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수정산에서 발원하여 한탄강에 합류하는 지방 하천. 차탄천(車灘川)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율이리의 수정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서 한탄강에 합류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유역면적은 192.56㎢, 유로연장은 34.44㎞, 하천 연장은 30.63㎞에 이른다. 차탄천이라는 명칭은 상당히 오래 전부터 사용하여 왔다. 『신증동국여지...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 있는 철원극장에서 공연한 배우. 차홍녀(車紅女)[1918~1939]는 1918년 지금의 경기도 동두천시에서 태어났다. 출생 연도에 대해 여러 논란이 있으나, 차홍녀의 부고가 실린 『동아일보』 기사를 토대로 할 때 1918년으로 보인다. 차홍녀는 의정부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평양의 극단인 희락좌(喜樂座)에 들어가 연극을 배웠다. 1932년 단성사 전...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서식하는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 참매는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우리나라는 10월에 찾아오는 겨울 철새이다. 흔하지 않게 우리나라 텃새로 번식도 한다. 참매는 국제적으로 희귀한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각종 개발로 인한 서식지가 파괴와 먹이 부족, 남획 등 위협 요인이 있어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었다. 참매의 몸길이는 48~61㎝ 정도이다....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통화식물목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참배암차즈기는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강원도와 경기도,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물빠짐이 좋은 양지나 반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참배암차즈기는 특산식물과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참배암차즈기는 여러해살이풀로 굵은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나기도 한다.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높이...
-
남북국 시대 철원 지역을 도읍으로 건국한 궁예에게 귀부한 호족. 왕융(王隆)[?~897]은 송악군[현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을 거점으로 대대로 독자적 세력을 유지해 온 지방 호족이다. 896년 궁예가 철원을 도읍으로 삼아 건국하자 궁예에게 귀부하였다. 고려를 개국한 왕건(王建)의 아버지이다. 왕융의 본관은 개성(開城)이고, 자는 문명(文明)이다. 어릴 적 이름은 용건(龍建)이다....
-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이루어진 동학 및 천도교의 활동. 강원도에 동학이 전래된 것은 1863년 무렵이다. 강원도에는 홍천군, 영월군, 정선군, 강릉시, 양양군 등 총 13곳에 동학농민운동 유적지가 있다. 동학 농민군의 활동은 강원도 전지역에서 확인된다. 1907년 항일 의병 투쟁 당시에는 특이하게도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였다고 알려진 김수민이 의병장이 되어 연천과 철원 등지에서 활...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양지리와 철원군 김화읍 용양리 사이에 걸쳐 있는 산. 천불산(千佛山)은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양지리에서 철원군 김화읍 용양리로 이어지며 높이는 584.8m이다. 북쪽은 비무장지대 지역과 맞붙어 있다. 산림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는 산이다. 천불산(千佛山)이라는 지명은 산을 이루는 기암괴석이 불상의 모습을 한 데서 유래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
강원도 철원군에서 음력으로 6월 15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유두(流頭)는 음력으로 6월 15일로, 보름 명절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유두는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를 줄인 말로 알려져 있다.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서는 이날 맑은 시내나 산간 폭포에 가서 액과 더위를 피할 수 있기를 기원하고자 ‘물맞이’를 하면서 머리를 감고 몸을 씻은 뒤, 가지고...
-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있는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이란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식물·동물·광물·동굴·지질과 천연보호구역 그리고 자연현상 등을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한 국가지정 문화재를 말한다. 식물은 명목(名木)[왕족 및 위인이 탄생하였을 때 기념하기 위하여 심은 나무], 신목(神木)[수목 그 자체를 신체로 취급하여 매년 제사를 올렸던 나무], 당산목(堂山木)[성...
-
강원도 철원 지역에 전파되어 교인과 교회를 확장한 천주교. 한국의 천주교는 1594년(선조 27)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종군신부였던 포루투갈의 세스페데스에 의하여 조선에 들어와 전파되었다. 당시 서학(西學)이라는 신학문으로 연구되다가 점차 신앙으로 굳어졌다. 『철원성당60년사』에 따르면, 철원 지역의 초기 천주교 상황을 알 수 있다. 『철원성당60년사』에서는 철원 지역 천주교 유...
