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013
한자 經濟·産業
영어공식명칭 Economy &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성훈

[정의]

강원도 철원군 지역의 특성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재화·용역의 생산과 분배, 소비와 관련되는 활동 영역.

[개설]

철원군은 4읍[철원읍, 동송읍, 갈말읍, 김화읍], 7개면[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원도 철원군은 지역의 인문지리적, 자연지리적 특성에 기반하여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과 농림어업을 대표적인 산업이자 주된 경제활동 분야로 꼽을 수 있다. 강원도 철원군은 지역의 미래 산업·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2008년 『2020년 철원군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지역 특성에 기반하여 3개의 지역생활권을 구분하여 강원도 철원군 지역의 산업·경제를 기획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의 인구 구조]

2019년 7월 기준으로 강원도 철원군은 총 4만 5590명[남자 2만 3837명, 여자 2만 1753명]의 인구가 등록되어 있으며 성비는 109.58명으로 나타났다. 읍면 지역별로 살펴보면, 동송읍 1만 5994명[남자 8,113명, 여 7,881명], 갈말읍 1만 2386명[남자 6,658명, 여자 5,728명], 철원읍 5,147명[남자 2,644명, 여자 2,503명], 서면와수출장소 3,894명[남자 1,986명, 여자 1,908명], 김화읍 3,726명[남자 1,995명, 여자 1,731명], 근남면 2,292명[남자 1,232명, 여자 1,060명], 근북면 110명[남자 52명, 여자 58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강원도 철원군의 2020년 철원군 기본계획에 따르면, 철원군은 2020년까지 6만 6000명의 계획인구와 2만 6400세대의 계획가구를 목표로 수립하였다.

[산업·경제활동별 부가가치 구조]

강원도 철원군은 2016년 기준 지역내총생산[총 부가가치, 당해년 기초가격 기준]은 1조 4874억 6200만 원으로, 강원도 전체 총 부가가치[38조 5723억 3100만 원]의 3.9%를 차지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은 접경지역이라는 인문지리적 특수성과 용암대지와 북한 이남 지역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한 자연지리적 특성에 기반하여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과 농림어업이 대표 경제활동이며, 이러한 구조가 지역내총생산 구조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의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을 살펴보면,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7824억 9200만 원[강원도 철원군 지역총생산의 52.6%]으로 다른 경제활동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농림어업이 2166억 3100만 원[강원도 철원군 지역내총생산의 14.6%], 교육서비스업 788억 3549만 원[강원도 철원군 지역내총생산의 5.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강원도 철원군의 산업·경제의 미래-2020년 철원군 기본계획]

강원도 철원군은 지역의 미래 산업·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지역생활권의 특성에 기반한 『2020년 철원군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2020년 철원군 기본계획』에 따르면, 강원도 철원군 지역을 철원·동송 중생활권, 갈말 중생활권, 김화 중생활권으로 나누어 경제적·산업적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첫째, 철원·동송 중생활권은 상업, 업무, 금융 기능을 지닌 도심기능을 특화시키며,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남북 교류의 협력 거점 기지[평화산업단지 기반 시설 구축 등]로 구상하였다. 또한, 휴양과 관광 거점 기능을 특화시켜 관광업의 핵심지역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더하여, 최근 강원도 철원군 농가와 축산가에서 도입 중인 스마트팜을 적용하여 첨단 시설 농업을 육성할 수 있는 핵심 거점 생활권으로 계획하였다. 둘째, 갈말 중생활권은 공공 행정과 상업, 업무 중심의 도심기능을 부여하고, 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소 등 관련 기관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산업 중심의 첨단산업과 연구 기능이 특화된 지역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모험 관광[한탄강 래프팅, 직탕 관광지 등]과 축산업의 거점 기능[돈토마을, 축산업 기반 구축 등]을 부여하여 생활권의 산업 경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셋째, 김화 중생활권은 KAPRA[물리기술연구소] 육성 사업을 중심으로 첨단산업·연구 기능을 부여하고, 청정환경을 활용한 친환경농업 실천 마을 조성, 잠곡 관광지 및 체험 마을 조성 사업을 기반으로 청정환경 농업 육성을 위하여 특화된 생활권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