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고개. 말서당고개는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작은 고개이다. 말서당고개라는 이름은 ‘말이 가다가 섰다는 고개’라는 의미로 말과 관련된 전설에서 유래한다. 고려 말기에 와수리 일대에는 평산신씨(平山申氏) 문중이 많이 모여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신씨 문중의 한 장수가 전쟁에 나가 전사하였는데, 장수가 타던 말이 주인의 목을 물고 돌아와 말...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말서당고개의 유래에 대한 이야기. 「말서당고개」는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1리에 있는 말서당고개의 지명 유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말서당고개」는 1977년에 문화재보호협회 철원군지부에서 발행한 『향토지-철원, 김화, 평강』와 1992년에 철원군에서 발행한 『철원군지』, 2000년에 철원문화원에서 발행한 『철원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철원군 서면...
-
강원도 철원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아리미쓰 교이치가 보고한 청동기 간돌 유물 3점. 아리미쓰 교이치 소개 청동기 시대 유물[有光敎一紹介靑銅器時代遺物]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 고고학자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一]가 강원도 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 유물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강원도 철원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고한 간돌 유물 3점이다. 아리미쓰 교이치는 1938년 강원도 일대에서 출토된...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산. 삽슬봉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얕은 구릉으로 6·25전쟁 당시 ‘아이스크림고지’로 불리던 곳이다. 산의 높이는 약 300m이며, 지질학적으로는 용암대지 형성 과정에서 남겨진 스텝토(steptoe)로 분류된다. 삽슬봉은 산이 있는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삽슬봉이 있는 지역은 과거에 삽송리(揷松里) 또는 삼송리(森松里)로...
-
913년에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청주 사람 아지태와 관련하여 발생한 태봉의 정치적 사건. 궁예는 904년에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철원을 신경으로 선포하면서 청주에서 1,000호를 이주시켰다. 아지태는 당시 이주한 청주인 가운데 한 사람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지태에 관하여서는 아지태 사건과 관련된 기록 이외에는 찾아볼 수가 없지만, 그 내용으로 보아 궁예의 멸망과 직접적인 관련이...
-
강원도 철원군에서 남북 분단과 관련된 군사시설과 접경지대를 둘러보는 관광. 강원도 철원군의 안보 관광은 1975년 3월 19일 북한의 남침용 땅굴을 발견함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처음에는 일부 특수관계 기관에만 공개되었으나, 이후 국민의 경각심 고취를 위하여 방문 견학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1987년부터 중앙 8개 부처 합동으로 철의 삼각 전적지 개발사업을 추진하였으며,...
-
코레일의 철도 관광 5대 권역 중 하나인 평화 생명 벨트에 해당하는 열차. 평화와 생태 보존을 목표로 세계에서 유일한 DMZ(Demilitarized zone) 지역과 연결된 경의선과 경원선 철도 2개 노선을 지정하였다. 경의선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역에서 경기도 파주시 도라산역까지 운행 중이며, 경원선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에서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까지 운행하였다. 경...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율이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절터. 안양사지(安養寺址)는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율이리에 있는 절터로, 심원사(深源寺)와 함께 보개산(寶蓋山)을 대표하던 사찰 안양사(安養寺)가 있었던 곳이다. 안양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조선 시대까지 수차례 중수(重修)를 거듭하였으나, 6·25전쟁 중 전각이 모두 불타면서 축대와 건물 터만 남게 되었다. 안양사의 연혁이...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한 집안의 가신에게 가정의 안녕과 번영을 비는 의례. 안택제는 최근까지 전하여 오는 민간신앙 중 하나로서, 집안에서 모시는 여러 가신을 일 년에 한 번 대접하는 제의이다. 보통은 경을 읽어 주는 독경무(讀經巫)를 불러 제의를 주관하게 하지만 집안에 따라서는 무당을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전문적인 무속인들을 동원하는 편이 일반적이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으...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인공 저수지. 안터저수지는 1965년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축조되었으며, 홍수조절을 위한 여수토(餘水吐)[펌프로 준설한 토사를 물과 함께 배사관을 통하여 사토장으로 보내는 출구]를 설치하였다. 강원도 철원군 지역은 1914년 경원선 개통 이후, 농산물을 반출하는 주요 지역으로 부상하였다. 일본 정부는 철원 지역의 농산물과 쌀 생산량을 높이기...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개족도리풀은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숲 속의 그늘지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개족도리풀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길게 자라나고 마디가 있으며, 길이는 1~6㎝정도이다. 뿌리줄기 위쪽 끝에는 넓은 달걀 모양의 적갈색 비늘조각이 1~3개 달려 있다. 잎은 짧은 줄기 끝에 1~2장씩 붙어...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개족도리풀은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숲 속의 그늘지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개족도리풀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길게 자라나고 마디가 있으며, 길이는 1~6㎝정도이다. 뿌리줄기 위쪽 끝에는 넓은 달걀 모양의 적갈색 비늘조각이 1~3개 달려 있다. 잎은 짧은 줄기 끝에 1~2장씩 붙어...
-
강원도 철원군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 무덤으로 대표적인 거석 기념물. 강원도 철원군의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무덤이다. 대부분 무덤으로 사용되었지만 공동무덤을 상징하는 묘표석(墓標石), 종족이나 집단의 모임 장소나 의식을 행하는 제단(祭壇) 또는 기념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인돌, 지석묘라고 부르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고인돌무덤, 일본은 지석묘(支石墓),...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고개. 암소고개는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의 천황지에서 안양사로 넘어가는 길에 있는 고개이다. 암소고개의 유래는 철원 도피안사의 창건 설화와 관련이 있다. 통일신라 865년(경문왕 5) 도선국사가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만들어, 철원군 철원읍의 수정산에 있는 안양사에 불상을 봉안하고자 하였다. 여러 승려가 함께 불상을 암소 등에 싣고 안양사로...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설된 다리. 암정교(巖井橋)는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설된 다리로 철원 지역 최초의 근대식 교량이다. 일제 강점기 번성하였던 김화군을 상징하는 다리로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와 용양리 경계 화강(花江)에 1917년 총 공사비 2,800원을 들여 건설되었다. 일제 강점기 김화군에서 화천군이나 춘천시...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는 철원군 김화읍의 가장 동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 남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용양리, 동쪽으로 철원군 근동면, 북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감봉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장암리와 냉정리를 통합하여 암정리(巖井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강원도 김화군 군내...