-
강원도 철원 지역에 전파되어 교인과 교회를 확장한 천주교. 한국의 천주교는 1594년(선조 27)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종군신부였던 포루투갈의 세스페데스에 의하여 조선에 들어와 전파되었다. 당시 서학(西學)이라는 신학문으로 연구되다가 점차 신앙으로 굳어졌다. 『철원성당60년사』에 따르면, 철원 지역의 초기 천주교 상황을 알 수 있다. 『철원성당60년사』에서는 철원 지역 천주교 유...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천주교 춘천교구 소속 성당 갈말성당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되었다. 철원군 갈말면 지포리 연봉재에 토기 공장을 설립한 한 신자가 다섯 가구의 신도들과 함께 살며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였던 것이 갈말성당의 시작이었다. 이후 6·25전쟁 때 피난 갔던 피난민들이 휴전과 함께 철원, 김화 지역이 수복됨에 따라 다시 돌아와 토...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천주교 춘천교구 소속 성당 갈말성당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되었다. 철원군 갈말면 지포리 연봉재에 토기 공장을 설립한 한 신자가 다섯 가구의 신도들과 함께 살며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였던 것이 갈말성당의 시작이었다. 이후 6·25전쟁 때 피난 갔던 피난민들이 휴전과 함께 철원, 김화 지역이 수복됨에 따라 다시 돌아와 토...
-
강원도 철원군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 단오(端午)는 음력 5월 5일로, 예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월과 일이 모두 홀수이면서 같은 숫자인 날은 좋은 날로 여겼는데, 특히 5월 5일인 단오는 그중에서도 양기가 가장 성한 날로 여겨 명절로 정하고 즐겨 왔다. 1518년(중종 13)에는 설날·추석과 함께 ‘3대 명절’로 정해진 적도 있었고, 한식을 더하여...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내포리에 있는 용천. 샘통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내포리에 있는 용천으로, 연중 약 15℃의 천연 샘물이 솟아나는 약 5,000㎡ 정도 크기의 연못이다. 샘통은 지하수가 솟아나오는 곳이라는 뜻으로 천통(泉桶) 또는 ‘떡보’라고도 불렸다. 마을 이름도 샘통이 있어 천통리(泉桶里)라고 하였다. 샘통은 현무암 용암대지에 형성된 용천이다. 철원-평강 용암대지에 내린...
-
강원도 철원군에서 존재하였던 원삼국 시대 유적과 문화. 강원도 철원군의 원삼국 시대 유적과 유물은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를 이어 주는 문화상을 보여 준다. 철원군에서는 초기 철기 시대 유적이나 유물이 보고된 바는 없다. 그러나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는 집자리 및 다수의 무덤 등이 발견된 점에서 향후 초기 철기 시대에 해당하는 유적이 발견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강원도 철원군의 원삼...
-
강원도 철원군에서 존재하였던 원삼국 시대 유적과 문화. 강원도 철원군의 원삼국 시대 유적과 유물은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를 이어 주는 문화상을 보여 준다. 철원군에서는 초기 철기 시대 유적이나 유물이 보고된 바는 없다. 그러나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는 집자리 및 다수의 무덤 등이 발견된 점에서 향후 초기 철기 시대에 해당하는 유적이 발견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강원도 철원군의 원삼...
-
강원도 철원군에서 존재하였던 원삼국 시대 유적과 문화. 강원도 철원군의 원삼국 시대 유적과 유물은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를 이어 주는 문화상을 보여 준다. 철원군에서는 초기 철기 시대 유적이나 유물이 보고된 바는 없다. 그러나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는 집자리 및 다수의 무덤 등이 발견된 점에서 향후 초기 철기 시대에 해당하는 유적이 발견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강원도 철원군의 원삼...
