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는 철원군 동송읍의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강산리, 동쪽과 동남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 양지리, 남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 서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와 접하고 있다. 갈오리로 불리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하갈리(下葛里)로 개칭되었다. 1760년(영조 36)...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는 철원군 동송읍의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강산리, 동쪽과 동남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 양지리, 남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 서쪽으로는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와 접하고 있다. 갈오리로 불리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하갈리(下葛里)로 개칭되었다. 1760년(영조 36)...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인공 저수지. 하갈저수지는 상류천 유역에 있으며, 동송저수지 남쪽에 있다. 겨울철에는 두루미 등이 찾아오는 철새 도래지이며, 현재 한국농어촌공사 철원지사에서 관리 중이다. 하갈저수지는 민간인 통제선 내에 위치하여 자유로운 출입이 제한된다. 1950년 6·25전쟁의 휴전으로 인하여 강원도 철원군 북쪽의 강원도 평강군의 봉래호저수지의 물길이 차단되...
-
조선 전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사망한 문신. 허봉(許篈)[1551~1588]의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자는 미숙(美叔), 호는 하곡(荷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허담(許聃)이고, 할아버지는 증이조참판 허한(許澣)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허엽(許曄)이며,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광철(金光轍)의 딸 강릉김씨(江陵金氏)이다. 동생은 허난설헌(許蘭雪軒)·허균(許筠)이다. 허봉은 1568년...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설치목 다람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하늘다람쥐는 오래되고 건강한 숲을 나타내는 지표종 동물이며, 우리나라 특산 아종이다. 섬 지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한다. 하늘다람쥐는 한때 절멸 위기에 놓였지만, 지금은 나무심기 등으로 살아갈 수 있는 숲 환경이 좋아지고, 종에 관한 관심도 높아져 전국적으로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하늘다람쥐는 천연기념물과...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과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터널. 하오터널은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와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 사이에 높게 솟아 있는 복주산과 화목봉 사이의 하오재를 따라 만들어졌다. 해당 시설물은 현재 1종 시설물로 지정되어 있다. 하오터널은 강원도도로관리사업소 북부지소 하오터널관리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해당 기관은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하오재로...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일정한 물길을 형성하며 흐르는 물줄기. 강원도 철원군은 한강 수계에 속하며, 철원의 하천들은 크게 임진강 수계와 북한강 수계로 양분된다. 대표적인 하천으로는 한탄강과 화강, 역곡천, 금성천 등이 있다. 철원의 중심부를 관류하는 한탄강은 대표적인 임진강의 지류로서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추가령구조곡을 따라 흐르며, 현무암 주상절리로 이루어진 절벽과 협곡, 폭포 등...
-
강원도 철원군을 상징하는 군조. 두루미는 강원도 철원군을 상징하는 군조(郡鳥)이다. 두루미는 두루미목 두루미과에 속하는 대형 새이며, 겨울에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희귀한 겨울철새이다. 두루미는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 제20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두루미는 천연기념물이라는 상징성과...
-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의 교육기관. 학교란 일정한 목적·교과과정·설비·제도 및 법규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학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다. 형태는 목적 단계에 따라 다양한데, 교육법에 규정된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등이 포함된다. 철원군에는 유치원 11개, 초등학교 16개, 중학교 5개, 고등학교 5개, 대학교는 0...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조성된 농촌체험마을. 학마을은 오랜 세월 벼농사에 종사한 마을 공동체가 쌀과 관련된 관광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확충하는 동시에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조성된 농촌 체험 마을이다. 마을 공동체 사업으로 운영되는 철원학마을센터는 다목적실과 숙박시설이 구비되어 있어 단체 교육 및 워크숍을 유치하고 있으며, 오대쌀 누룽지...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조성된 농촌체험마을. 학마을은 오랜 세월 벼농사에 종사한 마을 공동체가 쌀과 관련된 관광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확충하는 동시에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조성된 농촌 체험 마을이다. 마을 공동체 사업으로 운영되는 철원학마을센터는 다목적실과 숙박시설이 구비되어 있어 단체 교육 및 워크숍을 유치하고 있으며, 오대쌀 누룽지...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4리에서 채집된 청동기 시대 간돌 유물. 학사4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鶴沙四里發見埋藏文化財申告遺物)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4리에서 채집된 간돌 유물 3점으로, 철원 지역의 청동기 시대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간돌검은 자루가 없는 유경식(有莖式)으로서 검신(劍身)의 단면은 납작한 마름모꼴이다. 간돌창도 유경식(有莖式)으로 소형에 속한다. 간돌...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및 조선 시대 유물산포지. 학사리 유물산포지(鶴沙四里遺物散布地)는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및 조선 시대 유물산포지이다. 1967년에 철원군에서는 처음으로 발견 매장문화재가 신고되면서 알려진 곳이다. 이후 1985년 조선 시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국립문화재연구소, 강원문화재연구소 등에서 실시한 지표 조사를...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는 철원군 김화읍의 중앙부에 있으며, 동남쪽으로 철원군 서면 와수리, 동북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와 생창리, 서북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남서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청양리와 접하고 있다. 철원군 김화읍의 읍사무소 소재지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학포리와 사기막리를 통합하면서 학사리(鶴沙里)라 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있는 저수지. 학저수지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와 도피안사 사이를 연결하며, 주변 경관이 빼어나고 철새 도래지로도 유명하다. 학저수지의 ‘학’이라는 이름은 학저수지 인근 금학산(金鶴山)의 모양에서 비롯되었다. 금학산은 마치 학이 내려앉은 모양과 닮았는데, 이 때문에 학저수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학저수지가 있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도 ‘학...
-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을 지나 임진강에 합류하는 지방 1급 하천.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군·연천군을 거쳐 임진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유로연장이 141㎞이고 유역면적은 2,085㎢이며, 남대천과 차탄천 등의 지류가 있다.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흐르며, 주상절리로 이루어진 절벽과 협곡이...
-
강원도 철원군에서 음력으로 8월 1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우리나라 명절 중 하나이다. 한가위, 팔월대보름 등으로 불리며, 가을의 한가운데에 속하기에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한다. 가을은 곡식과 과일이 익어 수확을 하는 때이다. 이런 이유로 농촌에서는 추석을 최고의 명절로 친다. 추석에는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간다....