-
강원도 철원군에서 곡물의 껍질을 벗기거나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데에 쓰던 도구. 맷돌은 위·아래 두 짝으로 구성되며, 위짝에는 곡식을 집어넣는 구멍이 있으며, 아래짝 위에는 곡물이 잘 갈리게 판 홈이나 구멍이 있다. 맷돌로 곡식을 갈려면 먼저 맷방석이나 함지, 매함지 등에 맷돌을 앉히고 나서, 맷돌을 사이에 둔 두 사람이 마주 앉아 한 사람은 위짝 구멍에 곡물을 넣고 다른 한 사...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은 1919년 3·1운동 후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 대한독립애국단의 강원도 지부인 철원군단으로 1919년 8월 결성되었다. 강원도의 조직을 총괄하며 애국단강원도단, 철원에서 조직되었고 철원에 본부를 두어 철원애국단으로 불렸다. 독립운동 자금 모금 및 송금 등 상해임시정부를 국내에서 지원...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은 1919년 3·1운동 후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 대한독립애국단의 강원도 지부인 철원군단으로 1919년 8월 결성되었다. 강원도의 조직을 총괄하며 애국단강원도단, 철원에서 조직되었고 철원에 본부를 두어 철원애국단으로 불렸다. 독립운동 자금 모금 및 송금 등 상해임시정부를 국내에서 지원...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은 1919년 3·1운동 후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 대한독립애국단의 강원도 지부인 철원군단으로 1919년 8월 결성되었다. 강원도의 조직을 총괄하며 애국단강원도단, 철원에서 조직되었고 철원에 본부를 두어 철원애국단으로 불렸다. 독립운동 자금 모금 및 송금 등 상해임시정부를 국내에서 지원...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은 1919년 3·1운동 후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 대한독립애국단의 강원도 지부인 철원군단으로 1919년 8월 결성되었다. 강원도의 조직을 총괄하며 애국단강원도단, 철원에서 조직되었고 철원에 본부를 두어 철원애국단으로 불렸다. 독립운동 자금 모금 및 송금 등 상해임시정부를 국내에서 지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철원중고등학교에 있는 일제 강점기 철원 독립운동가들을 기리는 비. 철원군은 강원도에서 3·1운동이 가장 먼저 일어난 곳으로 1919년 3월 2일 「독립선언서」가 군내에 뿌려졌고 3월 10일 철원읍을 필두로 3월 12일 갈말읍과 김화읍에서 많은 주민들이 거리로 나와 만세 시위를 벌였다. 1919년 8월에는 대한독립애국단[일명 철원애국단]이 결성되어 상하...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백합목 붓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솔붓꽃은 붓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과 러시아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이다. 예전에는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였지만, 지금은 경기도·강원도·경상북도·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솔붓꽃은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어 산림청 희귀식물과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있다. 솔붓꽃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지정되어 있는 야생생물보호구역. 야생생물보호구역[야생생물보호구역]은 「야생생물보호법」에 근거하여 멸종위기야생생물 보호구역의 지정과 절차, 관리 방법 등의 방향을 제공하여 야생동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야생생물보호구역을 지정하기 위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즉, 멸종위기야생생물의 집단 서식지와 번식지로서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지역, 멸종위...
-
남북국 시대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즉위한 고려의 초대 국왕. 왕건(王建)[877~943]은 고려를 건국한 태조(太祖)이다. 신라 말 송악군[현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일대의 유력 호족이었으나 아버지 왕융(王隆)과 함께 궁예(弓裔)에게 귀부하여 태봉(泰封)에서 시중을 역임하였다. 918년 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智謙)·배현경(裵玄慶)·홍유(洪儒) 등의 추대로 왕위에 올라 국호를 고...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양서강과 파충강에 속하는 동물. 양서류는 물과 땅 두 곳에서 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릴 때는 아가미 호흡을 하며 물에서 산다. 성체는 땅에서 살며, 폐호흡과 피부호흡을 한다. 양서류는 피부로 호흡하는 특징 때문에 심한 온도와 습도 차이를 견디지 못하여 많은 종들이 습하고 더운 열대 산림지대에 서식한다. 양서류의 피부는 항상 젖어 있으며, 피...
-
강원도 철원군 내 낮은 지대의 물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려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 강원도 철원군 지역은 1910년대에 중앙수리조합이 설치될 정도로 수리시설이 매우 발달한 지역이었다. 현재는 강원도 철원군 내에는 양수장과 취입, 집수암거, 관정 등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양수장은 하천 및 호수의 수면이 관개지역보다 낮아 자연 관개가 불가능한 경우, 양수기를 통하여 농업용수로...
-
강원도 철원군 내 낮은 지대의 물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려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 강원도 철원군 지역은 1910년대에 중앙수리조합이 설치될 정도로 수리시설이 매우 발달한 지역이었다. 현재는 강원도 철원군 내에는 양수장과 취입, 집수암거, 관정 등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양수장은 하천 및 호수의 수면이 관개지역보다 낮아 자연 관개가 불가능한 경우, 양수기를 통하여 농업용수로...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의 동북쪽에 있다. 남동쪽으로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남서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 북서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 북동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와 접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 양지 바른 곳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양지모노리라고 불리다가, 1895년 지방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지리(陽地里)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 1...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고려 시대 기와가마터. 양지리 가루매 기와요지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가루매에 있는 고려 시대 추정 기와가마터이다. 양지리 기와가마터, 양지리 기와요지라고도 부른다.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양지리 가루매에는 예부터 기와가마터가 있었다고 한다. 주변에서 다수의 기와편들이 채집되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양지리 가루매 기와...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고려 시대 기와가마터. 양지리 가루매 기와요지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가루매에 있는 고려 시대 추정 기와가마터이다. 양지리 기와가마터, 양지리 기와요지라고도 부른다.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양지리 가루매에는 예부터 기와가마터가 있었다고 한다. 주변에서 다수의 기와편들이 채집되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양지리 가루매 기와...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고려 시대 기와가마터. 양지리 가루매 기와요지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가루매에 있는 고려 시대 추정 기와가마터이다. 양지리 기와가마터, 양지리 기와요지라고도 부른다.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양지리 가루매에는 예부터 기와가마터가 있었다고 한다. 주변에서 다수의 기와편들이 채집되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양지리 가루매 기와...
-
강원도 철원군의 하천에서 서식하는 물고기. 어류는 등뼈를 가지고 있는 척추동물로, 물에서 살며 아가미 호흡을 한다. 뼈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고등어, 가자미, 참치 등과 같은 경골어류(硬骨魚類)[뼈의 일부 또는 전체가 딱딱한 뼈로 되어 있는 어류]와 상어, 가오리, 칠성장어, 먹장어 등이 포함되는 연골어류(軟骨魚類)[질긴 피부와 가벼운 연골로 되어 있는 어류]로 구분할 수 있다....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어름치는 우리나라 고유종 민물고기이다.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한강과 금강 등 분포 지역이 제한적이며, 모양과 행동이 특이하여 학술 가치가 높은 물고기이다. 수질 오염과 남획으로 개체수가 줄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어름치의 몸길이는 15~40㎝이며 체형은 원통형에 가까우나 뒤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주둥이는 길고 입술은...
