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166
한자 -沼-由來
영어공식명칭 A Python, and Isimso's Origi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1년 3월 26일 - 「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 정진택[남, 76세]에게서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6년 - 「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수록
관련 지명 이심소골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지도보기
채록지 신철원리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용화동길 36[신철원리 152-1]지도보기
성격 설화|지명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이심이|소
모티프 유형 이무기의 파괴력

[정의]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에 있는 이심소에 사는 이심이와 관련된 이야기.

[개설]

「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무기에 대한 이야기이다. 용이 되지 못한 ‘이심이’가 사는 이심소 옆에 소를 매어 두었는데, 이심이가 소를 잡아먹고 고삐만 남겼다는 내용이다.

[채록/수집 상황]

「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는 2011년 3월 26일에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서 정진택[남, 76세]에게서 채록하였다. 「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는 2016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근처에 이심소가 있다. 이심소에는 용이 되지 못한 이심이가 살았다. 하루는 어떤 사람이 소를 이심소 근처에 매어 두었다. 그런데 이심이가 이심소에서 나와 소를 잡아먹고 고삐만 남겨 놓았다.

[모티프 분석]

「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이심소가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관한 유래담이 아니라 이심소에 사는 이심이의 성격을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주요 모티프는 ‘이무기의 파괴력’이다. 보통 이무기가 승천에 실패하는 경우는 인간의 방해를 받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야기 속에서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는 대개 복수를 위하여 인간을 괴롭히는 악행을 저지르기도 하고, 반대로 가물 때 비를 내려 주는 등 인간에게 이로운 행위를 한다. 「이무기와 이심소의 유래」에서는 마을 사람들에게 농사지을 때 꼭 필요하며 집안에서 가장 큰 재산인 소를 이무기가 잡아먹는 화소를 통하여 이무기의 부정적 성격을 드러낸다. 그리고 거대한 신체를 가진 소가 저항하지 못하고 이무기에게 잡아먹혔다는 설정은 이무기가 지닌 파괴력을 짐작하게 한다. 이심소에 사는 이무기는 마을 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는 부정적 존재로 인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