-
918년부터 1392년까지의 고려 시대 강원도 철원 지역의 역사. 고려는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궁예(弓裔)의 태봉(泰封)을 무너뜨리고 개창한 나라이다. 태봉의 수도 철원에서 시작되었으나 건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왕건의 세력 기반이었던 개경으로 도읍을 옮겼고, 936년에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이어진 고려 시대를 한국의 중세(中世...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의 전투 수행을 도운 한국인 노무자 부대. 6·25전쟁 중에 철원 주민들은 남으로도 북으로도 가지 못한 채 전쟁터에 남았다. 1950년 10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가 시작되었고 1951년 봄, 철원 주민들은 미군의 주민 소개 작전으로 후방으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 문하리가 철원 피난민 1차 집결지였는데, 이때 철원의 청년들은 한...
-
강원도 철원군에서 천연기념물인 두루미 및 재두루미 등 철새를 보호·관리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단체. 학(鶴)이라고도 하는 두루미는 겨울철새로 과거 한반도 전역에 걸쳐 많은 개체가 도래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때의 사냥과 6·25전쟁, 밀렵, 서식지 파괴로 멸종위기에 처하였다. 국제적으로 보호하는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러시아두루미, 시베리아흰두루미, 캐나다두루미 등 다양한 두루미...
-
강원도 철원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문인협회 강원지회 산하 지부. 한국문인협회 철원지부는 철원 문인들의 구심점 역할을 할 대표 문학 단체 및 종합 문예지 창간의 필요성과 철원 지역 문인의 권익을 옹호하고, 전국 문학인과의 교류를 통해 철원 지역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설립하였다. 2000년대 초에 결성된 한국문인협회 철원지부는 2003년 철원예술인총연합회에 창립 지부로 참가하며...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철원 지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철원지회는 비영리 법인 문화예술 단체로 국악, 무용, 문인, 미술, 사진, 연극, 연예, 음악 등 8개 예술 협회가 모여 결성한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강원도연합회의 11개 시군 회원 단체 중 하나이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철원지회는 문화 예술인 상호간의 친목 도모와 향토...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철원 지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철원지회는 비영리 법인 문화예술 단체로 국악, 무용, 문인, 미술, 사진, 연극, 연예, 음악 등 8개 예술 협회가 모여 결성한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강원도연합회의 11개 시군 회원 단체 중 하나이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철원지회는 문화 예술인 상호간의 친목 도모와 향토...
-
강원도 철원군에 건설된 14개 민북마을 중 가장 파격적인 지원 하에 조성된 통일촌 유곡리의 어제와 오늘. 1953년 전쟁은 끝났지만 철원 지역 주민들은 고향마을로 들어갈 수 없었다. 고향마을에 휴전선이 그어지고 DMZ[비무장지대]와 민통선[민간인출입통제선]이 설정되었다. 수복 초기에는 미군정이 새롭게 건설한 민통선 밖 정착촌 막사에 머물며 일일 출입 허가를 받아 자기 농토에 들어...
-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강원도 철원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벌어진 전쟁. 김일성은 1949년 3월 소련을 방문하여 조·소 경제 문화 협정을 체결하고, 소련과 중국은 1950년 2월 우호 동맹 및 상호원조조약을 체결함으로써 북한은 소련과 중국 양 후원국으로부터 원조를 얻을 수 있었다. 오랫동안 만반의 준비를 한 김일성은 한반도 적화통일을 이루고자, 1950년...
-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강원도 철원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벌어진 전쟁. 김일성은 1949년 3월 소련을 방문하여 조·소 경제 문화 협정을 체결하고, 소련과 중국은 1950년 2월 우호 동맹 및 상호원조조약을 체결함으로써 북한은 소련과 중국 양 후원국으로부터 원조를 얻을 수 있었다. 오랫동안 만반의 준비를 한 김일성은 한반도 적화통일을 이루고자, 1950년...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한국조류보호협회 산하 철원지회. 한국조류보호협회 철원지회는 야생 조수류(鳥獸類)의 보호 및 구조 치료 등의 활동과 천연기념물을 비롯한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한국조류보호협회 철원지회는 국가의 천연기념물 보호 관리 정책에 입각하여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동물 등 우리의 소중한 자연 문화재를 후손에게 길이 물려줄...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한글 교육을 위하여 실시되었던 강습회. 1910년 국권피탈 후 일제는 일본어를 보급시켜 조선 사람들을 일본 사람으로 동화시키려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교과서를 일본어로 편찬하였고, 일본어 교육 수업 시간을 점차 늘려 갔다. 일제의 한글 사용 억압이 점점 심해지자 1919년 3·1 운동 이후 이윤재·최현배 등은 1921년 조선어연구회를 조직하고 한글을...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중리에 있는 교량. 지방도 제464호를 따라 철원 평야의 주요 수원 중 하나인 대교천을 동서로 건너가는 교량이다. 한다리를 통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에서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로 이동할 수 있다. 월음리와 하리를 합쳐 생긴 월하리에 1930년대에 준공된 월하교는 명칭 유래가 불확실하나 마을에 하나밖에 없는 교량이라는 뜻에서 ‘한다리’라고 불리게...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중리에 있는 교량. 지방도 제464호를 따라 철원 평야의 주요 수원 중 하나인 대교천을 동서로 건너가는 교량이다. 한다리를 통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에서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로 이동할 수 있다. 월음리와 하리를 합쳐 생긴 월하리에 1930년대에 준공된 월하교는 명칭 유래가 불확실하나 마을에 하나밖에 없는 교량이라는 뜻에서 ‘한다리’라고 불리게...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한만수(韓晩洙)[1880~?]는 1880년 9월 23일 김화군 금성면 경성리[현 북한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에서 태어났다. 1919년 말 금성면 방충리 기독교 예배당에서 이명식(李明植)으로부터 상해임시정부가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자금을 모아서 보내 독립운동을 원조하자는 권유를 받았다. 한만수는 한희수(韓曦洙)를 중...