-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데 필요한 철도시설과 철도차량 및 이와 관련한 운영·지원체계가 유기적으로 구성된 운송 체계. 국내 철도 역사는 1899년 9월 일본인들에 의해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제물포를 연결하는 경인선이 개통된 것이 시작이었다. 식민지 해방 이전 철도 운영은 식민지 착취 및 일본의 강제 수탈의 수단으로 주로 활용되었다. 이후, 1905년 경부...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과 경기도 개성[현재 북한 지역] 간 철도 부설을 위하여 전개되었던 운동. 강원도 철원군 발전의 핵심 요소는 경원선 부설과 금강산 전기철도 건설이다. 철원 지역은 지정학적으로 한반도의 중앙에 위치해 있어 경원선이 설치되면서 각종 산물이 모이는 산업 및 교통의 중심지로 부각되었고 자연스럽게 정치·경제·사회적 중심지가 되었다. 강원도 철원과 경기도 개성[현재 북...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조성된 철새 탐조 테마마을.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철새마을은 휴전선 남쪽으로 6㎞ 떨어져 있는 토교저수지 인근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천연기념물인 두루미와 독수리, 그리고 쇠기러기가 비상하는 장관을 볼 수 있는 철새 조망 구역이다. 두루미, 독수리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겨울 철새들이 매년 마을을 찾아와 월동한다고 하여 철새마을이라...
-
남북국 시대 강원도 철원군 지역에 있었던 통일신라의 지방행정구역. 철성(鐵城)은 철원과 의미가 통하여 철 또는 털과 관련된 지명에서 비롯되었으리라 추정되나 분명하지 않다. 신라가 철원 지역을 차지하기 전 고구려가 지배할 때는 모을동비 또는 철원군이라 불렀다. 통일신라 경덕왕[재위 742~765]이 전국의 지명을 개정하면서 철성군(鐵城郡)으로 바꾸었으며 고려에 들어 다시 동주(東州...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 또는 삼국 시대 평지 토성. 철원 갈말읍 토성(鐵原葛末邑土城)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에 있다. 철원토성, 갈말읍 토성, 토성리 토성으로도 불린다. 방형의 평지성이라는 점에서 원삼국 시대 및 삼국 시대에 축조된 토성으로 보이나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평지성은 남북 방위를 선호하고 하천과 구릉이 만나는 충적...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 또는 삼국 시대 평지 토성. 철원 갈말읍 토성(鐵原葛末邑土城)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에 있다. 철원토성, 갈말읍 토성, 토성리 토성으로도 불린다. 방형의 평지성이라는 점에서 원삼국 시대 및 삼국 시대에 축조된 토성으로 보이나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평지성은 남북 방위를 선호하고 하천과 구릉이 만나는 충적...
-
강원도 철원군의 철원읍 화지리와 동송읍 오덕리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하던 민속놀이. 정월대보름이 되면 강원도 철원군의 철원읍 화지리와 동송읍 오덕리 두 마을의 주민들 사이에서는 석전과 횃불싸움놀이, 솔다리놓기 등의 민속놀이 행사가 벌어지는데, 이를 철원 거화대령, 또는 철원 횃불싸움놀이라고 한다. 원래 강원도 지역은 대보름이 되면 산에 올라 달맞이를 하는 풍속이 성행하였다. 그리고...
-
강원도 철원군에서 행해진 역대 군수 선거 과정과 결과에서 나타난 철원 군민들의 정치의식. 철원 군수 선거는 1995년 전국 동시 4대 지방선거에서 시작되었다. 또 기초단체장에 속하는 군수 선거는 후보자들이 정당 공천을 거쳐 소속 정당을 표방하고 출마하기 때문에 군수 선거에서의 투표 결과를 보면 유권자들의 정치 성향을 가늠하여 볼 수 있다. 이는 철원 군수 선거도 마찬가지이다. 철원...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와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를 지나는 금강산 전기철도의 교량.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鐵原金剛山電氣鐵道橋梁)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와 갈말읍 정연리를 지나는 일제 강점기 금강산 전기철도교량이다. 금강산 전기철도는 경원선의 중심역이었던 철원역에서 출발하여 종착지인 내금강까지 총 28개의 역이 있었고 길이는 116.6㎞이다. 1931년 일본...
