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변사인방안지도』 「청송도호부·진보현 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541
한자 備邊司印方眼地圖靑松都護府眞寶縣地圖
이칭/별칭 『비변사지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감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용도 지방행정 실무 파악

[정의]

18세기에 제작된 『비변사인방안지도』에 수록된 청송도호부진보현의 지도.

[개설]

비변사에서 제작한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는 정확한 제작 연대를 단정할 수 없다. 하지만 지도에 표시된 내용을 통해 그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지도에 표시된 내용의 연도 중 중요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5책의 하동 지도에 표시된 읍치가 1745년(영조 21)에 옮겨진 곳으로 표시되어 있어, 이 지도책이 1745년 이후의 상황을 근거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고, 같은 책인 창원 지도에는 1760년(영조 36)에 설치한 반산창(盤山倉)이라는 조창(漕倉)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 지도책이 1760년 이전의 시기를 근거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4책에 수록된 안음(安陰)과 산음(山陰)은 1767년(영조 43)에 안의(安義)와 산청(山淸)으로 각기 개칭되는데, 이를 통해 볼 때 이 지도책은 1767년 이전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고령 지도에는 1745년에 만들어진 개호정(開湖亭)이 표시되어 있어 역시 1745년 이후의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도에 수록된 내용만을 놓고 볼 때 1745년에서 1760년 사이에 만들어진 지도책이라고 생각된다. 『비변사인방안지도』는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영남지도』「청송도호부·진보현 지도」와 거의 비슷한 면을 보이고 있다. 본 지도책에서는 동일한 정보는 동일한 기호로 표시하는 범례를 사용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2책의 경주와 4책의 남해·개령·의령·안음, 6책의 하양 지도 뒷면에 비변사(備邊司)라는 도장이 찍혀 있어, 비변사에서 보관하고 있던 지도였음을 알 수 있으며, 비변사에서 지방행정 실무를 파악하고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형태]

총 6책으로 되어 있고 각 책마다 크기가 조금씩 다르다. 청송도호부가 속해 있는 2책의 크기는 세로 106㎝, 가로 83㎝이고, 진보현이 속해 있는 1책의 크기는 세로 108㎝, 가로 89㎝이다.

[구성/내용]

청송도호부의 지도를 보면 읍치와 찬경루(讚慶樓)는 분홍색 바탕에 청색 윤곽선을 한 사각형 안에 표시되어 있다. 읍치를 부근으로 향교와 수고정(秀孤亭)이 회화식으로 표현되었으며 읍창은 바로 아래에 있다. 각 면(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역(驛)은 자색 바탕에 청색 윤곽선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으로 청운역(靑雲驛), 이전평역(夷田平驛), 화목역(和目驛), 문거역(文居驛)을 표시하였다.

산맥은 ‘∧’ 형 모양을 연결하여 나타냈는데 북쪽의 산줄기에는 방광산(放光山)이 있고, 영덕과 경계를 삼고 있다. 동쪽의 산줄기는 갈전산(葛田山), 주방산(周房山)이 영덕과 인접하며, 남쪽은 유현험액(柳峴險阨)이 경주와 경계를 하고 우항현(牛項峴)이 신녕과 접한다. 서쪽은 자일산(紫日山)과 노래산(老萊山)이 어이지고 지현(枝峴)은 안동과 인접하고 있다. 하천은 청색으로 표현되었고, 물줄기는 진보현과 안동에서 흘러들어와 관내를 관통하며 흐른다.

도로 표시를 대로(大路)는 적색으로, 중로(中路)는 황색으로, 소로(小路)는 청색으로 표현하였다. 대로는 읍치를 기준으로 해서 좌측의 부내면과 부서면을 지나면 안동으로 연결되고, 북쪽으로 올라가면 진보와 연결되는 길이다. 중로는 읍치를 기준으로 읍창을 지나 중대산(中臺山)을 넘으면 영덕이고, 또 다른 길은 청운역을 지나 부남면으로 내려가서 현동면을 경유하여 유현을 넘어서면 경주로 가는 길 등으로 표시하였다. 소로는 읍치를 기준으로 면과 면 사이나 면과 역 사이의 길을 나타냈다. 현서면에는 송학서원(松鶴書院)을, 현동면에는 병암서원(屛巖書院)을 표시했고, 진보산(晉寶山) 아래에는 쌍계사(雙溪寺)를, 주방산 밑에는 대전사(大田寺)를 기록하였다. 이 밖에도 풍수정(楓樹亭)과 각 창고를 그려 넣었다. 지도의 상단에는 주기를 기입했는데 민호와 양부전(量付田), 색군(色軍), 경도와의 떨어진 거리, 서원의 사액 여부, 역과의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진보현의 지도를 살펴보면 읍치는 분홍색 바탕에 청색 테두리를 친 직사각형 안에 표기되어 있다. 읍치를 중심으로 위에는 옥류정(玉流亭)이 있고, 아래에는 향교가 모형으로 묘사되어 있다. 면의 표시는 황색 바탕에 적색 윤곽선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으로 해당 위치에 자리잡았고, 역은 자색 바탕에 청색 윤곽석을 한 직사각형 모양으로 표시하였다. 산맥은 ‘∧’ 형 모양을 중첩하여 줄기를 표시했는데 북쪽은 동산현(東山峴)이 안동과 접하고 있으며, 동쪽은 길가마치(吉可馬峙)가 영양과 접하고, 임물현(林勿峴)이 영덕과 인접하고 있다. 남쪽은 천마산(天馬山), 남각산(南角山)이 청송과 경계를 이루고, 서쪽은 비현(秘峴)이 안동과 맞닿아 있다. 하천은 청색으로 표현되었으며, 물줄기는 각각 영양과 안동으로부터 흘러 들어와 관내를 지나가고 있다.

도로에서 대로는 읍치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가면 안동으로 연결되며, 우측으로는 항성(項城)을 지나 길가마치를 넘어서면 영덕으로 이어지는 길이고, 또 상리면으로 가서 임물현을 넘으면 영덕과 연결되며, 남쪽의 동현(銅峴)을 넘어 남면을 경유하면 청송으로 갈 수 있는 길로 표시되어 있다. 중로는 읍치를 기준으로 해서 여단(厲壇)과 봉람서원(鳳覽書院)으로 가는 길이 있다. 소로는 읍치를 기준으로 면과 면 사이나 면과 역 사이의 길을 나타냈다. 성천(聲川) 옆에는 풍호정(風乎亭)을 그림으로 표현했고, 수정암(水靜菴)과 각 창고도 모형화해서 묘사하였다. 그 밖에도 문암(文巖)과 공암(孔巖)의 기암절벽도 회화식으로 표현하였다. 지도의 상단에는 진보현의 주기를 기입했는데 민호와 양부전, 색군 경도와의 거리, 각 면과의 거리와 서원의 사액 여부, 역과의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비변사인방안지도』 「청송도호부·진보현 지도」 청송도호부진보현의 인문·자연 지리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도로 사료적인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