-
철원 지역을 비롯하여 한반도를 종단하는 철도 노선을 연결하여 유럽 및 중앙아시아로의 진출을 목표로 추진하는 철도 노선. 한반도 종단 철도는 한반도 지역 내에서 남북으로 연결되는 경의선, 경원선, 동해선 등을 복원하여 중국의 단둥, 난양과 러시아의 핫산 등 대륙 지역으로 연결하는 사업이다. 철도 복원 사업으로 경의선과 동해선이 남북으로 연결되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인하여 동해선은...
-
한반도 중심부 철원 지역 주민들의 유사 이래 세 번에 걸친 대규모 집단 이주와 정착 이야기. 철원은 사민(徙民)의 땅이다. 궁예가 철원에 태봉국 철원성을 건설하고 도읍을 정할 때 청주 사람 1,000호를 이주시킨 이래 1,000여 년간 사민의 역사가 이어지고 있다.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은 철원평야에 향도농장·불이농장·팔랑농장을 개척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조선총독부를 통하여 소작농을...
-
한반도 중심부 철원 지역 주민들의 유사 이래 세 번에 걸친 대규모 집단 이주와 정착 이야기. 철원은 사민(徙民)의 땅이다. 궁예가 철원에 태봉국 철원성을 건설하고 도읍을 정할 때 청주 사람 1,000호를 이주시킨 이래 1,000여 년간 사민의 역사가 이어지고 있다.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은 철원평야에 향도농장·불이농장·팔랑농장을 개척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조선총독부를 통하여 소작농을...
-
강원도 철원군의 남서부 산지를 지나가는, 백두대간의 추가령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산줄기. 한북정맥(漢北正脈)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추가령에서 서남으로 갈라져 철원, 포천, 양주, 의정부, 파주를 거쳐 한강과 임진강의 하구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백암산(白巖山)에서 광덕산(廣德山)에 이르는 강원도 철원군 남서부의 험준한 능선이 한북정맥에 속하는 산지들이다. 한북정맥은 북서사면의 임진...
-
강원도 철원 출신의 종교인. 한사연(韓士淵)[1879~1950]은 지금의 철원군 원남면 구룡리에서 태어났다. 1909년 개신교에 입교한 이후 전도사가 되어 평강, 회양, 금성 등지에서 전도를 하였다. 한사연은 1919년 김화군 금성면 방충리(芳忠里)에 있는 기독교 예배당에서 “중국 상해에는 조선 독립을 목적으로 하는 임시정부가 조직되어 있으나 자금 부족으로 곤궁하므로 우리들도 응...
-
남북국 시대 강원도 철원 지역이 속한 통일신라의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 권(卷) 37 잡지(雜志) 지리(地理) 4 고구려(高句麗) 조에 “한산주(漢山州) ... 철원군[모을동비라고도 함]이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 권 35 잡지 4 지리 2 신라(新羅) 조에 “한주(漢州)는 본래 고구려의 한산군(漢山郡)이었는데 신라가 이를 취하였다. 경덕왕이 한주로 고쳐...
-
1975년부터 정부가 시책 사업으로 시행하였던 접경지역 각 시군 도읍 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한수 이북 정돈 사업의 핵심 사업은 도읍 정비 사업이었다. 도읍 정비 사업으로 도로포장과 상가 경관 개선, 주택 신축을 하였고,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으로 주택 개량, 지붕 도색, 담장 개량, 하수구 정비 등이 실시되었다. 강원도 철원군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5·16군사정변을 일으킨 후...
-
1975년부터 정부가 시책 사업으로 시행하였던 접경지역 각 시군 도읍 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한수 이북 정돈 사업의 핵심 사업은 도읍 정비 사업이었다. 도읍 정비 사업으로 도로포장과 상가 경관 개선, 주택 신축을 하였고,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으로 주택 개량, 지붕 도색, 담장 개량, 하수구 정비 등이 실시되었다. 강원도 철원군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5·16군사정변을 일으킨 후...
-
1975년부터 정부가 시책 사업으로 시행하였던 접경지역 각 시군 도읍 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한수 이북 정돈 사업의 핵심 사업은 도읍 정비 사업이었다. 도읍 정비 사업으로 도로포장과 상가 경관 개선, 주택 신축을 하였고,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으로 주택 개량, 지붕 도색, 담장 개량, 하수구 정비 등이 실시되었다. 강원도 철원군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5·16군사정변을 일으킨 후...
-
1975년부터 정부가 시책 사업으로 시행하였던 접경지역 각 시군 도읍 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한수 이북 정돈 사업의 핵심 사업은 도읍 정비 사업이었다. 도읍 정비 사업으로 도로포장과 상가 경관 개선, 주택 신축을 하였고,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으로 주택 개량, 지붕 도색, 담장 개량, 하수구 정비 등이 실시되었다. 강원도 철원군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5·16군사정변을 일으킨 후...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꼽혔던 절일. 한식은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된다. 이날은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하며 찬 음식을 먹는 고대 중국의 풍습에서 비롯되었기에 금연일(禁烟日), 숙식(熟食), 냉절(冷節)이라고도 한다.우리나라에서도 한식은 불을 금하고 성묘를 하며 투란(鬪卵)놀이[계란 위에 누가 그림을...
-
6·25전쟁 후 강원도 철원 지역 재건을 지원한 군인. 한신(韓信)[1922~1996]은 1922년 12월 22일 함경남도 영흥군에서 태어났다.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을 졸업하였으며, 광복 후 육군사관학교 2기로 입학하여 1946년 12월 소위로 임관하였다.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제7사단 제9연대장으로 포천 전투에서 전공을 세웠고, 1950년 8월 수도사단 제1연대장...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 조성된 생태 도보길. 소이산 생태숲 녹색길은 철원군에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에 있는 소이산과 소이산 둘레에 조성한 생태체험 도보길이다. 소이산 생태숲 녹색길은 지뢰꽃길, 생태숲길, 봉수대 오름길의 세부 길로 구성되어 있다. 총 구간은 4.8㎞이다. 소이산[362m]은 6·25전쟁 이후 사람이 닿지 않아 생물상이 다양하게 보전되어 있는 곳이다....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한국조류보호협회 산하 철원지회. 한국조류보호협회 철원지회는 야생 조수류(鳥獸類)의 보호 및 구조 치료 등의 활동과 천연기념물을 비롯한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한국조류보호협회 철원지회는 국가의 천연기념물 보호 관리 정책에 입각하여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동물 등 우리의 소중한 자연 문화재를 후손에게 길이 물려줄...