-
1946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 건립된 노동당 철원군지부 건물. 강원도 철원군은 38선 이북에 있어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동시에 소련군이 진주하였고 인민위원회가 설치되어 공산 정권 아래에 들어갔다. 철원군은 경원선의 중심역인 철원역의 소재지였고 분단 직후 일시적이나마 북강원도 도청 소재지였을 정도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남북 분단 상황에서도 공산 정부...
-
1946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 건립된 노동당 철원군지부 건물. 강원도 철원군은 38선 이북에 있어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동시에 소련군이 진주하였고 인민위원회가 설치되어 공산 정권 아래에 들어갔다. 철원군은 경원선의 중심역인 철원역의 소재지였고 분단 직후 일시적이나마 북강원도 도청 소재지였을 정도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남북 분단 상황에서도 공산 정부...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농산물검사소. 철원 농산물검사소(鐵原農産物檢査所)는 일제 강점기 철원평야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농산물 품질을 검사하던 공공기관 건물이다. 원래 이름은 ‘곡물검사소 철원출장소’이다. 철원 농산물검사소는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 620-1번지에 있다. 철원 농산물검사소는 1936년 시멘트 벽돌 건물로 지어졌다. 일제 강점기에는 농산...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탑.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鐵原到彼岸寺三層石塔)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의 도피안사 경내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탑이다.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鐵原到彼岸寺三層石塔)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2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철제 불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原到彼岸寺鐵造毘盧遮那佛座像)은 강원도 철원군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철제 불상이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보로 재지정되었다.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철...
-
강원도 철원군에서 조성한 생태 탐방 도보 여행길.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철원한여울길 6코스 중 한 구간이며, 생태공원 및 저수지 수변 산책로 등으로 구성된 수변 둘레길이다.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학저수지와 주변 생태 탐방을 위한 수변 도보길로 조성되었다. 학저수지는 농업용수를 위하여 1923년에 설치되었다. 철원평화누리길의 한 구간으로 학저수지 일대에 서식하는 동식물 탐방과...
-
강원도 철원군에서 조성한 생태 탐방 도보 여행길.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철원한여울길 6코스 중 한 구간이며, 생태공원 및 저수지 수변 산책로 등으로 구성된 수변 둘레길이다.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학저수지와 주변 생태 탐방을 위한 수변 도보길로 조성되었다. 학저수지는 농업용수를 위하여 1923년에 설치되었다. 철원평화누리길의 한 구간으로 학저수지 일대에 서식하는 동식물 탐방과...
-
강원도 철원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관광해설사의 일상. 강원도 철원군의 문화관광해설사는 철원 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지역문화, 역사 유적, 자연환경 등에 대한 해설과 안내를 제공하고, 그 지역에 대한 이해와 관광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문 해설사를 말한다. 문화관광해설사는 문화유적지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그 지역의 자연환경, 문화, 역사, 전통 등 다양한 자원들에 대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 지경다지기는 새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다지는 작업을 일컫는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지역에서는 지경다지기를 특별한 민속놀이로서 전승하고 있는데, 바로 ‘철원 상노리 지경다지기’이다. 상노리에서는 얼었던 땅이 녹을 무렵인 3~4월이나 초가을에 주로 지경다지기를 하였다. 상노리는 6·25전쟁 전에 농토가 넓어 부유한 집들...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 혹은 삼국 시대 평지성. 성모루토성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나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이다. 