-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6세 미만의 영유아를 보육하는 시설. 어린이집은 취학 전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보육시설이다. 어린이의 보호자가 근로, 질병, 기타의 사유로 돌볼 수 없을 때 국공립 단체나 민간단체 또는 직장 따위에서 보호자의 위탁을 받아 보육하고 있다. 어린이집은 「영유아보육법」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유아교육...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산성. 어음성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4리에 있는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출토 유물로 보건대,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에 해당하는 산성으로 추정된다. 어음성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출토 유물 등으로 볼 때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말 모양의 철기와 토기는 통일 신라...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산성. 어음성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4리에 있는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출토 유물로 보건대,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에 해당하는 산성으로 추정된다. 어음성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출토 유물 등으로 볼 때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말 모양의 철기와 토기는 통일 신라...
-
강원도 철원군에서 이루어지는 언론 활동과 출판 활동의 총칭. 동족상잔의 비극인 6·25전쟁의 격전지 철원군은 전쟁으로 폐허가 되어 전쟁 이후 새롭게 재건한 고장이다. 농업군이면서 군사도시인 철원군에는 많은 고향 지킴이들이 대를 이어 가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외지인들이 제2의 고향으로 삼아 살아가고 있다.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다양하게 살아가는 철원에서 지...
-
강원도 철원군에서 이루어지는 언론 활동과 출판 활동의 총칭. 동족상잔의 비극인 6·25전쟁의 격전지 철원군은 전쟁으로 폐허가 되어 전쟁 이후 새롭게 재건한 고장이다. 농업군이면서 군사도시인 철원군에는 많은 고향 지킴이들이 대를 이어 가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외지인들이 제2의 고향으로 삼아 살아가고 있다.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다양하게 살아가는 철원에서 지...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체계. 한국어 방언의 경계, 즉 방언권은 주로 지역을 중심으로 나누어져 왔다. 학자들 간 다소의 견해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방언권의 대분류는 경상도와 전라도, 제주도를 각각 하나의 방언권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를 하나로 묶어 중부 방언권으로 분류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강원도 방언은 다시 태백산맥이라는 명확한...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어름치는 우리나라 고유종 민물고기이다.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한강과 금강 등 분포 지역이 제한적이며, 모양과 행동이 특이하여 학술 가치가 높은 물고기이다. 수질 오염과 남획으로 개체수가 줄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어름치의 몸길이는 15~40㎝이며 체형은 원통형에 가까우나 뒤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주둥이는 길고 입술은...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출신의 독립운동가. 엄성훈(嚴成勳)[?~?]은 일제 강점기 대한독립애국단 강원도단(大韓獨立愛國團江原道團)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철원에서 태어나 강릉(江陵)에서 목재상을 하던 엄성훈은 1919년 9월 29일 대한독립애국단 강원도단에서 파견된 조종대(趙鍾大)의 권유로 대한독립애국단 강원도단에 가입하였다. 대한독립애국단은 1919년 5월 서울에서 신...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일대에 이루어진 상수도 건설.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의 발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 중의 하나가 상수도이다. 옛 철원읍 시가지 중심가에서 율이리로 향하는 길의 야트막한 고개가 새우젓고개이다. 새우젓고개 바로 옆 서쪽에 철원읍 시가지 상수도의 정수장 역할을 하였던 철원 수도국 터 급수탑이 있다. 당시 수도국은 금학산 골짜기인 안양골 취수...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일대에 이루어진 상수도 건설.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의 발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 중의 하나가 상수도이다. 옛 철원읍 시가지 중심가에서 율이리로 향하는 길의 야트막한 고개가 새우젓고개이다. 새우젓고개 바로 옆 서쪽에 철원읍 시가지 상수도의 정수장 역할을 하였던 철원 수도국 터 급수탑이 있다. 당시 수도국은 금학산 골짜기인 안양골 취수...
-
1948년 4월부터 1950년 9월 28일까지 공산 치하 철원의 김화 지구에 침투하여 반공 투쟁을 하였던 단체. 김화지구 화랑공작대는 8·15해방 이후 김화가 38선 이북 공산 정권에 속하자 남한으로 탈출하여 김화 지역 일원에 반공 활동의 거점을 구축하고 반공 투쟁을 감행하였던 단체이다. 김화 지역 북한군에 대한 군사정보와 공산당의 활동 상황, 주민들의 동태 등 정보를 입수하여 국...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순풍(申順豊)[1892~?]은 일제 강점기 철원에서 대한독립애국단 강원도단(大韓獨立愛國團江原道團)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신순풍은 1892년 11월 8일 지금의 철원군 철원읍 중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10월 강대려(姜大呂)의 권유로 대한독립애국단 강원도단에 가입하였다. 대한독립애국단은 1919년 5월 서울에서 신현구(申...
-
918년부터 1392년까지의 고려 시대 강원도 철원 지역의 역사. 고려는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궁예(弓裔)의 태봉(泰封)을 무너뜨리고 개창한 나라이다. 태봉의 수도 철원에서 시작되었으나 건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왕건의 세력 기반이었던 개경으로 도읍을 옮겼고, 936년에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이어진 고려 시대를 한국의 중세(中世...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산. 빈장산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작은 산으로 김응하 장군의 묘가 있는 산이다. 해발고도 320.9m의 독립된 구릉으로 주변이 현무암질 용암으로 둘러싸여 있다. 빈장산(殯葬山)은 ‘여우산(如愚山)’이나 ‘우산(愚山)’, ‘여뫼’ 또는 군량봉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빈장산에 관한 전설은 철원 지역 출신의 충무공(忠武公) 김응...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마구에 걸어 소의 여물을 담아 주던 도구. 구유는 소나 말에게 여물을 담아 먹이는 그릇으로 외양간에 설치하였다. 굵은 통나무의 속을 파내 20~50ℓ의 여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보통이고, 널빤지 나무로 짜거나 큰 돌을 움푹하게 파낸 것도 있다. 외양간의 한쪽에 소의 키에 맞추어 설치하는데, 소에게 새끼가 있거나 소가 두 마리면 구유의 길이가 길고, 통...
-
조선 후기 강원도 철원 지역 출신의 무신. 유림(柳琳)[1581~1643]은 병자호란 당시 수원 광교산 전투와 더불어 유일한 승전으로 평가되는 김화 백전 전투에서 청나라 군사를 크게 무찔렀다. 유림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字)는 여온(汝溫),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아버지는 현감 유회(柳淮)이고 어머니는 사평(司評) 박염(朴恬)의 딸 음성박씨(陰城朴氏)이다. 부모가 일찍...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산. 빈장산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작은 산으로 김응하 장군의 묘가 있는 산이다. 해발고도 320.9m의 독립된 구릉으로 주변이 현무암질 용암으로 둘러싸여 있다. 빈장산(殯葬山)은 ‘여우산(如愚山)’이나 ‘우산(愚山)’, ‘여뫼’ 또는 군량봉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빈장산에 관한 전설은 철원 지역 출신의 충무공(忠武公) 김응...