-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을 지나 임진강에 합류하는 지방 1급 하천.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군·연천군을 거쳐 임진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유로연장이 141㎞이고 유역면적은 2,085㎢이며, 남대천과 차탄천 등의 지류가 있다.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흐르며, 주상절리로 이루어진 절벽과 협곡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호텔. 한탄리버스파호텔은 귀뚜라미그룹의 레저 부문 계열사 귀뚜라미랜드가 철원 8경의 하나인 고석정 국민관광지 내에 개장한 온천 호텔로 한탄강 게르마늄 온천호텔이라고도 한다. 귀뚜라미랜드는 한탄리버스파호텔의 입지가 철원군의 대표적 관광지인 고석정과 순담계곡에 인접한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건립하였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호텔. 한탄리버스파호텔은 귀뚜라미그룹의 레저 부문 계열사 귀뚜라미랜드가 철원 8경의 하나인 고석정 국민관광지 내에 개장한 온천 호텔로 한탄강 게르마늄 온천호텔이라고도 한다. 귀뚜라미랜드는 한탄리버스파호텔의 입지가 철원군의 대표적 관광지인 고석정과 순담계곡에 인접한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건립하였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에 걸쳐 있는 협곡.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에 걸쳐 있는 협곡이며, 천연기념물 제436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의 총 길이는 약 1.5㎞, 깊이는 20~30m이며, 지정 구역은 20만 7546.2㎡이다. 대교천은 과거 대통진 또는 무명천이...
-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 일원에서 행하여지는 급류 타기의 레저스포츠 래프팅. 철원 한탄강 래프팅은 한탄강 일원에서 행하는 급류 타기 레저스포츠인 래프팅 스포츠이다. 한탄강은 큰 개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이 물길이 비교적 완만하면서 물의 양이 많은 편이다. 간혹 급류가 흐르는 곳이 있어 래프팅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게다가 주변 경관은 주상절리를 비롯하여 폭포가 있고, 곳...
-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 일원에서 행하여지는 급류 타기의 레저스포츠 래프팅. 철원 한탄강 래프팅은 한탄강 일원에서 행하는 급류 타기 레저스포츠인 래프팅 스포츠이다. 한탄강은 큰 개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이 물길이 비교적 완만하면서 물의 양이 많은 편이다. 간혹 급류가 흐르는 곳이 있어 래프팅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게다가 주변 경관은 주상절리를 비롯하여 폭포가 있고, 곳...
-
1999년부터 2009년까지 강원도 철원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하였던 한탄강댐 건설 반대 운동.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임진강과 한탄강 일대에 산사태와 하천 범람이 잦아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반복되었다. 1999년 임진강 하류 지역 수해 방지 종합 대책으로 한탄강댐 건립을 추진하였고, 2007년 2월 착공하여 2016년 완공되었다. 한탄강댐 건설 반대운동은 강원도 철원, 경...
-
1999년부터 2009년까지 강원도 철원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하였던 한탄강댐 건설 반대 운동.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임진강과 한탄강 일대에 산사태와 하천 범람이 잦아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반복되었다. 1999년 임진강 하류 지역 수해 방지 종합 대책으로 한탄강댐 건립을 추진하였고, 2007년 2월 착공하여 2016년 완공되었다. 한탄강댐 건설 반대운동은 강원도 철원, 경...
-
1999년부터 2009년까지 강원도 철원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하였던 한탄강댐 건설 반대 운동.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임진강과 한탄강 일대에 산사태와 하천 범람이 잦아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반복되었다. 1999년 임진강 하류 지역 수해 방지 종합 대책으로 한탄강댐 건립을 추진하였고, 2007년 2월 착공하여 2016년 완공되었다. 한탄강댐 건설 반대운동은 강원도 철원, 경...
-
강원도 철원군의 한탄강을 노래한 한시. 한탄강(漢灘江)은 강원도 서북부 평강군(平康郡)의 추가령곡(楸哥嶺谷)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면서 평강과 철원을 거쳐 경기도 연천군과 포천시의 경계를 따라 남서로 흐르다가 미산면과 전곡면의 경계에서 임진강(臨津江)으로 흘러든다. 평강과 철원에서 임진강과의 합류점까지 뻗어 있는 현무암으로 된 용암대지를 관류하여 곳곳의 수직 절벽...
-
강원도 철원군의 한탄강을 노래한 한시. 한탄강(漢灘江)은 강원도 서북부 평강군(平康郡)의 추가령곡(楸哥嶺谷)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르면서 평강과 철원을 거쳐 경기도 연천군과 포천시의 경계를 따라 남서로 흐르다가 미산면과 전곡면의 경계에서 임진강(臨津江)으로 흘러든다. 평강과 철원에서 임진강과의 합류점까지 뻗어 있는 현무암으로 된 용암대지를 관류하여 곳곳의 수직 절벽...
