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설치목 다람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하늘다람쥐는 오래되고 건강한 숲을 나타내는 지표종 동물이며, 우리나라 특산 아종이다. 섬 지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한다. 하늘다람쥐는 한때 절멸 위기에 놓였지만, 지금은 나무심기 등으로 살아갈 수 있는 숲 환경이 좋아지고, 종에 관한 관심도 높아져 전국적으로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하늘다람쥐는 천연기념물과...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일대 일제 강점기 나무 땔감 시장 개설 문제. 강원도 철원군의 중심지는 철원도호부가 있었던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일대이다. 반면 지금의 철원군 중심지인 철원군청이 있는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와 상가가 밀집된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는 농토는 물론 집들이 거의 없는 두메산골이었다. 강원도 철원군 외곽 지역에는 산지가 많아 대부분 주민들이 겨울철에 나무를 해서 철원...
-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전사한 문신. 홍명구(洪命耈)[1596~1637]의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字)는 원로(元老), 호는 나재(懶齋),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홍춘경(洪春卿)이고, 할아버지는 광국공신 홍성민(洪聖民)이다. 아버지는 병조참의 홍서익(洪瑞翼)이며, 어머니는 심종민(沈宗敏)의 딸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홍명구는...
-
강원도 철원 지역에 도읍하고 있던 고려 초기에 나주 일대의 통치와 관리를 위하여 설치한 기구. 고려 초기인 918년 나주에 설치되었던 관부이다. 나주도대행대(羅州道大行臺)가 설치된 시기는 고려의 수도가 철원에 있던 때였다. 나주도대행대는 나주 일대의 세력을 장악하고 군사적 시위와 치안 및 행정 등을 관리하기 위한 관부였다. 나주도대행대의 명칭은 왕건의 역성혁명 직후 단 한 차례만...
-
912년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덕진리 덕진포 일대에서 벌어진 태봉과 후백제의 전투.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덕진리 덕진포 일대는 태봉과 후백제 사이의 패권을 가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충지로서 당시에는 나주에 속하였다. 덕진포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태봉이 승리함으로써 서남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 이후 태봉은 내륙에서도 후백제와 신라를 더욱 압박하여 삼한 영토의 3분의 2...
-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를 창안하고 철원 지역의 산수를 그린 화가. 정선(鄭敾)[1676~1759]의 본관은 광주(光州)이고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이다. 아버지는 정시익(鄭時翊)이고,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이다. 정선은 1676년(숙종 2) 한성부 순화방 유란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그림을 잘 그렸고, 김...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설치목 다람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하늘다람쥐는 오래되고 건강한 숲을 나타내는 지표종 동물이며, 우리나라 특산 아종이다. 섬 지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한다. 하늘다람쥐는 한때 절멸 위기에 놓였지만, 지금은 나무심기 등으로 살아갈 수 있는 숲 환경이 좋아지고, 종에 관한 관심도 높아져 전국적으로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하늘다람쥐는 천연기념물과...
-
강원도 철원군 일대를 지나 한탄강에 합류하는 지방 하천. 화강은 북한의 강원도 김화군 금성면 수리봉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근동면·김화읍을 거쳐 한탄강으로 유입하는 한탄강의 지류이다. 화강의 유역면적은 333.6㎢이며 유로연장은 39.7㎞이다. 철원 지역에서 화강의 하폭은 약 50~150m, 평균 수심은 약 1m이며 지방 1급 하천으로 관리되고 있다. 화강은 한때 남대천으로...
-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서 북한강과 합류하는 하천. 금성천은 북한의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서 철원군 임남면의 북한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길이 72.3㎞, 유역면적 591㎢이다. 금성천은 금성마을 앞을 흐르는 하천을 의미하며, 남대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금성(金城)이라는 지명은 김화군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으로 통일신라 시대 및 조선 시대에...
-
북한의 강원도 김화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근동면과 김화읍을 지나 한탄강에 합류하는 지방 하천. 남대천은 북한의 강원도 김화군 금성면 수리봉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근동면과 김화읍을 거쳐 한탄강으로 유입되는 한탄강의 지류이다. 남대천의 유역면적은 333.6㎢이며 유로연장은 39.7㎞이다. 철원군 김화읍에서 남대천의 하폭은 약 50~150m, 평균 수심은 약 1m이며 지방...