-
강원도 평강군 평강면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과 경기도 연천군을 거쳐 임진강에 유입하는 하천. 역곡천은 북한 강원도 평강군 신정리의 신성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산명리와 가단리 협곡을 거쳐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서 임진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임진강의 제1지류로서 하천의 길이는 89.3㎞이며 유역면적은 446㎢이다. 역곡천이라는 이름은 뱀처럼 구불구불하게...
-
개항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연기우(延基羽)[?~1911]는 삭녕(朔寧)[현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연천군 일대의 옛 지명] 출신으로 본관은 곡산(谷山)이다. 1908년 1월의 13도 창의군(倡義軍) 서울 진공 작전 때 선봉장으로 활약하였다. 연기호(延基浩) 또는 연봉렬(延奉烈)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연기우는 1907년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군대 시절 동료...
-
개항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연기우(延基羽)[?~1911]는 삭녕(朔寧)[현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연천군 일대의 옛 지명] 출신으로 본관은 곡산(谷山)이다. 1908년 1월의 13도 창의군(倡義軍) 서울 진공 작전 때 선봉장으로 활약하였다. 연기호(延基浩) 또는 연봉렬(延奉烈)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연기우는 1907년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군대 시절 동료...
-
강원도 철원군을 상징하는 군화. 철쭉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꽃에 독성이 있어, 진달래꽃과 달리 먹지 못한다. 진달래는 먹을 수 있는 꽃이라 하여 ‘참꽃’이라고 하고, 철쭉은 먹을 수 없어 ‘개꽃’이라고도 한다. 5월경 진달래꽃이 핀 다음 이어서 꽃이 핀다. 철쭉은 높이 1~5m 정도까지 자라고, 어린 가지에는 선모(腺毛)[물질을 분비하는 성질이 있는 식물체 표...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해마다 음력 1월 1일에 행하던 풍속. 강원도 철원군에서 설날은 시간적으로는 한 해가 시작되는 새해 새 달의 첫날인데, 구정, 음력 설, 설, 정월 초하루 등으로 불린다. 특히 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라고도 하는데 이는 모두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
-
개항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연기우(延基羽)[?~1911]는 삭녕(朔寧)[현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연천군 일대의 옛 지명] 출신으로 본관은 곡산(谷山)이다. 1908년 1월의 13도 창의군(倡義軍) 서울 진공 작전 때 선봉장으로 활약하였다. 연기호(延基浩) 또는 연봉렬(延奉烈)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연기우는 1907년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군대 시절 동료...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해마다 음력 1월 1일에 행하던 풍속. 강원도 철원군에서 설날은 시간적으로는 한 해가 시작되는 새해 새 달의 첫날인데, 구정, 음력 설, 설, 정월 초하루 등으로 불린다. 특히 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라고도 하는데 이는 모두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해마다 음력 1월 1일에 행하던 풍속. 강원도 철원군에서 설날은 시간적으로는 한 해가 시작되는 새해 새 달의 첫날인데, 구정, 음력 설, 설, 정월 초하루 등으로 불린다. 특히 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라고도 하는데 이는 모두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
-
이무를 시조로 하고 이영로를 입향조로 하는 강원도 철원군의 세거 성씨. 연안이씨의 시조는 당나라 장수였던 이무(李茂)이다. 이무는 중국 당나라 고종 때 중랑장으로 있다가 소정방(蘇定方)의 부장으로 신라에 들어와 백제 평정에 공을 세우고 연안후(延安侯)에 책봉되었다. 이후 후손들이 본관을 연안(延安)으로 삼고 세계를 이어 오며 크게 태자첨사공파·판사공파·통례문부사공파·대장군공파·밀...
-
강원도 철원군 일대와 경기도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의 지층군. 연천층군(漣川層群)은 경기도와 강원도 서부 일대에 분포하는 지층군으로 주로 연천-전곡 지역에서 발견되어 명명된 지층군이다. 철원 지역에서 연천층군은 서측 중앙부 일대에 광역적으로 분포하며, 변성사질암, 천매암질암, 천매암질 운모 편암, 변성이질암 등으로 구성된다. 연천층군이라는 명칭은 20세기 초 경기육괴를 분류하는...
-
남북국 시대 사굴산문을 열고 철원 지역에 사찰을 건립한 신라 승려. 범일(梵日)[810~889]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속명은 김품일(金品日)이다. 아버지는 명주도독 김술원(金述元)이며, 어머니는 명주[현 강원도 강릉시] 일대 유력 가문 출신인 문씨(文氏)이다. 『조당집(祖堂集)』에 어머니의 성이 지씨(支氏)로 기록되어 있으나, 지(支)는 문(文)과 자형이 비슷하여 발생한 오자...
-
조선 전기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철원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인. 김시습(金時習)[1435~1493]의 본관은 강릉(江陵)이고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隱)·췌세옹(贅世翁)이다. 시호는 청간(淸簡), 법호는 설잠(雪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안주목사 김윤주(金允柱)이고, 할아버지는 오위부장 김겸간(金謙侃)이다. 아버지는 충...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열목어는 연어과에 속하는 북방계 큰 민물고기이다. 냉수성 어종으로 수온이 약 20℃ 이하이며 비교적 얕은 계곡의 상류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수질이 1급수인 곳에서 살기 때문에 자연환경이 잘 보전된 지역인지 알 수 있는 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일부에 분포한다.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으로...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출신의 독립운동가. 염온동(廉溫東)[1898~1946]은 철원 줄신으로, 3·1운동 뒤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활약하였다. 염온동은 1898년 5월 1일 지금의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 때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1921년 4월 상해로 건너가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1923년 4...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옛 김화] 출신의 독립운동가. 염형우(廉亨雨)[1901~1930]는 1901년 지금의 철원군 김화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배재고등학교에 재학 중 서울에서 일어난 3·1운동에 참가하여 독립만세를 외쳤으며, 3월 13일에는 이춘봉(李春鳳)·장용하(張龍河)·서정기(徐廷基) 등과 함께 「8면에서 관찰한 조선의 참상」, 「반도의 목탁(木鐸)」 등 인쇄물을...
-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 원삼국 시대부터 4세기 경까지 거주한 종족 집단. 영서예(嶺西濊)는 원삼국 시대부터 4세기 경까지 강원도 철원군을 비롯한 강원도 중부·북부 영서와 철령 이서 지역에 거주한 종족 집단이다. 영서예는 예족의 한 갈래인데, 고대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 거주하던 주민은 종족별로 예족, 맥족, 한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낭림산맥 남부와 태백산맥 북부를 기준으로 이서...
-
남북국 시대 철원 지역에 사찰을 건립하고 불법을 전파한 신라 승려. 신라 하대에는 지방 호족의 대두와 함께 사상계의 일대 변혁이 일어났다. 중앙의 권력 쟁탈전에서 패배한 낙향 귀족과 토착 호족 및 군진(軍鎭) 세력 등으로 구성된 지방 호족들은 중국에서 새롭게 도입된 선종(禪宗)을 후원하며 중앙 진골 귀족 중심의 교종(敎宗)에 맞서 사상적 독립을 꾀하였다. 선종은 대체로 중국에 유학...
