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562 |
---|---|
한자 | 上絲峰烽燧址 |
영어공식명칭 | Sangsabong Signal-fire |
이칭/별칭 | 조리동봉수지,상사리봉수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경신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2년 - 상사봉봉수지 철원군지증보편찬위원회 현황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4년 3월 28일~1994년 4월 16일 - 상사봉봉수지 국립문화재연구소 지표조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4년 5월~1995년 4월 - 상사봉봉수지 강원대학교 박물관 지표조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6년 3월~1996년 11월 - 상사봉봉수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지표조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4년 6월 14일~2005년 12월 12일 - 상사봉봉수지 강원문화재연구소 광역 지표조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6년 - 상사봉봉수지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지표조사 |
현 소재지 | 상사봉봉수지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
성격 | 봉수터 |
크기(높이,길이,둘레) | 12.72m[봉화 가로]|7.27m[봉화 세로](잔경 7간, 단경 4간) |
[정의]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터.
[개설]
상사봉봉수지(上絲峰烽燧址)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에 있는 조선 시대 내지(內地) 봉수터로 조리동봉수지, 상사리봉수지라고도 부른다. 상사봉봉수는 덕령산봉수, 삽송봉봉수, 할미산봉수를 연결하고 있다.
[건립 경위]
상사봉봉수에 대한 조선 시대 문헌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처음 기록이 전하는 것은 1942년 조선총독부가 발간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이다. 그리고 4㎞ 뒤쪽에 할미산봉수가 존재하는데 거리상 지나치게 가깝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 조선 시대 직봉으로 축조되고 이용되었던 봉수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
[위치]
상사봉봉수지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에 있다. 지방도 제463호를 따라 고석정삼거리에서 화지삼거리 방향으로 2.8㎞를 진행하면 오른쪽으로 한탄강을 따라 펜션촌으로 접근하는 포장도로와 만난다. 여기서 1.1㎞를 이동하여 태봉대교를 건너면 북쪽 약 1.8㎞ 지점에 상사봉봉수지가 보인다. 『철원군지』에는 동경 127도 17분, 북위 38도 13분으로 명기되어 있다.
[형태]
상사봉봉수지는 상사봉 정상부에서 봉수와 관련된 별다른 시설물이 확인되지 않아 형태를 알 수 없다.
[현황]
상사봉봉수지는 1992년 철원군지증보편찬위원회가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1994년 3월 28일부터 1994년 4월 16일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지표조사, 1994년 5월부터 1995년 4월까지 강원대학교 박물관이 지표조사, 1996년 3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2004년 6월 14일부터 2005년 12월 12일까지 강원문화재연구소가 광역 지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6년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가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314m 고지에는 봉화와 관련된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다만 서쪽으로 연결된 인근 고지에는 3~4단의 장방형 석재로 쌓은 장방형의 석재 시설물이 남아 있는데 용도는 알 수 없다. 기타 주변에서 유물들은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상사봉봉수지는 문헌에 알려진 여러 봉수 노선에서 동북쪽에 치우쳐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 문헌 기록에도 전하지 않고, 주변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도 특별한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서쪽 인근 봉우리 정상부에 장방형 석축 시설물이 발견되는 점에서 봉수지의 위치가 잘못 알려졌거나, 주 봉수 노선에서 이탈한 보조 봉수의 기능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북쪽 덕령산봉수, 서북쪽 삽송봉봉수, 동북방 할미산봉수와 6㎞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점에서 간선 역할을 담당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향후 정식 발굴 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성격과 기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