 무슨 지직/ 참 지직/ 무슨 참/ 나그네 밤참.”으로 사설을 구성하였다.
아이들이 말을 배우고 단어를 익히면 말로써 놀이를 하게 되는데, 「말머리 잇는 소리」는 이럴 때 아이들이 누가 더 많이 말을 이어 가는지 뽐내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철원군에서 「말머리 잇는 소리」는 「배가 아파 못 가겠네」 유형이 갈말읍과 근남면에서 각각 한 종씩 채록되었다.
「배가 아파 못 가겠네」는 전국의 여러 지역에서 전승되는 소리인데, 철원군의 사곡리에서 채록된 “날 비지/ 무슨 날/ 지직 날/ 무슨 지직/ 참 지직/ 무슨 참/ 나그네 밤참.”의 사설은 지역 또는 개인의 독창적 구성으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