-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영해박씨의 세거지. 영해박씨(寧海朴氏) 시조는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인 박제상(朴堤上)이고, 중시조는 고려 때 전법사판서을 지낸 박명천(朴命天)이다. 박제상의 39세손인 박창령(朴昌齡)이 영흥소윤 재임 시 세종의 명으로 선원전(璿源殿)을 건립하고 평양서윤에 임명되어 부임지로 향하던 도중에 사망하여 지금의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원동에 묻혔다. 박창령의...
-
강원도 철원 지역의 영화 촬영지와 영화 관련 사항. 강원도 철원군은 2018년 기준으로 인구 4만 6000명의 작은 소도시로, 강원도 북서부, 한반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철원 지역은 영화·드라마의 촬영지나 배경지로서 큰 관심을 받으며 인기 장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처럼 철원이 영화 촬영지의 명소로 거듭나게 된 것은 철원의 자연환경과 역사 문화의 인문적...
-
고려 전기 지금의 강원도 철원 지역인 동주를 본관으로 하는 문신. 최석(崔奭)[?~?]의 본관은 동주(東州)[현 강원도 철원군]이다. 어릴 적 이름은 최석(崔錫)이고, 시호는 예숙(譽肅)이다. 고려 개국 공신이었던 최준옹(崔俊邕)의 5세손이며, 부인은 검교태자태보 안덕보(安德保)의 딸 순흥안씨(順興安氏)이다. 아들은 집현전대학사 판예부사를 지낸 최유청(崔惟淸)이다. 최석은 1051...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는 철원군 동송읍의 중앙부에 있으며, 북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 관우리, 동쪽으로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남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 장흥리, 서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오리의 오(五) 자와 가덕의 덕(德) 자를 따서 오덕리(五德里)라 하였다. 본래 강원도...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는 철원군 동송읍의 중앙부에 있으며, 북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 관우리, 동쪽으로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남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 장흥리, 서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오리의 오(五) 자와 가덕의 덕(德) 자를 따서 오덕리(五德里)라 하였다. 본래 강원도...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 마을 주민들이 설립한 영농조합법인. 마을공동체 사업으로 정미소를 운영하여 수익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오덕정미소영농조합법인은 2012년 1월 ‘강원도 마을기업 육성사업’에 공모하여 3월 9일에 선정되었고, 6월 마을기업 인증을 받아 20일에 설립하였다. 2012년 8월 2일에는 움사랑지역아동센터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꿈·사랑·건강이 넘치는 즐거운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자주·창의[스스로 계획하고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나눔·배려[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꿈·재능[꿈과 열정으로 재능을 키우는 어린이], 건강·문화[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이다. 오덕초등학교는 1959년 6월 22일 오덕국...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박쥐목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붉은박쥐(오렌지윗수염박쥐)는 몸 색깔이 전체적으로 선명한 주황색[오렌지색]을 띠어 황금박쥐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지만, 개체수는 많지 않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가 1:10~1:40 정도로 차이가 심하다. 산림 파괴와 자연동굴과 폐광의 입구가 폐쇄되면서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다. 붉은박쥐(...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시내를 연결하는 터널. 용화터널 인근에 있는 삼부연폭포에서 용이 승천하였다는 전설이 있어서 ‘용화’라는 이름을 차용하고 있다. 용화터널은 총 2차로이며, 길이 150m, 폭 10m, 높이 6m의 터널이다. 용화터널은 강원도 철원군에 주둔하던 5포병 군부대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용화동 주민들의 이동 편의와 군 차량의...
-
강원도 평강군 수태리에 위치하며 강원도 철원군과의 경계에 있는 산. 오성산(五聖山)은 대부분의 산지가 군사분계선 이북 북한 지역인 강원도 평강군 수태리에 있으며, 일부 산줄기가 강원도 철원군 근북면과 근동면 경계에 있다. 오성산은 태백산맥에서 분기된 광주산맥의 고봉 중의 하나로 높이가 1,062m이며, 산세가 웅대하고 수려하다. 임진강의 지류인 한탄강이 오성산에서 발원한다. 오성...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오세덕(吳世悳)[1897~1986]은 일제 강점기 철원에서 대한독립애국단 철원군단(大韓獨立愛國團鐵原郡團) 창단과 활동을 주도하였다. 오세덕은 1897년 11월 19일 지금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철원읍에서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1919년 8월 9일 서울에서 내려온 김재근(金載...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지리는 철원군 동송읍의 남부에 있으며, 남쪽에서 서쪽까지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서쪽에서 북쪽까지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 동북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접하고 있고, 동쪽으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과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오야산의 오(梧) 자와 초지동의 지(池) 자를 합하여 오지리(梧池里)라...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지리는 철원군 동송읍의 남부에 있으며, 남쪽에서 서쪽까지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서쪽에서 북쪽까지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 동북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접하고 있고, 동쪽으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과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오야산의 오(梧) 자와 초지동의 지(池) 자를 합하여 오지리(梧池里)라...
-
강원도 철원군에서 정초에 운수의 길흉을 점치는 신수점. 강원도 철원군에서는 오행(五行)인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의 다섯 글자로 점괘를 만들어 운수의 길흉을 점치는데, 이를 오행점치기라고 한다. 주로 정초에 그해의 신수를 보려고 오행점치기를 행한다. 오행점치기와 비슷한 것으로 ‘윷점’이 들 수 있는데, 오행점치기는 윷과 같은 것을 다섯 개 만들어 거기에...
-
궁예의 철원 천도 관련 설화에 등장하는 신라 하대 선승. 도선(道詵)[827~898]의 속성은 김씨(金氏)이다. 도승(道乘)이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35년 동안 옥룡사(玉龍寺)의 주지로 있었기 때문에 옥룡자(玉龍子)로 불리기도 하였다. 태종무열왕의 서얼손(庶孽孫)이라는 설이 있다. 아버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어머니에 대해서는 강씨(姜氏)라는 기록과 최씨(崔氏)라는...