-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강원도 금성군(金城郡) 남면(南面) 지역으로 남쪽 둔지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남둔리(南屯里)라고 하였다. 옛 행정구역인 천동리는 샘터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천동리(泉洞里)라 하였고, 이남리는 월봉마을로부터 남쪽으로 두 번째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이남리(二南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원도 금성군 남면 천동리,...
-
강원도 철원군의 특산물로 지정된 가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과일채소. 토마토는 지역에 따라 일년감, 번가, 서홍시라고 불린다. 토마토는 높이가 약 150㎝까지 자라며, 화방 하나에 열매가 3~4개 열린다. 토마토는 생으로도 먹지만, 열을 가해 익혀 먹으면 영양소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조리하여 먹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복수 1호와 2호, 영수, 광수, 서광 등의...
-
강원도 철원군의 특산물로 지정된 가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과일채소. 토마토는 지역에 따라 일년감, 번가, 서홍시라고 불린다. 토마토는 높이가 약 150㎝까지 자라며, 화방 하나에 열매가 3~4개 열린다. 토마토는 생으로도 먹지만, 열을 가해 익혀 먹으면 영양소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조리하여 먹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복수 1호와 2호, 영수, 광수, 서광 등의...
-
강원도 철원군에 위치한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6·25전쟁 당시 사망한 참전군인 유해를 남북한이 공동으로 발굴하는 협력 사업. 대한민국과 북한은 비무장지대를 평화 지대로 만들어 가기 위한 협력 방안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강원도 철원군에 위치한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6·25전쟁 당시에 사망한 남북한 참전군인의 유해를 공동으로 발굴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발굴 시작 시점에 북...
-
강원도 철원군 화살머리고지 일대에 개설된 남북한을 연결하는 도로. 남북한이 평화적 교류와 협력 방안으로 단절된 남북한 간 철도 및 도로를 연결하는 사업을 논의하였다. 분단 전 남북을 연결하던 국도는 국도 제1호[전라남도 목포시-평안북도 신의주시]과 동해안의 국도 제7호[부산광역시-함경북도 온성군], 국도 제31호[부산광역시-강원도 고산군], 그리고 강원도 중부 지역을 통과하는 국...
-
통일신라와 발해가 양립하던 7세기 후반부터 10세기 전반까지 시기 강원도 철원 지역의 역사. 강원도 철원 지역은 통일신라 시기 한주 소속의 철성군이었고 통일신라 말 궁예가 세운 태봉의 첫 도읍지였다. 신라는 7세기 전반까지 철원 지역을 장악하여 군으로 삼고 한산주[한주]에 소속시켰다. 진평왕 때부터 치열해지던 삼국 간의 전쟁은 진덕여왕 대에 신라-당나라 사이에 군사동맹이 맺어지면...
-
강원도 철원군 일대 민물에 서식하는 거북목 남생이과에 속하는 민물 거북. 남생이는 우리나라 토종 거북으로 논, 저수지, 하천 등 민물에서 사는 민물 거북이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무분별한 남획,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 같은 외래종 유입으로 지금은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남생이 성체 등껍질의 길이는 20~30㎝ 정도이다. 등껍질은 흑색, 흑갈색...
-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시작하여 강원도 철원군을 거쳐 자강도 초산 지역에 이르며, 한반도의 중앙을 관통하는 일반 국도. 국도 제3호는 시점과 종점의 이름을 차용하여 남해~초산선이라고도 한다. 현재 경상도 내륙[남해군·사천시·진주시·산청군·함양군·거창군·김천시·상주시·문경시], 충청북도[괴산군·충주시·음성군], 경기도 동남부[이천시·여주시·광주시·성남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북부[...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에 속하는 법정리. 내대리(內垈里)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의 서부에 있으며, 북쪽으로 철원군 갈말읍 동막리와 상사리, 동쪽으로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와 지경리, 남쪽으로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서쪽으로 한탄강을 경계로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접하고 있다. 내대리는 주위를 둘러싼 산지의 안쪽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으로 ‘안터’라고 불리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로 스스로 공부하고 개성과 재능을 발달시켜 미래를 대비하는 어린이, 새로운 생각과 도전으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어린이, 문화예술적 소양과 가치를 알고 질 높은 삶을 준비하는 어린이, 넓은 세상을 알고 함께하는 마음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를 추구하고 있다. 교훈은 ‘사랑·꿈·보람이 영그는 행복한 학교’이...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로 스스로 공부하고 개성과 재능을 발달시켜 미래를 대비하는 어린이, 새로운 생각과 도전으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어린이, 문화예술적 소양과 가치를 알고 질 높은 삶을 준비하는 어린이, 넓은 세상을 알고 함께하는 마음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를 추구하고 있다. 교훈은 ‘사랑·꿈·보람이 영그는 행복한 학교’이...
