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청송 지역의 민간에서 오래 전부터 믿어져 내려온 신앙. 민간신앙은 민간에서 전승되어 온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신앙 행위로서 뚜렷한 교조가 없고, 경전(經典)과 같은 체계화된 교리도 없으며, 교회도 구성하지 못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민간신앙은 때로 속신과 미신으로 간주되거나 원시 신앙에 한정하여 지칭되기도 한다. 또한 점복, 금기, 주술이나 기성 종교 또는...
-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에서 비가 내리기를 염원하며 지내는 제사. 한반도에서는 오래전부터 벼농사를 중심으로 농경을 주된 생업으로 삼아 왔다. 농사에서 농민의 노동과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이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것인데, 전근대 시대에는 수리 시설이 충분히 갖춰지지 못했기에 하늘에서 내리는 비에 의존해야 했다. 하지만 한반도의 기후 특성상 비는 여름 장마철에 집중적으로...
-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에서 지역의 수호신인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 산신제는 마을에서 산신을 모시며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한 제의이다. 산제, 산제사 등으로 불리며, 산간 지대인 청송군 지역에서는 여러 곳에서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산신제는 명산으로 알려진 산과 산악 지대 또는 산악과 인근한 마을들에서 고대부터 행해졌다. 산신제는 산악 숭배의 표현이며, 산악 숭...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에 있는 달기약수터에서 매년 봄에 개최되는 의례.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에는 예로부터 약수로 널리 알려진 달기약수탕이 있다. 달기약수는 조선 고종 때 금부도사(禁府都事)를 지냈던 청송의진의 우익장 권성하(權成夏)[1852~1914]가 발견했다. 달기약수는 철분이 함유된 탄산수인데, 지하에 스며든 빗물이 마그마에서 뿜어져 나온 이산화탄...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주민들이 주산지의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 주산지(周山池)는 조선시대 1721년(경종 1)에 조성된 농업용 저수지로, 너비 50m, 평균수심 7.8m의 산중 호수이다. 2000년대 이후 영화 촬영지로 널리 알려져 청송의 유명 관광지가 되었다. 주산지는 주왕산면 주산지리 일대의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조성된 것으로, 지금도...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과 주방천 계곡 일원에서 봄에 주왕의 넋을 기리고 청송군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행하는 제례. 주왕산 수달래 제례는 수달래가 피는 4월 말에서 5월 초에 주왕산[721m]과 주방천 계곡 일원에서 주왕산의 전설에 나오는 주왕의 넋을 기리고 청송군 전체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행하는 의례이다. 청송군이 주최하고 청송군축제추진위원회가...
-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에서 행해지는 무당과 관련된 풍속. 무속은 무당과 관계된 한국의 전래 신앙, 종교적 행위들을 망라한다. 무속의 기본 제의(祭儀)는 크게 셋으로 가신(家神)에게 기원하는 제의, 마을의 수호신에게 기원하는 제의. 그리고 초자연적 존재의 힘을 빌려 개인의 길흉을 점치는 점복 의례 등이 그것이다. 무속의 신은 하나가 아닌 다양한 존재들이며, 신을 모시는 공간...
-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음력 2월에 바람을 관장하는 영등할매에게 풍년을 기원하여 치성을 드리는 풍속. 영등(靈登)은 비와 바람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보통 영남 지방에서는 영등할매로 불린다. 영등할매는 평상시에 천계에 살다가 음력 2월이 되면 지상으로 내려오고, 20일이 되면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 이 때문에 2월을 영등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성을 다해 모셔야 한...
-
경상북도 청송 지역에서 행해지는 자동차 사고를 막고자 하는 제의. 자동차고사는 차량을 운전하면서 생길 수 있는 사고를 막기 위해 지내는 고사이다. 주로 차량을 새로 구입했을 때 무사고를 기원하거나, 크고 작은 사고를 당했을 때 재발을 방지하고자 지낸다. 자동차고사는 비록 일부에서 미신으로 치부되지만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행하고 있는 제의(祭儀)로서, 현대 사회에서 가장...