-
강원도 철원군 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서면에 속하는 2개 법정리 중 북쪽에 위치한 법정리이다. 철원군 서면 와수리는 철원군 김화읍·서면·근남면의 거점 지역이자 상거래와 교통의 요충지이다. 북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 동쪽으로 철원군 근남면 육단리, 남쪽으로 철원군 서면 자등리, 서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청양리와 접하고 있다. 원래 산간 촌락이었으나 고려 시대에 청...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와수시외버스터미널은 과거 김화군 지역의 유일한 버스터미널이다. 군장병과 강원도 철원군 지역 주민들이 교외지역으로 이동할 때 주로 사용된다. 현재, 강원고속과 경기고속 두 업체에서 버스를 운행 중이다.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어서 보통 와수리시외버스터미널로 불리며, 터미널 간판에는 와수터미널이라고도 적혀 있다. 또한, 주변지...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서 채집된 청동 기 시대 간돌 유물. 와수리 발견 매장문화재 신고유물은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서 채집된 간돌 유물 4점으로, 철원 지역 청동기 시대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1985년 12월 16일 주민 이대겸이 홈자귀 1점, 반달돌칼 3점을 채집하여 신고하였으며 1987년 2월 13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하였다. 홈자귀는 전체적으로 배 모양을...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일대에 있는 청동기 시대 및 원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와수리(瓦水里) 신벌 유물산포지(遺物散布地)는 철원 와수리 유적과 주변을 포함하는 청동기 시대 및 원삼국 시대의 대규모 유물산포지이다. 2003년 와수리 일대에 대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구석기 시대 유물이 채집되어 해당 시기 유적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시굴 조사 결과 청동기...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일대에 있는 청동기 시대 및 원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와수리(瓦水里) 신벌 유물산포지(遺物散布地)는 철원 와수리 유적과 주변을 포함하는 청동기 시대 및 원삼국 시대의 대규모 유물산포지이다. 2003년 와수리 일대에 대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구석기 시대 유물이 채집되어 해당 시기 유적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시굴 조사 결과 청동기...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 마을 유적. 와수리 원삼국 유적(瓦水里原三國遺蹟)은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서 확인된 청동기 시대 및 원삼국 시대 대규모 마을 유적이다. 발굴 조사를 하여 청동기 시대 집자리 4동, 원삼국 시대 집자리 2동이 확인되었다. 원삼국 시대에 해당하는 집자리는 모두 철(凸)자 모양으로 중부 지역의 원삼국 시대 문화가 유입된 경로 및 초현...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와수시외버스터미널은 과거 김화군 지역의 유일한 버스터미널이다. 군장병과 강원도 철원군 지역 주민들이 교외지역으로 이동할 때 주로 사용된다. 현재, 강원고속과 경기고속 두 업체에서 버스를 운행 중이다.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어서 보통 와수리시외버스터미널로 불리며, 터미널 간판에는 와수터미널이라고도 적혀 있다. 또한, 주변지...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와수시외버스터미널은 과거 김화군 지역의 유일한 버스터미널이다. 군장병과 강원도 철원군 지역 주민들이 교외지역으로 이동할 때 주로 사용된다. 현재, 강원고속과 경기고속 두 업체에서 버스를 운행 중이다.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어서 보통 와수리시외버스터미널로 불리며, 터미널 간판에는 와수터미널이라고도 적혀 있다. 또한, 주변지...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우편 및 금융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 기관. 와수우체국은 강원지방우정청 철원우체국 소속 기관으로 강원도 철원군 서면 관내의 우편, 우편환, 우편대체, 예금, 보험 등의 업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와수우체국은 강원도 철원군 서면 관내의 우편 및 예금·보험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 주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와수우체국은 1965년...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서 열리는 전통시장.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철원의 전통시장이다. 5일장으로 매월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마다 장이 열리고 있으며, 현재 와수시장번영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와수전통시장의 명칭은 시장이 있는 지역의 이름인 와수리에서 차용하였다. 와수전통시장은 김화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시장으로 공식적인 기록은 없으나...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서 열리는 전통시장.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철원의 전통시장이다. 5일장으로 매월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마다 장이 열리고 있으며, 현재 와수시장번영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와수전통시장의 명칭은 시장이 있는 지역의 이름인 와수리에서 차용하였다. 와수전통시장은 김화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시장으로 공식적인 기록은 없으나...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자등현과 상해봉 등에서 발원하여 남대천에 유입하는 지방 하천. 와수천은 강원도 철원군 서면의 각흘봉, 자등현, 광덕산 등지에서 발원하여 화강, 즉 김화 남대천에 유입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와수천의 하천 연장은 17.5㎞이고 유로연장은 19.8㎞이며, 유역면적은 70.11㎢이다. 와수천은 강원도 철원군 서면에 있는 와수리라는 이름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와수천...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훈은 ‘행복한 학교 함께 꿈을 키우는 와수 어린이’이며, 교육 목표 또한 ‘행복한 학교 함께 꿈을 키우는 와수 어린이’이다. 1995년 9월 5일 와수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95년 12월 29일 「교육법」 개정으로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1996년 3월 10일 와수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문화예술 감성...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와수시외버스터미널은 과거 김화군 지역의 유일한 버스터미널이다. 군장병과 강원도 철원군 지역 주민들이 교외지역으로 이동할 때 주로 사용된다. 현재, 강원고속과 경기고속 두 업체에서 버스를 운행 중이다.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어서 보통 와수리시외버스터미널로 불리며, 터미널 간판에는 와수터미널이라고도 적혀 있다. 또한, 주변지...
-
남북국 시대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즉위한 고려의 초대 국왕. 왕건(王建)[877~943]은 고려를 건국한 태조(太祖)이다. 신라 말 송악군[현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일대의 유력 호족이었으나 아버지 왕융(王隆)과 함께 궁예(弓裔)에게 귀부하여 태봉(泰封)에서 시중을 역임하였다. 918년 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智謙)·배현경(裵玄慶)·홍유(洪儒) 등의 추대로 왕위에 올라 국호를 고...
-
개항기 강원도 철원 지역을 비롯한 임진강 유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허위(許蔿)[1855~1908]는 13도 창의군의 군사장으로 서울 진격 작전에 참가하였으며, 임진강 유역 연합 의병 부대의 총대장을 맡아 철원 일대를 무대로 활약하였다. 허위의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왕산(旺山)이다. 아버지는 허조(許祚)이며, 어머니는 진성이씨(眞城李氏)이다. 형은 허훈(許薰)·허신(許藎)·...
-
개항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왕회종(王會鍾)[1879~1925]은 1879년 11월 23일 경기도 연천군에서 태어났다.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왕영종(王榮鍾)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왕회종은 1906년 연천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김진묵(金溱默)을 부장으로 삼아 50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유격전을 펼치며 혜산진[현 북한 양강도 혜산시]...
-
남북국 시대 철원 지역을 도읍으로 건국한 궁예에게 귀부한 호족. 왕융(王隆)[?~897]은 송악군[현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을 거점으로 대대로 독자적 세력을 유지해 온 지방 호족이다. 896년 궁예가 철원을 도읍으로 삼아 건국하자 궁예에게 귀부하였다. 고려를 개국한 왕건(王建)의 아버지이다. 왕융의 본관은 개성(開城)이고, 자는 문명(文明)이다. 어릴 적 이름은 용건(龍建)이다....