-
강원도 철원 지역에 도읍하였던 마진과 태봉의 중앙 관부. 904년 마진(摩震)을 건국한 궁예(弓裔)가 신라의 제도를 참작하여 관제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설치한 관부이다. 태봉(泰封)과 고려 초까지 이어지며 국정 운영의 한 축을 담당하는 중요한 관부로서 기능하였다. 고려의 상서성(尙書省)에 해당한다. 895년 8월 철원 일대까지 세력을 확장한 궁예는 896년 철원성을 거점으로 국가를...
-
조선 후기 철원부사를 지냈던 문신. 정래상(鄭來祥)[1643~1717]의 본관은 동래(東萊)이고 자는 내지(來之)·대숙(大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참판을 지낸 정협(鄭恊)이고, 할아버지는 장연부사 정세미(鄭世美)이다. 아버지는 사헌부지평 정수(鄭修)이며, 어머니는 김계(金啓)의 딸 안동김씨(安東金氏)이다. 정래상은 1643년(인조 21)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에서 태어났다....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내포리는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유정리, 동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강산리, 중강리, 관우리, 남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서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유정리, 외촌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철원군 서변면 내포리로 개설되었다. 이후 서변면에서 철원면이 되었으며, 1931년 4월 1일 부령 제1...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꼽혔던 절일. 한식은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된다. 이날은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하며 찬 음식을 먹는 고대 중국의 풍습에서 비롯되었기에 금연일(禁烟日), 숙식(熟食), 냉절(冷節)이라고도 한다.우리나라에서도 한식은 불을 금하고 성묘를 하며 투란(鬪卵)놀이[계란 위에 누가 그림을...
-
강원도 철원군에서 참나무·굴참나무·상수리나무 등 두꺼운 나무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굴피집은 산간에 거주하는 화전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집이다. 초가집, 기와집 등과 마찬가지로 지붕을 이은 재료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산간에서 지붕의 재료로 쓰이는 것은 너와이다. 너와는 지붕을 이는 데 기와처럼 쓰는 재료로서, 널빤지를 쓰는 나무 너와와 켜가 있는 청석판을 쓰는 청석 너와의 두...
-
1946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 건립된 노동당 철원군지부 건물. 강원도 철원군은 38선 이북에 있어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동시에 소련군이 진주하였고 인민위원회가 설치되어 공산 정권 아래에 들어갔다. 철원군은 경원선의 중심역인 철원역의 소재지였고 분단 직후 일시적이나마 북강원도 도청 소재지였을 정도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남북 분단 상황에서도 공산 정부...
-
1946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 건립된 노동당 철원군지부 건물. 강원도 철원군은 38선 이북에 있어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동시에 소련군이 진주하였고 인민위원회가 설치되어 공산 정권 아래에 들어갔다. 철원군은 경원선의 중심역인 철원역의 소재지였고 분단 직후 일시적이나마 북강원도 도청 소재지였을 정도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남북 분단 상황에서도 공산 정부...
-
강원도 철원군 노동당사 앞에서 열리는 세계 평화음악제. 노동당사 음악제는 철원 노동당사 앞에서 2013년 ‘정전 60주년 DMZ평화음악제’라는 명칭으로 시작하여 매년 6월에 세계 평화를 기원하면서 여는 행사이다. 2013년도는 1950년 6·25전쟁이 벌어져 3년간 전쟁을 치르다가 1953년 휴전협정을 맺은 지 60주년이 되는 해였다. 60주년은 우리나라에서 인생 환갑이라는 중요...