-
강원도 철원군의 한탄강 유역 내에 있는 지질·지형 명소를 보존하여 교육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국가지질공원. 지질공원[Geopark]은 지질학·지형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고 경관이 우수한 지질·지형 명소를 자연상태 그대로 보존하여 이를 교육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만들어진 제도이다. 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 국립공원 등 기존의 자연환경 보존 제도...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있는 고석정 인근과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를 연결하는 교량. 한탄대교는 지방도 제463호에 위치한 교량으로, 구철원 지역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과 신철원 지역의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지역을 이어주는 다리이다. 한탄대교와 나란히 놓여진 승일교를 대체하기 위하여 1999년 준공되었다. 현재 차량통행은 한탄대교를 통하여서만 가능하며 승일교는 국가등록...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호텔. 한탄리버스파호텔은 귀뚜라미그룹의 레저 부문 계열사 귀뚜라미랜드가 철원 8경의 하나인 고석정 국민관광지 내에 개장한 온천 호텔로 한탄강 게르마늄 온천호텔이라고도 한다. 귀뚜라미랜드는 한탄리버스파호텔의 입지가 철원군의 대표적 관광지인 고석정과 순담계곡에 인접한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건립하였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호텔. 한탄리버스파호텔은 귀뚜라미그룹의 레저 부문 계열사 귀뚜라미랜드가 철원 8경의 하나인 고석정 국민관광지 내에 개장한 온천 호텔로 한탄강 게르마늄 온천호텔이라고도 한다. 귀뚜라미랜드는 한탄리버스파호텔의 입지가 철원군의 대표적 관광지인 고석정과 순담계곡에 인접한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건립하였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호텔. 한탄리버스파호텔은 귀뚜라미그룹의 레저 부문 계열사 귀뚜라미랜드가 철원 8경의 하나인 고석정 국민관광지 내에 개장한 온천 호텔로 한탄강 게르마늄 온천호텔이라고도 한다. 귀뚜라미랜드는 한탄리버스파호텔의 입지가 철원군의 대표적 관광지인 고석정과 순담계곡에 인접한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건립하였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호텔. 한탄리버스파호텔은 귀뚜라미그룹의 레저 부문 계열사 귀뚜라미랜드가 철원 8경의 하나인 고석정 국민관광지 내에 개장한 온천 호텔로 한탄강 게르마늄 온천호텔이라고도 한다. 귀뚜라미랜드는 한탄리버스파호텔의 입지가 철원군의 대표적 관광지인 고석정과 순담계곡에 인접한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건립하였다....
-
6·25전쟁 발발 이후 중부지방 한탄강 일대에서 발병한 유행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전선의 유엔군 800여 명이 괴질로 사망한 사건으로 인하여 유행성 출혈열이 한반도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유엔군뿐만 아니라 중공군도 병영에 괴질이 돌아 한강 이남을 넘어오지 못하였다. 그 괴질이 유행성 출혈열로 추정된다. 당시 피해가 심각하였던 나머지 유...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출신의 독립운동가. 한홍준(韓弘俊)[1869~?]은 1869년 지금의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서 태어나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서울에서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 3월 1일에 철원군 천도교 교훈으로 있던 최병훈(崔炳勳)이 평강 천도교 대교구실에서 이태윤(李泰潤)으로부터 「3·1독립선언서」 200매를 받아 철원으로 가져왔다. 최병훈은 철원 천도교 교구실에서...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한희수(韓曦洙)[1870~?]는 1870년 9월 26일 김화군 금성면 경파리[현 북한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에서 태어났다. 1919년 말 금성면 방충리 기독교 예배당에서 이명식(李明植)으로부터 상해임시정부가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자금을 모아서 보내 독립운동을 원조하자는 권유를 받았다. 한희수는 교회 신도 수십 명과...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조선 후기 봉수터. 할미산봉수지(割眉山烽燧址)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터이다. 18세기 중엽 처음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기록이 전하는 점에서 이전 시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봉수지가 있는 곳은 넓은 충적 대지에 돌출한 할미산 정상부에 해당하며, 주변 조망이 매우 용이한 곳이다. 할미산봉수지는 구수...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조선 후기 봉수터. 할미산봉수지(割眉山烽燧址)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터이다. 18세기 중엽 처음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기록이 전하는 점에서 이전 시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봉수지가 있는 곳은 넓은 충적 대지에 돌출한 할미산 정상부에 해당하며, 주변 조망이 매우 용이한 곳이다. 할미산봉수지는 구수...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삼국 시대 혹은 남북국 시대의 산성. 할미산성(割眉山城)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구수동에 있는 삼국 시대 혹은 남북국 시대의 테뫼식 내탁 산성이다. 해발 200m의 독립 구릉의 7~8부 능선을 테뫼식으로 두른 산성이다. 정상부는 구수동봉수라고도 부르는 할미산봉수가 있었고 봉수 하단에 성벽이 둘러져 있어 봉수와는 시기와 기능을 달리하여 축...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삼국 시대 혹은 남북국 시대의 산성. 할미산성(割眉山城)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구수동에 있는 삼국 시대 혹은 남북국 시대의 테뫼식 내탁 산성이다. 해발 200m의 독립 구릉의 7~8부 능선을 테뫼식으로 두른 산성이다. 정상부는 구수동봉수라고도 부르는 할미산봉수가 있었고 봉수 하단에 성벽이 둘러져 있어 봉수와는 시기와 기능을 달리하여 축...
-
강원도 철원군에서 사용하던 통나무의 속을 파내서 광주리나 소쿠리처럼 만든 그릇. 함지는 통나무를 까뀌와 자귀로 깎고 파내어 만든 큰 그릇이다. 함지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음식을 담고, 설거지를 할 때 사용되고, 떡가루를 버무리거나 반죽할 때, 또는 김장소나 깍두기를 버무리는 등 음식 조리의 과정에서도 활용된다. 함지 위에 맷다리를 걸고 그 위에 맷돌을 올려 가는 음식물을 받는...
-
강원도 철원군에서 사용하던 통나무의 속을 파내서 광주리나 소쿠리처럼 만든 그릇. 함지는 통나무를 까뀌와 자귀로 깎고 파내어 만든 큰 그릇이다. 함지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음식을 담고, 설거지를 할 때 사용되고, 떡가루를 버무리거나 반죽할 때, 또는 김장소나 깍두기를 버무리는 등 음식 조리의 과정에서도 활용된다. 함지 위에 맷다리를 걸고 그 위에 맷돌을 올려 가는 음식물을 받는...