-
개항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왕회종(王會鍾)[1879~1925]은 1879년 11월 23일 경기도 연천군에서 태어났다.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왕영종(王榮鍾)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왕회종은 1906년 연천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김진묵(金溱默)을 부장으로 삼아 50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유격전을 펼치며 혜산진[현 북한 양강도 혜산시]...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에 있는 왜가리의 서식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에 있는 왜가리 서식지는 철원군의 명소 중 한 곳으로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입구 가까이에 있다. 민간인출입통제선에 들어서면 일제 강점기 읍내 입구가 4만 명 가까이 될 정도로 번성하였던 철원군의 옛 철원군 청사 터와 얼음창고, 농산물검사소, 구 철원 제2금융조합 건물 터[국가등록문화재 제137호]...
-
강원도 철원군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근로 제도. 외국인 계절근로자제는 다문화가정 친지와 이웃 및 외국 협력 도시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단기 취업[C-4] 체류 자격으로 입국하여 최대 90일까지 농촌 일손을 돕도록 하는 제도이다.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로 인하여 일어나는 농번기 만성적인 일손 부족 현상의 해소하는 한편, 농한기 동안 인건비를 줄이기 위하여 실...
-
강원도 철원군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근로 제도. 외국인 계절근로자제는 다문화가정 친지와 이웃 및 외국 협력 도시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단기 취업[C-4] 체류 자격으로 입국하여 최대 90일까지 농촌 일손을 돕도록 하는 제도이다.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로 인하여 일어나는 농번기 만성적인 일손 부족 현상의 해소하는 한편, 농한기 동안 인건비를 줄이기 위하여 실...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는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유정리, 내포리, 동쪽으로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남쪽과 서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원도 철원군 서변면 외촌리로 개설되었다. 이후 서변면에서 철원면이 되었으며, 1931년 4월 1일 부령 제103호에 따라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궁예의 철원 천도 관련 설화에 등장하는 신라 하대 선승. 도선(道詵)[827~898]의 속성은 김씨(金氏)이다. 도승(道乘)이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35년 동안 옥룡사(玉龍寺)의 주지로 있었기 때문에 옥룡자(玉龍子)로 불리기도 하였다. 태종무열왕의 서얼손(庶孽孫)이라는 설이 있다. 아버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어머니에 대해서는 강씨(姜氏)라는 기록과 최씨(崔氏)라는...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포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응하 장군의 무훈을 기리는 묘비. 김응하(金應河)[1580~1619]는 강원도 철원 출신으로 조선 후기의 무신(武臣)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경의(景義), 시호(諡號)는 충무(忠武)이며 고려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이다. 1604년(선조 37) 무과에 합격하였고, 평소 김응하의 자질을 높이 산 박승종(朴承...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포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응하 장군의 무훈을 기리는 묘비. 김응하(金應河)[1580~1619]는 강원도 철원 출신으로 조선 후기의 무신(武臣)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경의(景義), 시호(諡號)는 충무(忠武)이며 고려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이다. 1604년(선조 37) 무과에 합격하였고, 평소 김응하의 자질을 높이 산 박승종(朴承...
-
강원도 철원군에서 매년 음력 4월 8일 석가모니의 탄신을 기념하는 축일과 그에 따른 민속. 석가모니(釋迦牟尼)의 탄생일인 초파일은 부처님오신날, 불탄일(佛誕日), 욕불일(浴佛日), 석탄일(釋誕日)이라고도 한다. 초파일은 석가모니 출가일(出家日)[음력 2월 8일], 열반일(涅槃日)[음력 2월 15일], 성도일(成道日)[음력 12월 8일] 등과 더불어 불교의 4대 명절 중에서 가장...
-
남북국 시대 철원 지역을 도읍으로 건국한 궁예에게 귀부한 호족. 왕융(王隆)[?~897]은 송악군[현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을 거점으로 대대로 독자적 세력을 유지해 온 지방 호족이다. 896년 궁예가 철원을 도읍으로 삼아 건국하자 궁예에게 귀부하였다. 고려를 개국한 왕건(王建)의 아버지이다. 왕융의 본관은 개성(開城)이고, 자는 문명(文明)이다. 어릴 적 이름은 용건(龍建)이다....
-
강원도 철원군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동제라는 말은 동신제, 동제, 마을 제사 등으로 불리며 지역에 따라서는 산신제, 서낭제, 용신제, 당산제, 도당굿, 당굿 등으로 불린다. 기본적으로 동제는 천신제의 역할을 포함한다. 오랜 옛날부터 가을에 가을걷이를 마치면 천신에게 감사의 제를 올린 것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기 때문...
-
강원도 철원군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동제라는 말은 동신제, 동제, 마을 제사 등으로 불리며 지역에 따라서는 산신제, 서낭제, 용신제, 당산제, 도당굿, 당굿 등으로 불린다. 기본적으로 동제는 천신제의 역할을 포함한다. 오랜 옛날부터 가을에 가을걷이를 마치면 천신에게 감사의 제를 올린 것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기 때문...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용양리에 있는 습지. 용양늪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용양리에 있는 용양보에 의하여 형성된 습지이다. DMZ 남방한계선 내에 조성된 농업용 저수지이며, 민간인 출입이 제한되었으나 최근 일반인의 출입이 허용되었다. 용양늪의 면적은 약 99㏊이다. 용양늪이 위치한 용양리(龍楊里)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암리, 양동, 신촌, 부암을 병합하여 생긴 행정구...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용양리는 철원군 김화읍의 동남쪽에 있으며, 남쪽으로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동쪽으로 철원군 근동면 광삼리, 철원군 근남면 양지리, 북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 서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 생창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암리, 양동, 신촌, 부암을 병합하면서 용암과 양동의 이름을 따 용양리...
-
강원도 철원군 원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이 사는 못이 있어서 용연(龍淵)이라 하였다. 본래 강원도 금성군 동면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천리, 동산리, 남산리를 병합하여 강원도 김화군 원동면 용연리로 개설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동시에 북한 지역에 속하였다가, 6·25전쟁으로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됨에 따라 수복되었다. 1...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 있는 산. 용정산(龍井山)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 있으며, 높이는 해발 672m이다. 금학산[946m]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의 끝에 있는 봉우리로 암석 노출지가 많다. 용정산(龍井山)은 금학산의 지맥으로 산정에 있는 우물에서 용마가 나왔다는 전설에서 그 이름이 유래하였다. 남이 장군의 용마가 나왔다는 정상의 용탕(龍湯)이 능선으로 연결된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이 살아 있는 학교, 나눔으로 행복한 학교, 소통으로 여는 학교 문화, 모두 함께 성장하는 학교를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튼튼한 몸으로 슬기롭게 배우며 바르게 행하자’이다. 용정초등학교는 1965년 3월 8일 동송국민학교 용정분교장으로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66년 11월 11일 용정국민학교로 승격하였으며,...