성모루토성은 성모루성, 철원 성모루토성이라고도 부른다. 성모루토성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197-16번지에 있다. 지방도 제464호를 따라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에서 이길리 방...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 혹은 삼국 시대 평지성. 성모루토성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나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이다. 성모루토성은 성모루성, 철원 성모루토성이라고도 부른다. 성모루토성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197-16번지에 있다. 지방도 제464호를 따라 철원군 동송읍 대위리에서 이길리 방...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상수도 저수 탱크 시설. 철원 수도국 터 급수탑(鐵原水道局-給水塔)은 일명 ‘수도국지’라고 하며, 강원도 내 최초의 상수도 시설로 일제 강점기 구(舊) 철원 시가지 상수도 공급을 위하여 설치한 저수(貯水) 탱크 및 관리소 건물이다. 1937년 발행된 『철원읍지』에 의하면 당시 급수 인구는 500가구에 2,500명이었고, 1일 급수...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갈말읍 문혜리를 잇는 6·25전쟁 때 완공된 다리. 강원도 철원군 북방 북한 땅에서 발원한 한탄강(漢灘江)은 철원군 한가운데를 남북 방향으로 지나 포천·연천으로 흘러간다. 한탄강은 현무암 용암 대지가 움푹 파여 형성된 강이라 강 양쪽에 높이 20~30m 기암절벽이 발달하여 있다. 그래서 한탄강은 예로부터 주민들의 동서 교류를 가로막는 커다란 장애물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갈말읍 문혜리를 잇는 6·25전쟁 때 완공된 다리. 강원도 철원군 북방 북한 땅에서 발원한 한탄강(漢灘江)은 철원군 한가운데를 남북 방향으로 지나 포천·연천으로 흘러간다. 한탄강은 현무암 용암 대지가 움푹 파여 형성된 강이라 강 양쪽에 높이 20~30m 기암절벽이 발달하여 있다. 그래서 한탄강은 예로부터 주민들의 동서 교류를 가로막는 커다란 장애물이...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얼음창고 건물. 철원 얼음창고는 1936년 식당을 경영하던 일본인이 개인 사업용으로 설치한 얼음 보관 창고이다. 겨울철마다 산명호의 얼음을 채취하여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여름철에 다른 업소에 팔며 이용하였던 곳이다. 일제 강점기만 해도 대부분 얼음은 천연빙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얼음은 공급적인 측면에서는 지난 겨울이 얼마나 추웠는가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얼음창고 건물. 철원 얼음창고는 1936년 식당을 경영하던 일본인이 개인 사업용으로 설치한 얼음 보관 창고이다. 겨울철마다 산명호의 얼음을 채취하여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여름철에 다른 업소에 팔며 이용하였던 곳이다. 일제 강점기만 해도 대부분 얼음은 천연빙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얼음은 공급적인 측면에서는 지난 겨울이 얼마나 추웠는가에...
-
강원도 철원군에서 생산되는 오대쌀로 담근 막걸리. 농촌에서 쌀을 이용하여 빚는 대표적인 술이 막걸리이다. 막걸리는 쌀과 누룩으로 술을 빚어 숙성한 다음에 청주를 걸러내고, 그러고 남은 술지게미를 다시 버무려 체에 물로 걸러낸 술이다. 막걸리의 주원료가 되는 쌀의 품질에 따라 막걸리의 맛과 품질도 달라진다. 강원도 철원 지역의 ‘철원오대쌀’은 전국적인 유명 쌀 브랜드 중 하나인데,...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에 있었던 소를 사고파는 시장.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서 철원역까지는 3㎞ 정도 떨어져 있었는데, 그 사이에 남북으로 신작로가 뚫려 있었다. 철원 도심이 점차 커지면서 새로운 공공시설을 건설하려면 구도심권에 설치할지 아니면 미래를 보아서 외곽의 역세권에 설치할지 논란이 일었으며, 거주민 간에는...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 삼신산에 있는 고려 시대 석불상. 운장리 석불상(雲長里石佛像)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운장리 삼신산에 남아 있는 석불상이다. 고려 시대 삼신사(三申寺) 경내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철원 운장리 석조여래입상(鐵原雲長里石造如來立像) 혹은 삼신사지 석조여래입상(三申寺址石造如來立像)이라고도 불린다. 운장리 석불상은 화강암 자연석의 테두리를 연마한 뒤...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강원감사를 지낸 이호민의 선정을 기린 비. 이호민(李好敏)[1762~1823]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전의(全義)[충청남도 연기], 자(字)는 학여(學餘), 호(號)는 구헌(龜軒), 시호(諡號)는 효헌(孝獻)이다. 이만웅(李萬雄)의 5세손이고, 대사간 이덕부(李德孚)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이원배(李元培), 아버지는 이서회(李瑞...