-
강원도 철원군을 상징하는 군목. 잣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침엽 상록 교목으로, 우리나라와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지의 능선부 또는 계곡부에 자라며 주요 조림 수종으로 전국에서 식재하고 있다. 토양이 깊고 비옥한 땅을 선호한다. 강원도 철원군에는 갈말읍 신철원리 명성산, 갈말읍 문혜리 대득봉, 근남면 육단리 복계산, 원남면 진현리 적근산, 철원읍 관...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육단리에 있는 해태에이치티비 산하 생수 및 탄산수 생산 공장. 해태에이치티비 철원공장에서는 휘오 순수, 휘오 다이아몬드, 씨그램 미네랄워터 등의 먹는샘물과 탄산수 휘오 다이아몬드 스파클링워터를 생산하고 있다. 해태에이치티비는 1973년 해태그룹 계열사인 해태음료주식회사로 창립하였으며, 2000년 6월 해태그룹과 분리하여 해태음료주식회사로 출범하였다. 1972...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5리에 조성된 농촌 체험 마을. 기업형 새농촌 도약마을 지정을 계기로 조성된 행복산촌텃골마을은 청정한 마을에서 재배된 제철 농산물의 판매를 증진하기 위하여 도농 교류 프로그램과 농촌 체험을 위한 숙박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에는 국내 최초로 주민들이 지분 투자에 참여하는 주민참여형 태양광 발전소가 계획 및 추진되고 있다. 이는 주민-지자체-기업...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5리에 조성된 농촌 체험 마을. 기업형 새농촌 도약마을 지정을 계기로 조성된 행복산촌텃골마을은 청정한 마을에서 재배된 제철 농산물의 판매를 증진하기 위하여 도농 교류 프로그램과 농촌 체험을 위한 숙박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에는 국내 최초로 주민들이 지분 투자에 참여하는 주민참여형 태양광 발전소가 계획 및 추진되고 있다. 이는 주민-지자체-기업...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행복한요양원은 질병이나 기능장애·심신 쇠약으로 개호나 간호를 받아야 하는 장기 요양 환자들을 수용하여 가정과 같은 환경 속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와 함께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 요양 시설이다. 노인 요양 시설은 「노인복지법」에 따라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이 필요한 노인에게...
-
강원도 철원군에서 공권력을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 과정. 철원군의 행정 행위는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하여 「지방자치법」 등의 법령, 철원군 조례·규칙, 그리고 예산 등의 행정 규범에 따라 수행된다. 철원군은 고구려 때 철원 또는 모을동비(毛乙冬非)[철두루미, 털두루빙]라 칭하였다. 757년(경덕왕 16년) 철성(鐵城)으로 개칭하였으며, 901년 궁...
-
고려와 조선 시대 강원도 철원 지역에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 향교(鄕校)는 조선 시대 지방에서 유학 교육을 위하여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제향과 교육의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으로, 중국과 우리나라 유현(儒賢)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 받들면서 유학을 가르쳐 인재를 기르는 한편, 지방의 풍속을 순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서원이 사학 기관인 것과 달리 향교는 지방...
-
고려와 조선 시대 강원도 철원 지역에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 향교(鄕校)는 조선 시대 지방에서 유학 교육을 위하여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제향과 교육의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으로, 중국과 우리나라 유현(儒賢)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 받들면서 유학을 가르쳐 인재를 기르는 한편, 지방의 풍속을 순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서원이 사학 기관인 것과 달리 향교는 지방...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통일신라 시대 불교 신앙 공동체. 향도(香徒)는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통일신라 시대 불교 신앙 공동체이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있는 국보 제63호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原到彼岸寺鐵造毘盧遮那佛坐像)의 등쪽에는 불상을 만들게 된 내력과 연기를 기록한 명문이 있다. “향도불명문병서 부석가불 회영귀진 천의월세 기세엄색 불경삼천광...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마타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금마타리는 우리나라 고유 특산식물로,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금마타리는 줄기가 곧추서고 높이는 30㎝ 정도이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며 5~7개로 손바닥처럼 갈라진다. 잎의 열편(裂片)은 다시 3개 또는 톱니처럼 갈라지고 끝이 다소 둔하다. 맥 위를 따라 부드러운 털이 있다. 줄기잎은 마주나 달리고 잎자루는...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조선 전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사망한 문신. 허봉(許篈)[1551~1588]의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자는 미숙(美叔), 호는 하곡(荷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허담(許聃)이고, 할아버지는 증이조참판 허한(許澣)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허엽(許曄)이며,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광철(金光轍)의 딸 강릉김씨(江陵金氏)이다. 동생은 허난설헌(許蘭雪軒)·허균(許筠)이다. 허봉은 1568년...
-
개항기 강원도 철원 지역을 비롯한 임진강 유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허위(許蔿)[1855~1908]는 13도 창의군의 군사장으로 서울 진격 작전에 참가하였으며, 임진강 유역 연합 의병 부대의 총대장을 맡아 철원 일대를 무대로 활약하였다. 허위의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왕산(旺山)이다. 아버지는 허조(許祚)이며, 어머니는 진성이씨(眞城李氏)이다. 형은 허훈(許薰)·허신(許藎)·...
-
조선 후기 철원 지역의 심원사 주지를 지낸 승려. 경헌(敬軒)[1544~1633]의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법호는 순명(順命), 당호는 제월당(霽月堂)이다. 허한거사(虛閑居士)라 자칭하였다. 아버지는 조예창(曺芮昌)이고, 어머니는 이씨(李氏)이다. 경헌은 1544년(중종 39)에 태어났다. 1559년(명종 14) 천관사(天冠寺)로 출가하여 옥주(玉珠)의 제자가 되었다. 1576년(...
-
강원도 철원군 근북면 율목리에 있는 조선 시대 옹기가마터. 율목리 옹기요지(栗木里甕器窯址)는 강원도 철원군 근북면 율목리[험석동] 일대에 있는 조선 시대 옹기 가마터이다. 현재는 가마터에 대한 정보가 전무하다. 율목리 옹기가마터, 험석동 옹기가마터라고도 부른다. 율목리 옹기요지는 조선 시대 처음 옹기를 생산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그리고 일제...
-
해방 이후 현재까지 강원도 철원 지역의 역사. 1945년 조국 광복의 기쁨이 채 가시기도 전에 한반도는 미·소 열강에 의하여 38도선을 경계로 갈라졌다. 8·15 해방이 자력 아닌 연합군에 의한 해방이었기에 우리 민족의 비운과 수난의 역사는 그때부터 내재돼 있던 것이었고, 국토 분단과 사상이념의 갈등이 반세기 이상 오래 지속되리라고는 당시 어느 누구도 상상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1...
-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까지 강원도 철원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문학 활동 혹은 철원 출신 작가들의 문학 활동. 현대문학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문학 활동을 일컫는다. 강원도 철원과 그 지역 일대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문학 활동 혹은 철원 출신 작가들의 문학 활동 중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하여 정리한다. 보통 한 지역의 현대문학을 살펴보기 위하여서는 일차적으...