-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노동리(盧洞里)라 하였다. 본래 강원도 금성군(金城郡) 남면(南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원도 금성군 남면 노동리, 능동리, 지선동을 통합하여 강원도 김화군 원남면 노동리로 개설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동시에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북한 지역에 속하였다가 6·25전...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에서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장년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야간에 운영된 학교. 농촌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설립된 노동야학은 일제 강점기에는 노동자와 농민들의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국권 회복을 위한 항일운동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일제 강점기 철원 지역에서 설립되어 운영된 야간학교로는 노동야간학교와 김화야학교가 있다. 두 야간학교는 1914년 설립...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출신의 독립운동가. 노병한(盧秉漢)[1920~1945]은 1920년 4월 4일 김화 구룡리[현 북한 강원도 김화군 구봉리]에서 태어났다. 1942년 5월 부산의 서면에 있던 임시 군속 교육대에 들어가 3,000여 명의 한국인 청년들과 함께 포로 감시원 훈련을 받았다. 노병한은 1942년 8월 동남아시아로 출발하였으며, 9월 14일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섬의...
-
강원도 철원군에서 농업에 사용되는 도구들. 농기구(農器具)는 농사일에 사용되는 도구나 기구를 총칭하는 말이다. 주로 인력용과 축력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손발의 연장으로 이용되는 것이 많았다. 각기 다른 농업의 형태, 작물의 종류, 경지와 지역의 특색 등에 따라 다양한 농기구들이 발달하였다. 그런데 농업의 근대화가 추진되면서 농기구도 점차 기계화되어 재래식 농기구들은 모습을 감추고...
-
강원도 철원 지역 전체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 농기싸움놀이는 강원도 철원군 전역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이다. 철원군은 너른 평야지대를 바탕으로 일찌감치 농경사회로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다양한 농촌 풍속을 형성하여 왔다. 전통사회의 농사일은 품앗이와 울력, 두레를 조직하는 방식으로 행해졌다. 철원 지역에서는 특히 두레가 풍물패를 함께 조직·운영하였다. 특히 두레 풍물패마다 상징으로...
-
강원도 철원 지역 전체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 농기싸움놀이는 강원도 철원군 전역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이다. 철원군은 너른 평야지대를 바탕으로 일찌감치 농경사회로서 발전을 거듭하면서, 다양한 농촌 풍속을 형성하여 왔다. 전통사회의 농사일은 품앗이와 울력, 두레를 조직하는 방식으로 행해졌다. 철원 지역에서는 특히 두레가 풍물패를 함께 조직·운영하였다. 특히 두레 풍물패마다 상징으로...
-
강원도 철원군에서 음력으로 6월 15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유두(流頭)는 음력으로 6월 15일로, 보름 명절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유두는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를 줄인 말로 알려져 있다.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는 이날 맑은 시내나 산간 폭포에 가서 액과 더위를 피할 수 있기를 기원하고자 ‘물맞이’를 하면서 머리를 감고 몸을 씻은 뒤, 가지고...
-
강원도 철원군에서 적합한 기술과 경영 방법으로 식물, 동물, 가축 등의 재배 및 관리를 하는 산업. 강원도 철원군은 해발 1,000m 이상의 산줄기들이 뻗어 있으며, 한반도 내륙에 위치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가 나타난다. 또한, 철원은 2016년 기준 1만 2836㏊의 경지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1만 372㏊는 논으로, 2,464㏊는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철...
-
강원도 철원군에서 적합한 기술과 경영 방법으로 식물, 동물, 가축 등의 재배 및 관리를 하는 산업. 강원도 철원군은 해발 1,000m 이상의 산줄기들이 뻗어 있으며, 한반도 내륙에 위치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가 나타난다. 또한, 철원은 2016년 기준 1만 2836㏊의 경지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1만 372㏊는 논으로, 2,464㏊는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철...
-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농업인의 협동조합.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농업협동조합은 신용[금융] 사업, 교육 지원 사업, 경제 사업, 미곡종합처리장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신용 사업은 농업 자금을 조달하고 공급하는 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농업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수익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으로 시중은행과 같은 기능을 한다. 이외에도 카드, 보험, 상호금융, 외국환, 증권 등...