-
905년 마진의 국왕 궁예가 송악군에서 철원으로 도읍을 옮긴 사건. 신라 말 철원을 도읍으로 국가를 개창하였던 궁예(弓裔)는 898년 송악군으로 천도 후 901년 국호를 고려로 정하고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904년 궁예는 국호를 마진(摩震)으로 변경하면서 통치기구를 전면 재정비하고 철원을 새로운 도읍지로 선정하였다. 철원 천도는 이듬해인 905년에 이루어졌다. 현재...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천통리에 있는 철새 도래지. 철원 철새 도래지는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이 있는 철원평야 가운데 있으며, 천연 샘물이 사계절 내내 쉬지 않고 솟아 나와 연못이 형성되어 있다. 겨울에는 땅속에서 따뜻한 물이 흘러나와 얼지 않기 때문에 철새들이 물과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철원 철새 도래지는 9월 중순~10월 중순부터 두루미·재두루미·...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천통리에 있는 철새 도래지. 철원 철새 도래지는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이 있는 철원평야 가운데 있으며, 천연 샘물이 사계절 내내 쉬지 않고 솟아 나와 연못이 형성되어 있다. 겨울에는 땅속에서 따뜻한 물이 흘러나와 얼지 않기 때문에 철새들이 물과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철원 철새 도래지는 9월 중순~10월 중순부터 두루미·재두루미·...
-
6·25전쟁 중 1·4후퇴 때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시가지를 파괴한 작전. 6·25전쟁 당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시가지는 이미 전쟁 초기에 미군 비행기 사격과 폭탄 투하로 불바다가 되었다. 결정적으로 1·4후퇴 때 미군들이 퇴각하면서 시설이 적에게 이용될 것을 염려해 노무대원들에게 모두 불질러 파괴하라고 명령하면서 도시 자체가 사라지게 되었다. 6·25전쟁 당시 국군과 인민군이...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지경리, 청양리에 속하는 정보화마을 및 농촌체험마을. 철원 토성민속마을은 삼한 시대에 성축된 철원 갈말읍 토성을 중심으로, 인근에 있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지경리, 청양5리 주민들이 조성한 정보화마을 또는 농촌체험마을이다. 철원 토성민속마을은 군청소재지인 갈말읍에서 국도 제43호를 따라 북쪽으로 11㎞ 지점에 있다. 철원 갈말읍 토성은 1...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일원에 북한에 심을 묘목을 생산하기 위하여 조성된 양묘장. 양묘장은 식물의 씨앗이나 모종, 묘목 따위를 심어서 기르는 곳을 의미한다. 철원에 조성된 통일양묘장은 북녘 땅이 예전의 푸르름을 회복할 수 있도록 북한의 산림 복구를 위한 묘목을 가꾸기 위하여 2017년 근남면 사곡리 일원에 조성되었다. 북한은 세계에서 산림 황폐화 정도가 심각한 국가에 속한다...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일원에 북한에 심을 묘목을 생산하기 위하여 조성된 양묘장. 양묘장은 식물의 씨앗이나 모종, 묘목 따위를 심어서 기르는 곳을 의미한다. 철원에 조성된 통일양묘장은 북녘 땅이 예전의 푸르름을 회복할 수 있도록 북한의 산림 복구를 위한 묘목을 가꾸기 위하여 2017년 근남면 사곡리 일원에 조성되었다. 북한은 세계에서 산림 황폐화 정도가 심각한 국가에 속한다...