-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까지 강원도 철원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문학 활동 혹은 철원 출신 작가들의 문학 활동. 현대문학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문학 활동을 일컫는다. 강원도 철원과 그 지역 일대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문학 활동 혹은 철원 출신 작가들의 문학 활동 중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하여 정리한다. 보통 한 지역의 현대문학을 살펴보기 위하여서는 일차적으...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 채취한 현무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 강원도 철원군은 내륙 지역의 현무암 지대이다. 이는 6000만 년 전 화산 분출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철원군에서는 현무암 지대에서 채취한 다공질 현무암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현무암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되는 현무암의 질보다 무겁고 단단한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
조선 전기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강원도 철원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박제(朴濟)[1435~1502]의 본관은 영해(寧海)이고 자는 형부(亨夫), 호는 경은(坰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문관제학 박충옥(朴忠玉), 할아버지는 전객령 박유(朴瑈)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 박창령(朴昌齡)이며, 형은 박랑(朴浪)과 박도(朴渡)이다. 박제는 예조정랑으로 재임 중이던 1455년(세조 원년...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도덕산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터. 혜재곡봉수지(惠才谷熢燧址)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도덕산에 있는 조선 시대 내지(內地) 봉수터로 도덕산봉수지라고도 부른다. 혜재곡봉수는 북쪽의 소이산봉수와 남쪽의 영평 미로곡봉수를 연결하고 있다. 혜재곡봉수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남쪽으로 영평 미로곡봉수에 대응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동국...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도덕산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터. 혜재곡봉수지(惠才谷熢燧址)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도덕산에 있는 조선 시대 내지(內地) 봉수터로 도덕산봉수지라고도 부른다. 혜재곡봉수는 북쪽의 소이산봉수와 남쪽의 영평 미로곡봉수를 연결하고 있다. 혜재곡봉수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남쪽으로 영평 미로곡봉수에 대응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동국...
-
강원도 철원군에서 혼인할 때 행하여지는 의식과 절차. 혼례의 근간인 혼인은 기본적으로 성인이 된 두 남녀의 결합을 의미한다. 이때 결합은 사회적으로 인정된 성적(性的) 결합, 경제적인 결합, 두 집안의 결합 등을 의미한다. 혼인이 이루어짐으로써 혼례 당사자들은 어른으로 공인받는다. 또한, 혼인을 통해서 후손을 낳아 가정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혼인을 ‘인륜...
-
강원도 철원군에서 혼인할 때 행하여지는 의식과 절차. 혼례의 근간인 혼인은 기본적으로 성인이 된 두 남녀의 결합을 의미한다. 이때 결합은 사회적으로 인정된 성적(性的) 결합, 경제적인 결합, 두 집안의 결합 등을 의미한다. 혼인이 이루어짐으로써 혼례 당사자들은 어른으로 공인받는다. 또한, 혼인을 통해서 후손을 낳아 가정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혼인을 ‘인륜...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홀아비바람꽃은 우리나라 전국의 높은 산이나 중부지방 북쪽으로 깊은 산속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습기가 많고 그늘진 곳을 좋아한다. 홀아비바람꽃은 자생지와 개체수가 풍부하지만, 특산식물과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하고 있다. 홀아비바람꽃은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2~25...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홀아비바람꽃은 우리나라 전국의 높은 산이나 중부지방 북쪽으로 깊은 산속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습기가 많고 그늘진 곳을 좋아한다. 홀아비바람꽃은 자생지와 개체수가 풍부하지만, 특산식물과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하고 있다. 홀아비바람꽃은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2~25...
-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전사한 문신. 홍명구(洪命耈)[1596~1637]의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字)는 원로(元老), 호는 나재(懶齋),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홍춘경(洪春卿)이고, 할아버지는 광국공신 홍성민(洪聖民)이다. 아버지는 병조참의 홍서익(洪瑞翼)이며, 어머니는 심종민(沈宗敏)의 딸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홍명구는...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에 있는 병자호란 당시 김화 백전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후기 문신 홍명구를 기리는 비. 홍명구(洪命耈)[1596~1637]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字)는 원로(元老), 호는 나재(懶齋),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아버지가 병조참의 홍서익(洪瑞翼)이다. 1619년(광해군 11)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 급제하였으나 시골에 은거...
-
강원도 철원군을 상징하는 군목. 잣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침엽 상록 교목으로, 우리나라와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지의 능선부 또는 계곡부에 자라며 주요 조림 수종으로 전국에서 식재하고 있다. 토양이 깊고 비옥한 땅을 선호한다. 강원도 철원군에는 갈말읍 신철원리 명성산, 갈말읍 문혜리 대득봉, 근남면 육단리 복계산, 원남면 진현리 적근산, 철원읍 관...
-
남북국 시대 태봉의 수도인 철원 지역에서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을 옹립한 고려의 개국공신. 홍유(洪儒)[?~?]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어릴 적 이름은 『고려사(高麗史)』에 홍술(洪術)로 기록되어 있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본래 홍술(弘述)이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려의 관인이 된 후 중국식 성씨 문화의 영향을 받아 홍술(洪述)이라는 이름을...
-
남북국 시대 태봉의 수도인 철원 지역에서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을 옹립한 고려의 개국공신. 홍유(洪儒)[?~?]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어릴 적 이름은 『고려사(高麗史)』에 홍술(洪術)로 기록되어 있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본래 홍술(弘述)이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려의 관인이 된 후 중국식 성씨 문화의 영향을 받아 홍술(洪述)이라는 이름을...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는 동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중강리, 남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내포리, 서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유정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원도 철원군 북면 홍원리로 개설되었다. 1972년 12월 28일 철원군 북면에서 철원군 철원읍으로 편입되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가 되었다. 1953년 6·25전...
