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짝골 유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206
한자 -由來
영어공식명칭 Origin of Holjjakgol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03년 9월 21일 - 「홀짝골 유래」 진덕춘[남, 87세]에게서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5년 - 「홀짝골 유래」 강원도에서 발행한 『강원의 설화』에 수록
관련 지명 홀짝골 - 강원도 철원군
채록지 도창리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지명 전설
주요 등장 인물 호랑이|통촌 사람|여인
모티프 유형 호식(虎食)의 공포

[정의]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에서 홀짝골 유래에 관하여 전하여지는 이야기.

[개설]

「홀짝골 유래」는 홀짝골에 호랑이가 나타나서 사람을 홀짝 물고 간다고 하여 생긴 전설이다.

[채록/수집 상황]

「홀짝골 유래」는 2003년 9월 21일에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에서 진덕춘[남, 87세]에게서 채록하였다. 「홀짝골 유래」는 2005년에 강원도에서 발행한 『강원의 설화』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철원에 호랑이가 홀짝 물어 간다고 하여 ‘홀짝골’이라 부르는 지명이 있다. 호랑이가 처음 사람을 물어 간 곳은 ‘첫골’이다. 통촌 사람들이 나무를 하러 갔다가 점심을 먹으려고 홀짝골로 갔을 때였다. 한 여자가 점심을 먹으려는 통촌 사람에게 눈과 발이 큰 짐승이 오니 쫓아 달라고 부탁하였다. 통촌 사람은 여인의 말을 무시하고 점심을 먹으려고 하였는데, 여인의 말대로 정말로 호랑이가 나타나 통촌 사람을 물어 갔다. 여자는 가랑나무를 꺾은 뒤 통천 거리까지 “(입에) 문 거나 먹어라!” 하고 외치며 나무를 두드리면서 넘어갔다.

[모티프 분석]

「홀짝골 유래」의 주요 모티프는 ‘호식(虎食)의 공포’이다. 전통 사회에서 호식은 사람들에게 큰 공포였다. ‘홀짝골’은 호랑이가 사람을 ‘홀짝홀짝’ 물어 간다고 하여 생긴 지명이다. ‘홀짝 물어 간다’는 표현은 사람들이 호랑이에게 갖는 공포와 두려움을 압축적으로 극대화한 것이다. 여자는 통촌 사람에게 눈이 크고 발이 큰 짐승이 오니 쫓아 달라고 요청한다. 여자는 호랑이를 ‘눈이 크고 발이 큰 짐승’이라고 표현한다. 이는 사람들이 호랑이에게 갖는 공포감을 이미지화한 상징이다. 여자는 극대화된 공포의 대상인 호랑이에게 ‘경고’와 ‘위협’의 방식으로 ‘호식(虎食)의 공포’에 맞선다. 홀짝골을 넘을 때 “문 거나 먹어라!” 하고 계속 외치면서 꺾은 가랑나무를 두드려 통촌 거리까지 무사히 넘어간 것이다. “문 거나 먹어라!”라는 표현은 더 이상 사람을 해치지 말라는 경고의 메시지이다. 그리고 목적지까지 가면서 가랑나무를 계속 두드리는 행위는 호랑이에게 보내는 ‘위협’이다. 호랑이에게 나무 두드리는 소리로 공포감을 주어 자신 앞에 나타나지 않도록 방비를 한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