가신신앙
-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의 가정에서 전래되는 집을 지켜 주는 신을 섬기는 믿음. 가신신앙(家神信仰)은 가정의 평안과 화목을 기원하기 위해 집안 곳곳에 신을 모셔 두고 섬기는 한국 고유의 신앙이다. 유교 제례가 형식, 이념, 논리의 특징을 지니는데 반해 가신신앙은 소박하고 현실적이며 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신신앙은 무속이나 동제(洞祭)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전...
-
경상북도 청송 지역의 가정에서 이유 없이 아픈 사람이 있을 때 객귀를 쫓아 치료하는 치병 의례. 객귀(客鬼)는 제사를 지내 줄 후손이 없이 죽은 무주고혼(無主孤魂)이나, 장례를 제대로 치르지 못한 망자의 혼백이다. 이들은 조상신이 되지 못한 원한에 사무쳐 이승을 배회하다 산 사람에게 붙어 해를 입힌다. 과거 의학 기술과 의료 시설이 부족했던 시절에 민간에서는 아무 이유...
-
경상북도 청송 지역의 가정에서 방위와 날짜를 따라다니며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방위신. 손은 날짜에 따라 방위를 바꾸며 사람의 일을 방해하는 귀신이다. 손은 농사에 피해를 주는 부정적 의미로 한반도 민속에 정착되어 다양한 영역에서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천연두의 역신을 손님이라 불렀으며, 오늘날에도 이사나 개업, 결혼식을 할 때 날짜와 방위를 확인하여 손을 피하는 풍습이...
-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집안을 관장하는 최고신인 성주를 모시는 가신신앙. 성주는 집을 지키고 집안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관장하는 신으로 다른 가신(家神)들을 통솔하는 으뜸 신으로 여겨진다. ‘대주(大主)’라고도 불리는데,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가는 경우, 혹은 가장이 사망할 경우 성주(城主)를 새로 받아 와서 모신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성주는 쌀을 넣어서 싼 문종이...
-
경상북도 청송 지역에서 가정의 풍요와 재물을 관장하는 용신을 모시는 가신신앙. 용단지는 용신(龍神)을 모시는 단지이다. 용신은 풍년과 재물, 다산을 관장하는 재물신 혹은 농경신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용단지를 두는 자리는 ‘용이 드는 자리’라 하여 재물과 관련된 곳에 놓아둔다. 용단지를 두는 자리는 쌀을 취급하는 부엌이나 쌀을 보관해 두는 고방[광] 혹은 외부 사람이...
-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의 가정에서 불의 신이자 부엌과 아궁이의 신인 조왕에게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는 가신신앙. 조왕(竈王)은 불의 신이자 부엌과 아궁이의 신으로서, 그 기원은 기원전 5세기경의 중국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魏書東夷傳)」 변진조에 따르면,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방법은 다르나 문의 서쪽에 모두들 부엌신[조신(竈神)]을 모신...
-
경상북도 청송 지역의 가정에서 집터를 지켜 주는 가신. 터주는 집터를 관장하는 가신으로 집안의 액운을 막아 주고 집터를 맡아서 재복(財福)을 주는 역할을 한다. 지역에 따라 터주신, 텃대감, 터줏가리, 텃신, 터신, 지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청송군에서도 터제를 올려 가정의 평안을 빈다. 터주는 집 뒤뜰이나 장독대 근처에 모시는데 작은 단지에 짚을 두른 형태를 하고 있...
