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465
한자 收復地區
영어공식명칭 Reclaimed District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규

[정의]

강원도 철원군과 같이 6·25전쟁 전 북한에 속하였다가 전쟁 후 남한에 편입된 접경지역.

[개설]

수복 지구는 6·25전쟁 전 38선 이북 지역으로 강원도 철원군, 김화군, 화천군, 양구군, 고성군, 양양군, 인제군, 춘천시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된다. 경기도의 연천군과 포천군 북부, 가평군 북면 일부도 해당된다. 철원군은 전체가 다 38선 이북에 위치하여 있었고 6·25전쟁 후 철원군의 절반 정도가 남한에 편입되었다. 아직도 북한에 북철원이 존재한다.

수복 지구 철원은 6·25전쟁 기간 중에 구 철원읍 시가지[관전리]와 구 김화읍 시가지[생창리]가 폭격으로 폐허가 되어 도시 자체가 사라졌다. 해당 지역에 살던 토박이 주민들이 대부분 1950년 9월 인민군들이 퇴각할 때 북으로 올라갔다. 결국 철원 주민들의 70% 이상이 터전을 떠났고 다시 고향을 찾아온 이는 15% 내외이다.

1951년 5월부터 휴전될 때까지 전선이 중부지방에 고착되고 치열한 고지전이 벌어지면서 철원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졌다. 한국군과 인민군들이 번갈아 지역을 점령하면서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되었다. 살아남은 철원 지역민들은 전쟁이 끝나고 수복된 후 다시 고향에 돌아왔지만 원래 고향이 최전방 DMZ 안이거나 민통선에 묶여 들어가지 못하고 밖에 있는 정착촌에 머물러야 했다.

[변천]

1953년 11월 2일 김장흥(金長興) 치안국 부국장은 철원 등 7개 군 완전 미수복 지구의 치안은 지방자치제에 의하여 단행되고 있으므로 미군 당국과 교섭하여 우선 치안 확보를 위해 조만간 다수의 경찰관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국군 제5군단에서는 미 제8사단 사령관의 지시에 의거하여 1954년 3월 11일자로 동 군단 관하 전역의 귀농선(歸農線)을 철폐하고 군정을 실시할 것을 공고하는 한편, 동일부로 복귀 농민들의 등록 접수를 개시하였다.

1954년 4월 14일 서울시에서 강원도 철원군을 포함한 미수복 지구에 가는 영농 희망자에게 10일 분 양곡을 배급하였다.

1954년 4월 25일 강원도 철원군을 포함하여 국군 제5군단 군정 아래 있는 포천·연천·금성·김화·화천·가평의 7개 군은 임시로 북부 포천군이라 가칭하고 22개 면을 7개 면으로 군 행정지구를 조직하였다. 각 군 면에는 군인으로 책임자[행정인]를 정하여 동 지구로 복귀하는 농민들을 지도 알선하였다.

1954년 8월 7일 내무부에서는 조만간 이양될 38이북 수복지구의 행정권 관할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동 지역에 대한 행정구역 제정과 행정 실시에 필요한 예산 관계 등 “수복 지구 행정 대책안”의 초안을 완료하여 국무회의에 상정하였다.

1954년 9월 중순부터 강원도 철원군을 포함한 연천·화천·양양·고성·인제·양구 등 7개 군 새 수복 지구에 대한 미 제8군 측과의 행정권 이양 교섭이 있어온 지 만 2개월 만인 11월 15~16일 이틀간에 걸쳐 현지에서 정식으로 인수를 진행하였다. 김화·철원·연천 등의 지역을 포함한 5군단 관할은 현재 군정 상의 편의를 위하여 1군 7개면으로 획정되어 북포천군으로 호칭되었다. AFAK 원조로써 51동의 방대한 공공건물과 2,500호의 주택이 일정한 도시계획 아래 건립되었다. 총 4,470여 세대, 2만 577명의 주민이 군의 적극적 지원 아래 입주 귀농하였고, 1명의 군수 아래 각 면에는 면장으로서 군 민정관인 장교가 입주하여 농민의 행정을 담당하였으며, 헌병이 치안사무를 담당하였다. 군 의무관과 민간인 의사 간호부가 병원에서 구호를 담당하고 군인 교관과 민간인 교사들이 초등학교 취학 아동들을 가르쳤다.

수복 초기 철원군청에서 처리해야 할 일 중 가장 시급한 것은 주민들의 주택 문제 해결이었고, 다음은 신원 회복과 호적정리 문제였다. 또한 부족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고 구호물자를 적기적소에 배급하는 일이 시급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