-
남북국 시대 태봉의 수도인 철원 지역에서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을 옹립한 고려의 개국공신. 홍유(洪儒)[?~?]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어릴 적 이름은 『고려사(高麗史)』에 홍술(洪術)로 기록되어 있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본래 홍술(弘述)이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려의 관인이 된 후 중국식 성씨 문화의 영향을 받아 홍술(洪述)이라는 이름을...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유득신(劉得信)[1896~1951]은 1896년 2월 7일 지금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서 태어났다. 홍익수(洪益洙)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1911년 배재학당을 졸업하고 개신교계 강사로 활동하다가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 유득신은 1920년 동창인 이현로와 함께 전도대를 조직하여 익산·마산·대구·서울·...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홀아비바람꽃은 우리나라 전국의 높은 산이나 중부지방 북쪽으로 깊은 산속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습기가 많고 그늘진 곳을 좋아한다. 홀아비바람꽃은 자생지와 개체수가 풍부하지만, 특산식물과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하고 있다. 홀아비바람꽃은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2~25...
-
강원도 철원군 일대를 지나 한탄강에 합류하는 지방 하천. 화강은 북한의 강원도 김화군 금성면 수리봉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근동면·김화읍을 거쳐 한탄강으로 유입하는 한탄강의 지류이다. 화강의 유역면적은 333.6㎢이며 유로연장은 39.7㎞이다. 철원 지역에서 화강의 하폭은 약 50~150m, 평균 수심은 약 1m이며 지방 1급 하천으로 관리되고 있다. 화강은 한때 남대천으로...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에 조성된 생태공원을 중심으로 한 테마마을. 화강 쉬리마을은 화강[남대천]을 끼고 자리 잡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와 청양4리 주민들이 조성한 테마마을이다. 화강 쉬리마을의 이름에서 ‘쉬리’는 2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청정함을 뜻한다. 마을을 끼고 흐르는 남대천에 1급수에만 발견된다는 쉬리가 서식하여 이름 붙여졌다. 또 하나는 영화 「쉬리」에서...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복합 문화공간. 화강문화센터는 문화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일상적으로 참여하는 문화 활동 공간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설립된 복합 문화공간이다. 공연, 전시, 문화 교실, 체력 단련실을 운영하며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문화 욕구 충족과 여가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화강문화센터는 지역 주...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복합 문화공간. 화강문화센터는 문화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일상적으로 참여하는 문화 활동 공간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설립된 복합 문화공간이다. 공연, 전시, 문화 교실, 체력 단련실을 운영하며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문화 욕구 충족과 여가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화강문화센터는 지역 주...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일대 일제 강점기 나무 땔감 시장 개설 문제. 강원도 철원군의 중심지는 철원도호부가 있었던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일대이다. 반면 지금의 철원군 중심지인 철원군청이 있는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와 상가가 밀집된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는 농토는 물론 집들이 거의 없는 두메산골이었다. 강원도 철원군 외곽 지역에는 산지가 많아 대부분 주민들이 겨울철에 나무를 해서 철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리 일원에 있는 6·25전쟁 당시 고지전이 벌어졌던 고지. 화살머리고지는 백마고지[395m] 서쪽으로 3㎞ 지점에 위치한 해발 281m의 고지이다. 화살머리고지 이름은 고지 아래로 흐르는 역곡천이 곡류하면서 화살촉 모양의 하식애(河蝕崖)[하천 침식으로 만들어진 절벽]를 만들어 붙여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6·25전쟁 당시 화살머리고지에서는 1952년부터...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현재 철원읍 소재지이다.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 동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 남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 서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율이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화전리(花田里)와 천황지리(天皇地里)가 통합될 때 화전리의 ‘화(花)’와 천황지리의 ‘지(地)’를 따서 화지리(花地里)라 하였다. 본래 관서면의 지성이었는데...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현재 철원읍 소재지이다.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 동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 남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 서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율이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화전리(花田里)와 천황지리(天皇地里)가 통합될 때 화전리의 ‘화(花)’와 천황지리의 ‘지(地)’를 따서 화지리(花地里)라 하였다. 본래 관서면의 지성이었는데...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비영리 금융기관. 신용협동조합은 지역·직업·종교 등 상호 유대를 가진 개인이나 단체 등 조합원 중심의 비영리 금융기관으로 은행법이 아닌 신용협동조합법을 적용받는다. 지역 주민들의 협동 조직을 통하여 자금을 조성하여 지역 주민에게 금융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 주민 및 구성원들의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
-
조선 후기 강원도 철원 지역 출신의 문신. 황근중(黃謹中)[1560~1633]의 본관은 창원(昌原)이고 자는 일지(一之), 호는 월탄(月灘) 또는 월담(月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저창수 황준원(黃浚源)이고, 할아버지는 종친부전부 황탕경(黃湯卿)이다. 아버지는 영춘현감을 지낸 황수(黃琇)이다. 황근중은 1560년(명종 15) 철원에서 태어났다. 1589년(선조 22) 생원시에 합격...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황근중 묘비. 황근중(黃謹中)[1560~1633]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일지(一之), 호는 월탄(月灘)으로 영춘현감(永春縣監) 황수(黃琇)의 아들이다. 1589년(선조 22) 생원이 되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에서 임금을 만나 전함사별좌(典艦司別坐)가 되어 경양도찰방(景陽道察訪), 공조와 호조의 정...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박쥐목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붉은박쥐(오렌지윗수염박쥐)는 몸 색깔이 전체적으로 선명한 주황색[오렌지색]을 띠어 황금박쥐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지만, 개체수는 많지 않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가 1:10~1:40 정도로 차이가 심하다. 산림 파괴와 자연동굴과 폐광의 입구가 폐쇄되면서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다. 붉은박쥐(...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황영의 묘비. 황영(黃泳)[1585~1662]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자유(子游), 호는 빙호(氷壺)이며, 광해군 때 강원감사를 지낸 황근중의 아들이다. 1615년(광해군 7) 생원에서 음사(蔭仕)로 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을 지냈고 사후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參贊)에 추중되었다. 황영 묘비(黃泳 墓碑)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출신의 체육인. 황을수(黃乙秀)[?~?]는 철원에서 태어나 철원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잠시 다니다가 일본으로 유학하여 메이지대학[明治大学] 정경과에 입학하였다. 1930년 동경유학생무도회 소속으로 극동대회(極東大會) 일본 대표로 선발되었다. 193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 남자 복싱 라이트급에 출전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