마을 신앙
-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며 지내 온 제사. 동제(洞祭)는 동신제(洞神祭) 또는 당제(堂祭)라고도 하며, 그 목적은 마을 사람들의 질병과 재앙을 방지하고, 풍요를 기원하기 위함이다. 자연 마을을 단위로 생활 공동체를 형성했던 전통사회에서 동제는 마을 공동체를 결속시키고 화합을 도모하는 역할을 했다. 청송군 지역의 동제는 지역 내의 고령화와 인구 유...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각산리 각산마을에서 매년 정월대보름 자시(子時)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진보면 각산리 각산마을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 자시에 마을 입구에 있는 당집에서 동제를 지낸다. 각산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각산마을은 300여 년 전...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감연리 아방실마을에서 정월대보름 자시(子時) 무렵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감연3리 아방실마을의 동제는 마을 동쪽 입구의 참나무 두 그루에서 음력 정월대보름 자시 무렵에 지내고 있다. 현재는 예전과 같은 동제를 지속하기 어려워 간소화시켰다. 아방실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감은리 묵방마을에서 양력 8월 15일 오전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안덕면 감은2리 묵방마을에서는 매년 양력 8월 15일 오전에 동제를 지내고 있다. 본래 정월 열나흗날 밤에 지냈으나, 1990년대 이후로는 호미걸이를 하는 ‘풋구 먹는 날’과 합쳐 8월에 지내게 되었다. 묵방마을 동제의 정확한...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거대리 거대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청송읍 거대리는 본래 청송군 부내면 지역으로 큰 내 옆에 마을이 생겼다 해서 거클 또는 거대, 거대곡이라고 불렸다. 거대리는 5개 반으로 되어 있는데, 그중 1, 2, 3반이 본마을에 해당하는 거대마을이다. 거대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관리 외관동마을에서 음력 5월 5일 자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관리는 고려시대 칠파화현(漆巴火縣)의 관청이 있어 관동(官洞), 또는 지형이 거북처럼 생겨 귀동(龜洞), 구잇골이라 하였다. 관리의 자연 마을인 외관동마을에서는 매년 단옷날 자시 무렵에 당목의 제당(祭堂)에서 동제를 지내고...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광덕리 향교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진보향교가 있는 향교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 밤이 되면 마을 북동쪽의 제당(祭堂)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작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냈으나, 마을 주민 감소와 고령화로 동제를 지속하기 어려워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중단되었다. 향교마...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교리 한실마을에서 양력 8월 15일 아침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청송읍 교리 한실마을에서는 양력 8월 15일에 마을 동쪽 산 중턱에 있는 제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최근에는 아침에 제관과 주민 몇 사람이 들러 간단하게 술을 따르는 식으로 간소화되었다. 한실마을의 동제는 마을이 형성된 시기 또는...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교리 향촌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경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읍 교리 향촌마을에서는 마을 남쪽 입구에 있는 향나무 당목에 음력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경 동제를 지낸다. 청송읍 교리 향촌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확인할 수는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향촌마을...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 조시마을에서 매년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의 자연 마을인 조시마을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 안쪽에 있는 제당(祭堂)에서 동제를 지낸다. 조시마을 제당의 신체(神體)는 당목이며, 마을 경로당에서 남서쪽으로 150m 떨어진 구릉 위 2m 지점에 있다....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의 자연 마을인 텃골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한 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 텃골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 수구당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텃골마을 동제는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텃골마을은 1760년에 밀양박씨(密陽朴氏) 박성묵(朴聖...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눌인리 안유시내마을에서 매년 음력 5월 5일 자시(子時)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현동면 눌인2리 안유시내마을에서는 마을 입구 오른편 숲에 있는 당나무에 매년 단옷날 자시 무렵에 동제를 지낸다. 안유시내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을 알 수는 없으나, 마을 사람들은 한국전쟁 시기를 제외하고 마을이...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대전리 나실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대전3리 나실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 동쪽 진입로에 있는 당목 앞에서 동제를 지낸다. 최근에는 마을의 젊은 층이 참제(參祭)하거나 제관이 되어 제를 올리기도 한다. 나실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을 알 수 없으...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 이사리마을에서 양력 8월 15일 오전 9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파천면 덕천3리 이사리마을에서는 마을 북쪽 숲과 경로당 인근에 위치한 당나무에서 양력 8월 15일 오전 9시쯤에 동제를 지낸다. 이사리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추...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문거리 문거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안덕면 문거1리 문거마을은 안덕면과 현동면 경계에 인접한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이곳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 입구의 숲에서 한 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내고 있다. 문거마을의 동제는 마을이 형성된 시기부터...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병부리 병부마을에서 양력 8월 15일 새벽에 한 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파천면 병부리 병부마을의 전신인 병부동은 동쪽과 서쪽의 두 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의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서쪽의 마을은 병부리에 포함되었으며, 동쪽의 마을은 중평리에 포함되었다. 병부리 병부마을사람들은 매년...