-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서 해마다 지내는 마을 제사. 강원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악지대이기에 예부터 산신제를 모시는 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3리에서도 해마다 음력으로 시월이 되면 날을 받아 산신에게 용화동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신철원3리는 삼부연폭포 위쪽, 용화저수지 뒤에 있는 마을로, 용화동이라 불리며 예전에는 군탄리라고도 불렸다. 용화동...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서 가신을 위하여 행하던 의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3리는 이곳의 연못에서 용이 승천하였다 하여 용화동으로 불린다. 이 마을에서는 예전에 시월상달이라 하여 음력 10월에 날을 잡아 안택제를 올렸다. 안택제는 온 가정이 평안하고 복을 달라는 의미에서 떡, 과일, 술 등의 음식을 상에 차려서 가신(家神)들에게 대접하는 의례이다. 용화동 안택제는...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절터. 용화사지(龍華寺址)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2리에 있는 절터이다. 용화사가 언제 창건되었는지 기록이 전혀 없으나 수습된 기와의 형식과 문양으로 미루어 볼 때 통일신라 시기의 사찰이라고 추정된다. 명문 기와 중에서 ‘강희□년(康熙□年)’이라고 판독되는 것이 있어서 용화사는 18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용...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절터. 용화사지(龍華寺址)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2리에 있는 절터이다. 용화사가 언제 창건되었는지 기록이 전혀 없으나 수습된 기와의 형식과 문양으로 미루어 볼 때 통일신라 시기의 사찰이라고 추정된다. 명문 기와 중에서 ‘강희□년(康熙□年)’이라고 판독되는 것이 있어서 용화사는 18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용...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인공 저수지. 용화저수지(龍華貯水池)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일원에 있으며, 기존의 늪지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 저수지이다. 용화저수지의 ‘용화(龍華)’라는 이름은 용화저수지 주변에 있는 삼부연폭포의 전설에서 차용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삼부연폭포에 있던 이무기들이 용이 되어 승천하였고 하여 삼부연폭포 인근 지역을 용화동이라고 하였고...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서 발원하여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문혜천으로 합류하는 지방 하천. 용화천(龍華川)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의 각흘봉 서사면에서 발원하여 용화저수지를 지나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문혜천으로 합류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용화천의 유역면적은 34.49㎢이며, 유로연장은 5.96㎞이다. ‘용화천(龍華川)’이라는 지명의 ‘용화(龍化)’는 용이 되었다는...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시내를 연결하는 터널. 용화터널 인근에 있는 삼부연폭포에서 용이 승천하였다는 전설이 있어서 ‘용화’라는 이름을 차용하고 있다. 용화터널은 총 2차로이며, 길이 150m, 폭 10m, 높이 6m의 터널이다. 용화터널은 강원도 철원군에 주둔하던 5포병 군부대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용화동 주민들의 이동 편의와 군 차량의...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산. 빈장산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 있는 작은 산으로 김응하 장군의 묘가 있는 산이다. 해발고도 320.9m의 독립된 구릉으로 주변이 현무암질 용암으로 둘러싸여 있다. 빈장산(殯葬山)은 ‘여우산(如愚山)’이나 ‘우산(愚山)’, ‘여뫼’ 또는 군량봉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빈장산에 관한 전설은 철원 지역 출신의 충무공(忠武公) 김응...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정치인. 김재순(金在淳)[1923~201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우암(友巖)이다. 김재순은 1923년 11월 30일 지금의 북한 평양직할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하였고, 1954년 정계에 입문하여 1960년 강원도 양구에서 5대 민의원에 당선되었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 10년 동안 강원도 철원과 화천, 양구에서...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모데미풀은 1935년 일본 식물학자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에 있는 지리산 모데미 마을에서 발견하여 모데미풀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운봉금매화라고도 한다. 모데미풀속은 모데미풀 1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만 생육하는 특산식물이다.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어 환경부 특산식물과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되...
-
조선 전기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강원도 철원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박효손(朴孝孫)[1428~1495]의 본관은 영해(寧海)이고, 호는 운와(雲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객령 박유(朴瑈)이고,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박창령(朴昌齡)이다. 아버지는 병조정랑 박랑(朴浪)이다. 형은 박규손(朴奎孫)이고, 동생은 박천손(朴千孫)이다. 박효손은 1428년(세종 10)에 태어났고, 단종...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는 철원군 김화읍의 남부 중앙에 있으며, 동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용양리, 서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남쪽으로 철원군 서면 와수리와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북쪽으로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 읍내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김화군 군내면 운흥리와 장흥리를 병합하여 운장리(雲長里)라 하였다....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 삼신산에 있는 고려 시대 석불상. 운장리 석불상(雲長里石佛像)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 삼신산에 남아 있는 석불상이다. 고려 시대 삼신사(三申寺) 경내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철원 운장리 석조여래입상(鐵原雲長里石造如來立像) 혹은 삼신사지 석조여래입상(三申寺址石造如來立像)이라고도 불린다. 운장리 석불상은 화강암 자연석의 테두리를 연마한 뒤...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를 중심으로 형성된 분지. 운장분지의 평균 표고는 약 250m이며, 화강[김화 남대천]과 그 지류들이 합류한다. 운장분지는 중심부의 행정구역이 운장리(雲長里)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운흥리(雲興里)와 장흥리(長興里)가 병합되어 운장리가 되었다. 운장분지는 안암산, 성재산, 계웅산, 천불산, 대성산 등의 산지로 둘러싸...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과 이동면에 걸쳐 있는 산. 명성산(鳴聲山) 정상의 높이는 922.6m이다.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약 1.5㎞ 지점에 있는 높이 890m의 능선이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과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및 이동면의 경계가 되는 지점이다. 궁예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전설이 남아 있다. 명성산의 별칭은 ‘울음산’이다. 전설에 따르면 왕건에게 쫓기...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산성. 명성산성(鳴聲山城)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명성산[922.6m]에 있는 포곡식(包谷式) 석성산성으로 명성(鳴城) 또는 울음성, 울음산성으로도 불인다. 대체로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사용된 성으로 알려져 있다. 명성산성에 대한 정확한 건립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궁예가 왕건에게 패하고 보개산성,...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산성. 명성산성(鳴聲山城)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명성산[922.6m]에 있는 포곡식(包谷式) 석성산성으로 명성(鳴城) 또는 울음성, 울음산성으로도 불인다. 대체로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사용된 성으로 알려져 있다. 명성산성에 대한 정확한 건립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궁예가 왕건에게 패하고 보개산성,...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산성. 명성산성(鳴聲山城)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명성산[922.6m]에 있는 포곡식(包谷式) 석성산성으로 명성(鳴城) 또는 울음성, 울음산성으로도 불인다. 대체로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사용된 성으로 알려져 있다. 명성산성에 대한 정확한 건립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궁예가 왕건에게 패하고 보개산성,...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산성. 명성산성(鳴聲山城)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명성산[922.6m]에 있는 포곡식(包谷式) 석성산성으로 명성(鳴城) 또는 울음성, 울음산성으로도 불인다. 대체로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사용된 성으로 알려져 있다. 명성산성에 대한 정확한 건립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궁예가 왕건에게 패하고 보개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