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110
한자 將軍-
영어공식명칭 Janggunbeodeul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현대/현대
집필자 최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74년 - 「장군버들」 강원일보사에서 발행한 『태백의 설화』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77년 - 「장군버들」 문화재보호협회 철원군지부에서 발행한 『향토지-철원, 김화, 평강』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2년 - 「장군버들」 철원군에서 발행한 『철원군지』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5년 - 「장군버들」 강원도·철원군에서 발행한 『철원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0년 - 「장군버들」 철원문화원에서 발행한 『철원향토지』 4권에 수록
관련 지명 하갈리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 지도보기
성격 인물 설화
모티프 유형 김응하 장군의 무용담

[정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 출신으로 알려진 김응하 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장군버들」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 출신인 김응하(金應河)[1580~1619] 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무인들은 부차령(富車嶺)의 장군버들 앞에 엎드려 김응하의 넋을 기리면 장군의 용맹함이 자기에게도 옮겨진다고 믿었다는 내용이다.

[채록/수집 상황]

「장군버들」은 1974년 강원일보사에서 발행한 『태백의 설화』에 수록되어 있으며, 문화재보호협회 철원군지부에서 1977년에 발행한 『향토지-철원, 김화, 평강』, 철원군에서 1992년에 발행한 『철원군지』, 1995년에 강원도·철원군에서 발행한 『철원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철원문화원에서 2000년에 발행한 『철원향토지』 등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조선시대 후기 김응하 장군의 출생지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청나라로 가는 사신들 가운데 무인들은 부차령을 넘는 것을 하나의 무도(武道)로 삼았다. 부차령에는 ‘장군버들’이라 불리는 큰 나무가 있는데, 장군버들 앞에 엎드려 김응하의 넋을 기리면 장군의 용맹이 자신의 몸으로 옮겨진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또한 장군버들 가지를 몸에 지닌 무인들은 훈장을 가진 것보다 명예로운 것으로 여겼다. 용맹의 상징이 된 장군버들의 주력(呪力)은 김응하 때문이다. 김응하는 부차령에서 6만 명의 적병에게 포위되었을 때 버드나무를 방패로 버티며 전투를 하였다. 이때 김철현(金鐵賢)이라는 통인만이 몸집이 거대한 김응하의 투구 속에 숨어 화살을 집어 주었고, 김응하는 한 개의 화살로 세 명을 맞추는 활 솜씨로 일주일 밤낮을 버티었다. 그러나 화살이 다 떨어지자 김응하는 칼로 싸웠으며, 칼이 부러지자 칼자루만으로 싸우다 결국 전사하였다. 전사한 김응하의 몸에는 10여 개의 창과 수십 개의 화살이 꽂혔 있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장군버들」김응하의 무용담을 기본 모티프로 하고 있다. 김응하는 조선 시대 명나라의 원병 요청으로 참전하여 후금(後金)의 군대를 맞아 싸우다 전사한 인물이다. 「장군버들」김응하의 용맹함을 보여 주는 무용담이며, 무인들에게 용맹함의 상징으로 부차령 버드나무가 자리 잡게 된 유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