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지도』 「청송도호부·진보현 지도」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534
한자 海東地圖靑松都護府眞寶縣地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감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로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18세기에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청송도호부진보현의 군현지도.

[개설]

『해동지도(海東地圖)』는 18세기 영조 연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도로 제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해동지도』는 채색 회화식 지도로, 「조선전도(朝鮮全圖)」와 「서북피아양계전도(西北彼我兩界全圖)」를 덧붙여 하나의 지도책으로 완성하고 있다. 모두 8책으로 제1책은 경기도, 제2책은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은 관동전도·북관전도, 제4책은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은 영남전도, 제6책은 호서전도, 제7책은 호남전도, 제8책은 팔도총도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백과 지도의 이면에는 비교적 상세한 지지 자료가 기록되어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누구에 의해 어떤 목적으로 편찬된 것인지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는다. 지도책의 항목을 보면 도지도, 도별 군현지도, 도내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 등으로 편집되어 있다. 또한 이 지도집에는 세계지도(천하도), 중국·일본 등의 외국 지도와 북경궁궐도, 관방지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이 지도책은 민간에서 제작한 것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하기 위해 간행한 관찬 군현지도책으로 생각된다.

[형태]

책으로 구성된 채색 필사본이며, 크기는 세로 47㎝, 가로 30.5㎝이다.

[구성/내용]

『해동지도』 「청송도호부·진보현 지도」 청송도호부진보현으로 각각 분리되어 제작되었다. 지금의 청송군은 1914년 부군면(府郡面)의 통폐합에 따라 진보군이 청송군에 흡수되면서 하나의 군으로 되었기 때문이다.

먼저 청송도호부를 살펴보면 읍치인 아사(衙舍)와 객사(客舍)는 청송의 북쪽 방면에 있는 주산인 방광산(放光山) 아래에 있으며 회화식으로 묘사하였고, 그 뒤에 향교를 같이 그려 넣었다. 산줄기는 모두 ‘∧’ 형 모양으로 그려 놓았고 동쪽의 산줄기는 월명산(月明山)에서 주아산(注兒山) 등으로 연결되고 남쪽에는 보현산(普賢山) 등으로, 서쪽으로는 노래산(老萊山)·자일산(紫日山) 등으로 이어져 청송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부남면에 위치한 병암서원(屛巖書院)은 1702년(숙종 2)에 건립되어 이이(李珥)와 김장생(金長生)을 배향한 서인계 재실이고, 이와 반대로 같은 시기인 현내면에 자리잡은 송학서원(松鶴書院)이황(李滉)김성일(金誠一)을 배향한 남인계 재실로써 조선 후기 영남지방에서 빈번히 일어났던 남인과 서인의 향전(鄕戰) 상황을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고을의 창고인 남창(南倉)은 부남면에, 서창(西倉)은 현서면에 그림으로 표시하였고, 이전평역(梨田坪驛)은 갈전산(葛田山) 아래에 표시하였다. 또한 주방산에 있는 대전사(大田寺) 좌측에는 송생고현(松生古縣)을 표시하였는데, 송생고현은 세종 때 합치되면서 사라진 고을이다. 송생고현은 지금의 청송읍 송생리주왕산면부남면에 해당된다. 아울러 도로는 적색 실선으로 그렸는데 읍치를 중심으로 뻗어나가 진보·안동·신령·경주 경계로 이어지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이 밖에도 지도 사방에는 군현의 연혁과 성곽, 방리(方里), 조세 관련 부분, 산천, 서원, 역원(驛院), 봉수, 사찰 등이 주기(注記)되어 있다.

진보현을 살펴보면 읍치는 비봉산(飛鳳山) 아래 평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관아를 중심으로 객사와 향교들이 있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객사와 향교를 가로지르는 토성(土城)을 그려 넣은 것이다. 토성의 표시는 성가퀴 형태로 표시하지 않고 ‘일(一)’ 자형으로 그려 넣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한양도성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성곽이 토성이었으나 성종대 이후로는 모두 석성(石城)으로 변화되었는데, 지도에 표시된 토성은 옛 진보읍성의 토성 흔적을 묘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산줄기는 ‘∧’ 형 모양으로 그려 놓았고, 진보현의 가장 동쪽에 있는 남각산봉수(南角山烽燧)는 동쪽으로는 영해의 광산(廣山)으로 응하고 서쪽은 안동의 약산(藥山)과 연결되는 봉수이다.

읍치 우측에 있는 각산역(角山驛)은 동쪽으로 영양역(寧陽驛)과 연결된다. 도로는 적색 실선으로 그렸고 읍치를 중심으로 도로가 뻗어나가고 이어지는 안동계대로(安東界大路), 안동계중로(安東界中路), 안동계소로(安東界小路), 청송계대로(靑松界大路), 영해계대로(寧海界大路)를 표시했다. 또 지도에 표시된 퇴계 선영(退溪先塋)은 이황의 6대조인 이석(李碩)의 묘를 묘사하였다. 이 밖에도 군현의 연혁과 성곽, 방리(方里), 조세 관련 항목과 산천, 서원, 역원(驛院), 봉수, 사찰 등이 주로 표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 「청송도호부·진보현 지도」 는 18세기 청송지역의 실상을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05 행정지명 현행화 부동면 -> 주왕산면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