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병부리 청수골마을에서 양력 8월 15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사일산[649m] 기슭에 위치한 청수골마을에서는 매년 양력 8월 15일이면 풋구를 겸하여 마을 서쪽 입구에 있는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작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낸다. 청수골마을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된...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부곡리 석장골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진보면 부곡리 석장골마을의 동제는 음력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 남쪽의 큰 느티나무에서 지낸다. 석장골마을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 형성 시기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석장골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마을의 당목...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 사구점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한 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 사구점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 뒷산의 소나무에 동제를 올렸으나, 2000년대에 들어 중단되었다. 사구점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구점이...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 오음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사촌리 오음마을의 동제는 마을 입구의 느티나무에서 음력 열나흗날 밤에 지낸다. 제물로 청어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오음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기 힘드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오음마을은 19세기 초엽...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당마을에서 음력 1월 15일에 마을의 안녕을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주왕산국립공원 서쪽에 위치한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당마을은 마을에 큰 당목이 있다고 하여 당마을이라고 불린다. 당마을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에 마을 중앙에 있는 제당(祭堂)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고 있다. 청송군 주...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목계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마을 제사. 청송군 파천면 송강2리 목계마을의 제당은 국도31호선 변에 조성된 목계솔밭에서 목계마을로 진입하는 곳에 있다. 목계마을의 제당은 당집, 당목, 조산으로 구성되었으며,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자정과 양력 8월 15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 원송생마을에서 매년 음력 1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는 과거 송생현의 소재지에서 명칭이 유래된 행정리로서 후평(뒷두들), 고평(북두들), 원송생의 세 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원송생마을은 송생리에서 가장 큰 자연 마을로서, 2017년 현재 60여 호에 80여 명이...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 후평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저녁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 후평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할머니당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후평마을의 동제는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추정된다. 후평마을은 용전천을 경계로 접하고 있는 청운리의 평해황씨(黃海黃氏)들...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시량리 시릿골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청송군 진보면 시량2리 시릿골마을에서는 마을 북쪽 입구에 있는 언덕 위아래의 당목에서 동제를 지냈다. 신격(神格)은 할머니신 두 위(位)와 할아버지신 한 위이며, 세 위에 각각 제상(祭床)을 차려 제를 지냈다. 시릿골마을 동제의 정...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 감곡마을에서 매년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파천면 신기2리 감곡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 입구에 위치한 두 기의 신체(神體)에 동제를 올린다. 감곡마을의 동제는 정확한 연원을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 혹은 지금과 같이 벽진이씨(碧珍李氏) 세거지...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 새터마을에서 매년 정월대보름에 한 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평해황씨(平海黃氏) 집성촌인 청송군 파천면 신기1리 새터마을에서는 마을 입구의 느티나무를 당목으로 모시며 정월대보름 밤 자정 무렵에 동제를 지내고 있다. 새터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 또는 지금과 같이 평...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신점리 내법수마을에서 양력 8월 15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주왕산면 신점2리 내법수마을에서는 8월 15일이 되면 외법수마을과 함께 법수길 끝자락에 위치한 참나무 앞에서 동제를 올린다. 제물(祭物)에 쓰이는 술 대신 흰색의 음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내법수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신점리 양지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저녁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주왕산면 신점1리 양지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에 큰당과 작은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양지마을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양지마을에서는 현재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 큰당과 작...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 신촌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한 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청송군 진보면 신촌2리 신촌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의 동쪽에 위치한 당숲에서 동제를 지냈다. 제관은 정월 열흘에 제관 한 명, 도가[동제 때 사용할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 한 명, 짐꾼 한 명을 선정하여 동제를 지냈다. 20...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흥리 상덕천마을에서 8월 15일 오전 9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파천면 신흥리 상덕천마을에서 동제는 2000년대 중반까지 정월대보름 새벽에 지냈으나, 현재는 풋구와 겸하여 양력 8월 15일 아침 9시 무렵에 조산(造山) 앞에서 지내고 있다. 