-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농업인의 협동조합.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농업협동조합은 신용[금융] 사업, 교육 지원 사업, 경제 사업, 미곡종합처리장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신용 사업은 농업 자금을 조달하고 공급하는 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농업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수익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으로 시중은행과 같은 기능을 한다. 이외에도 카드, 보험, 상호금융, 외국환, 증권 등...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리에 있는 쌀, 잡곡, 특정 미곡 등을 가공·판매하는 업체. 농업회사법인 철원미곡주식회사는 DMZ[비무장지대]에서 흐르는 맑은 물로 재배된 철원오대쌀과 철원평야에서 생산된 잡곡, 특정 미곡 등을 도정하여 판매하는 업체이다. ‘상인의 기본 양심을 지키고 항상 최선을 다하자’를 좌우명으로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생산되는 쌀과 잡곡 등을 보다 좋은 품질의 쌀로...
-
해방 직후 강원도 철원 지역을 비롯한 남한에서 토지소유권을 경작자에게 넘겨주어 경작인 보호에 중점을 두었던 개혁. 농지개혁은 1949년 6월 21일 제정·공포된 「농지개혁법」에 의거하여 1950년에 실시한 것이다. 당시 농지개혁을 하여야 했던 이유는 첫째, 8·15해방 직후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고 민주국가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광복 당시 전체 농지 222만 6000㏊...
-
강원도 철원군 지역 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농촌버스. 농촌버스는 주로 군 지역의 단일 행정구역에서 운행계통을 정하는 자동차 여객사업을 의미한다. 강원도 철원군의 농촌버스는 현재 철원군청 건설과에서 노선을 관리하고 있으며, 제일여객 주식회사에서 운행을 담당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강원도 철원군의 농촌버스 운행에 총 17대가 투입되었으며, 1일 농촌버스의 평균 이용객 수는 1,...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있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산하 출장소.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산하 연구 기관으로 중북부 지역에 적응할 수 있는 조생종 벼 품종 개발 및 재배 기술 확립과 통일 대비 북부지방 적응 벼 품종 개발 및 육성, 재배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는 중북부 중간 지대 적응 벼 조생 품...
-
강원도 철원군에서 통나무를 우물 정(井) 자 모양으로 귀를 맞추어서 층층이 쌓아 만든 집.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귀틀집이 지어졌는지는 알 길이 없다. 그런데 『삼국지』 위지동이전 변진조에 “그 나라는 누목식(累木式)으로 집을 지었고 그 모양이 뇌옥(牢獄)[감옥]과 비슷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 나오는 누목식 집, 즉 나무로 쌓아 만든 집은 귀틀집을 이르는 것이다. 이렇게...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3리에 조성된 농촌 체험 정보화마을. 누에마을은 정보화마을 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정보통신 기자재를 활용하여 누에마을의 자연환경과 청정농산물을 홍보하고 있으며, 계절별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누에마을이 있는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蠶谷里)의 지명을 우리 말로 풀이하여 누에마을이라 지었다.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는 마을...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에 있는 인공 저수지. 잠곡저수지(蠶谷貯水池)는 잠곡댐 건설로 인하여 형성되었으며, 대성산과 광덕산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사곡리·육단리,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용양리 등 인근 지역에 생활용수와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누에호수라고 불리기도 한다. 잠곡저수지의 명칭은 저수지가 위치한 잠곡...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강원도 동북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개체수는 많으나 유전적 다양성이 크지 않다. 환경부 멸종위기 2급 식물로 지정된 희귀식물이다. 개느삼은 높이 약 1m 정도까지 곧게 서서 자라며, 땅속줄기로 번식한다. 가지에는 털이 있고, 껍질은 어두운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모양겹잎으로 작은 잎...
-
강원도 철원군에서 참나무·굴참나무·상수리나무 등 두꺼운 나무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굴피집은 산간에 거주하는 화전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집이다. 초가집, 기와집 등과 마찬가지로 지붕을 이은 재료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산간에서 지붕의 재료로 쓰이는 것은 너와이다. 너와는 지붕을 이는 데 기와처럼 쓰는 재료로서, 널빤지를 쓰는 나무 너와와 켜가 있는 청석판을 쓰는 청석 너와의 두...
-
강원도 철원군에서 참나무·굴참나무·상수리나무 등 두꺼운 나무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굴피집은 산간에 거주하는 화전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집이다. 초가집, 기와집 등과 마찬가지로 지붕을 이은 재료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산간에서 지붕의 재료로 쓰이는 것은 너와이다. 너와는 지붕을 이는 데 기와처럼 쓰는 재료로서, 널빤지를 쓰는 나무 너와와 켜가 있는 청석판을 쓰는 청석 너와의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