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백자.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가장 활발하게 생산되어 유통되었던 청송백자는 1958년 이후 한동안 명맥이 끊어졌으나, 2009년에 청송군 향토문화유산[무형유산] 제1호로 지정되면서 활성화되었다. 이에 고만경이 청송백자의 제작 기술 기능 보유자로 지정되면서 청송백자의 생산과 전승에 새로운 계기가 마련되었다. 청송백자는 16...
경상북도 청송 지역에서 보전되고 있는 전통 한지 제작 기술 및 기능 보유자. 한지는 닥나무 등의 섬유를 원료로 하여 한국 전통적인 기법으로 만든 종이를 말한다. 주민들의 구전에 의하면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기2리 감곡마을은 삼국시대부터 종이가 특산품이었다고 한다. 1920년대까지 감곡마을에서는 20여 호가 제지업에 종사하였으나, 현재는 청송 한지장 기능 보유자인 이자...
경상북도 청송 지역에서 보전되고 있는 전통 옹기 제작 기술 및 기능 보유자. 경상북도 청송 지역은 조선시대부터 질이 좋은 오색점토가 많이 생산되었다. 이처럼 좋은 재료를 이용하여 예로부터 청송 지역의 여러 옹기점에서는 질 좋은 옹기를 다량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진보면 부곡리, 안덕면 노재 등에는 많은 옹기장들이 옹기를 생산하였고, 이들...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에서 상여를 장지로 옮길 때 부르는 상례 의식요. 「청송 추현 상두소리」는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갈 때 부르는 의식요로서 만가(輓歌)의 일종이다. 망자의 명복을 빌고, 이승에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는 사별의 슬픔을 달래고 제액초복을 염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만가는 상두소리 이외에도 묘를 다질 때 부르는 달구소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