상덕천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양숙리 양숙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새벽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양숙1리 양숙마을에서는 마을 서쪽 언덕 아래의 느티나무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새벽에 동제를 지낸다. 양숙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양숙마을은 약 300년...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에서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읍 월막2리는 청송군의 행정 시설이 밀집된 중심지로서, 청송읍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월막2리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용전천(龍纏川) 건너 현비암(賢妃岩) 정상에 있는 당집에서 동제(洞祭)를 지내고 있다. 현비암은 빨래를 하던 아...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월외리 달기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청송읍 월외1리 달기마을에서는 산기슭에 있는 할아버지당과 마을 입구에 있는 할머니당에서 음력 열나흗날 자정에 동제를 지낸다. 현재까지도 동제를 지내고 있으며, 제관은 이장, 경로회장, 새마을지도자가 맡고 있다. 달기마을은 달처...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이전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주왕산면 소재지인 주산지리의 이전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저녁부터 자정 무렵까지 마을 당집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주산지리 이전마을에서 모시는 동신(洞神)인 당할머니신은 주왕산면 신점리 내법수마을의 당할아버지와 내외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이현리 갈미마을에서 매년 음력 1월 14일과 6월 14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이현리 갈미마을에서는 마을 남서쪽 입구에 위치한 당목에 동제를 지냈다. 현재는 주민 감소와 고령화로 동제를 지내지 않으나, 마을 주민들이 자동차를 구입하면 술을 한 잔 올리는 자동차 고사(告祀) 장소로 이용된다....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이현리 상듬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이현리 상듬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 서쪽에 있는 두 그루의 당나무와 당집에서 동제를 지낸다. 상듬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현리의 본마...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새밭골마을에서 양력 8월 15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진보면 진안 4리 새밭골마을 주민들은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 서쪽의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작(豐作)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냈다. 현재는 양력 8월 15일에 다소 간소화한 형태로 지내고 있다. 새밭골마을 동제의 정확환 연원은 알...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청운리 청운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청송읍 청운리 청운마을에서는 마을 서쪽 보광산 하단부에 있는 할머니당과 할아버지당에서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동제를 지낸다. 두 제당에서 각각 제를 지내는데, 할머니당에는 제물로 미역국을 별도로 진설하고 있다. 청운마을 동제의...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 상고산마을과 하고산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고산(孤山)[528.4m] 북쪽에 위치한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의 자연 촌락인 상고산마을과 하고산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밤이 되면 마을의 안녕과 퐁요를 기원하는 동제를 지냈다. 추현리에서 동제를 지내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하속리 갈미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하속리의 마을들은 매봉산 남쪽의 용전천과 노부천이 만나는 지점에서 남쪽 지류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중 가장 안쪽에 위치한 갈미마을은 서북쪽과 동남쪽의 두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갈미마을 주민들은 매년 정월대보름이 되면 서북...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하의리 하의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주왕산면 하의리 하의마을에서는 마을 입구에 위치한 느티나무와 당집에서 동제를 지낸다. 현재는 외지에서 이주해 온 주민이 열나흗날 개인적으로 지내고 있다. 하의마을 동제는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하...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 머내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마을의 형세가 소의 멍에를 닮아서 멍에의 방언인 머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도 하고, 혹은 청송에서도 멀고 영덕에서도 멀다고 하여 머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도 한다.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의 머내마을은 2017년 현재 26가구에 40여 명이 거주하고 있는 작은 산촌으로 경상북도 영덕군...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의 자연 마을인 원구리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저녁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의 원구리마을은 청송 얼음골에서 동북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산촌으로, 2017년 현재 10가구 정도가 거주하고 있다. 주민들은 주로 청송얼음골을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숙박업에 종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홍원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홍원1리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밤에 동제를 지냈다. 그러나 송전마을의 동제가 1980년대에 중단되었고, 홍원마을의 동제는 2012년에 중단되었다. 홍원1리 각 마을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홍원마...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화목2리 원화목마을에서 음력 5월 5일 자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현서면 화목2리 원화목마을 주민들은 매년 단옷날 자시(子時) 무렵에 마을 입구의 당나무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원화목마을 일대는 과거에 역촌(驛村)이었다. ‘역촌의 당은 기가 세다’는 믿음 때문에, 원화목마을에서는 오래전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화장리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청송군 부남면 화장리에서는 웃화장마을에 위치한 당집에서 정월 열나흗날 밤에 동제를 지내고 있다. 화장리 각 자연 마을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각 마을의 형성 시기부터 전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장리에서는 각 자연 마을별로 당을 모시고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