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편마암복합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121
한자 京畿片麻岩複合體
영어공식명칭 Kyonggi Gneiss Complex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원남면|원동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광희

[정의]

강원도 철원군을 비롯한 중부 지방에 분포하는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시원생대의 퇴적 기원 편마암류와 혼성암층.

[개설]

경기편마암복합체는 장항~강릉 이북에서 해주~고성 이남에 이르는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퇴적 기원 편마암류와 혼성암을 의미하며, 경기변성암복합체라고도 한다. 경기편마암복합체의 편암 및 편마암류들은 대부분 각섬암상 내지 백립 암상의 변성작용과 이에 수반되는 화강암화 작용에 의하여 혼성암화되어 있어, 지층의 추적과 세분이 곤란하기 때문에 경기변성암복합체 또는 경기편마암복합체로 통칭하여 부르게 되었다.

[분포와 특징]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일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 지질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한편, 서울 서쪽에서 안면도에 이르는 해안지대에는 경기편마암복합체보다 더 오랜 것으로 추정되는 서산층군(瑞山層群)이 분포하며, 춘천시 주변에는 경기편마암복합체를 덮은 원생대 초기의 춘천층군(春川層群)이 나타난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는 북동부 지역에 해당하는 근남면, 원남면, 원동면 일대에 경기편마암복합체가 분포하며, 적근산, 대성산, 흰바우산 등의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암석은 퇴적암이 변성을 받아 형성된 준 편마암류[호상 편마암, 반상변정 편마암]가 주를 이루고, 흑운모녹니석편암, 결정질석회암, 규암, 대리암 등이 협재하고 있다. 경기편마암복합체는 기원암이 대부분 퇴적기원의 암석이기 때문에, 형성 시기가 불분명하다. 최근 보고된 연대 측정 결과에 의하면, 경기편마암복합체의 형성 시기는 대체로 23억 년에서 19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 이보다 앞선 시기의 화성암류가 보고되고 있어, 경기육괴 내부에서도 시생대 화성암류 및 이들이 관입한 시생대 지층이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

경기편마암복합체는 일반적으로 하부로부터 부천층군(富川層群), 시흥층군(始興層群), 양평층군(楊平層群)으로 구분된다. 부천층군은 흑운모석영장석편암, 흑연편암, 편마암, 석회암, 석회규산염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흥층군은 경기편마암복합체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주로 호상편마암과 반상변정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암, 편마암, 녹니석편암, 결정질 석회암층이 협재되어 있다. 양평층군은 주로 호상편마암이며 그 변성 정도가 연천군에 존재하는 연천층군과는 현저히 다르므로 연천층군의 하위에 해당하는 지층군으로 취급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