-
강원도 철원군에서 조성한 생태 탐방 도보 여행길.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철원한여울길 6코스 중 한 구간이며, 생태공원 및 저수지 수변 산책로 등으로 구성된 수변 둘레길이다.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학저수지와 주변 생태 탐방을 위한 수변 도보길로 조성되었다. 학저수지는 농업용수를 위하여 1923년에 설치되었다. 철원평화누리길의 한 구간으로 학저수지 일대에 서식하는 동식물 탐방과...
-
강원도 철원군에서 조성한 생태 탐방 도보 여행길.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철원한여울길 6코스 중 한 구간이며, 생태공원 및 저수지 수변 산책로 등으로 구성된 수변 둘레길이다. 철원 학저수지 둘레길은 학저수지와 주변 생태 탐방을 위한 수변 도보길로 조성되었다. 학저수지는 농업용수를 위하여 1923년에 설치되었다. 철원평화누리길의 한 구간으로 학저수지 일대에 서식하는 동식물 탐방과...
-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 일대에서 매년 겨울에 개최되는 얼음 위를 걷는 축제. 2013년 1월 강원도 철원군에서는 제1회 철원 한탄강 얼음 트레킹 축제를 열었다. 한탄강은 협곡과 주상절리가 형성된 철원군의 주요 지질 명소로, 여름에 열리는 한탄강 래프팅으로 익히 알려진 한탄강의 절경을 겨울에도 감상하기 위하여 얼음 트레킹 축제를 마련하였다. 태봉대교에서 순담계곡까지 총 7.5㎞인데,...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청양리 화강변에 있는 관광·여가 시설. 철원 화강 쉬리캠핑장은 영농조합법인 쉬리마을추진위원회에서 화강 수변에서 운영하는 물놀이 중심의 관광·여가 시설이다. 캠핑장, 수영장, 워터슬라이드, 산책로 등을 갖추고 있다. 쉬리마을은 남대천[화강] 그린투어 거점 조성 사업[2005년~2007년]을 추진하였고, 2008년 행정안전부 ‘전국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사업...
-
강원도 철원군의 철원읍 화지리와 동송읍 오덕리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하던 민속놀이. 정월대보름이 되면 강원도 철원군의 철원읍 화지리와 동송읍 오덕리 두 마을의 주민들 사이에서는 석전과 횃불싸움놀이, 솔다리놓기 등의 민속놀이 행사가 벌어지는데, 이를 철원 거화대령, 또는 철원 횃불싸움놀이라고 한다. 원래 강원도 지역은 대보름이 되면 산에 올라 달맞이를 하는 풍속이 성행하였다. 그리고...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서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국도 제56호는 강원도 철원군에서 양양군에 이르며 강원도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는 일반국도이다. 시점과 종점의 이름을 차용하여 철원~양양선이라고도 한다. 현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서 시작하여 강원도 중북부 지역[강원도 철원군·화천군·춘천시·홍천군·양양군]을 반시계방향으로 관통한 후 양양군에 이르는 도로이다. 해당...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치안 업무를 맡아보는 행정기관. 철원경찰서는 철원군 관내 치안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철원경찰서는 1954년 9월 18일 철원군 갈말면 신철원리에 설치되었고, 철원군과 김화군[현 김화읍]에 직할 파출소와 5개 지서[동송·관전·신서·서면·근남]가 설치되었다. 1954년 11월 15일...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치안 업무를 맡아보는 행정기관. 철원경찰서는 철원군 관내 치안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철원경찰서는 1954년 9월 18일 철원군 갈말면 신철원리에 설치되었고, 철원군과 김화군[현 김화읍]에 직할 파출소와 5개 지서[동송·관전·신서·서면·근남]가 설치되었다. 1954년 11월 15일...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목표로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미래 인재 육성’을 추구하고 있다. 교훈은 ‘새롭고 부지런하며 튼튼하게’이다. 철원고등학교는 1964년 12월 12일 설립 인가를 받아 1965년 3월 20일 남녀 공학의 철원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76년 3월 20일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분리되었으며, 1980년 3월 1일 남녀 학교가 분리되었...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내포리에서 물고추냉이를 재배 및 가공하여 판매하는 영농조합법인. 철원고추냉이가영농조합법인은 현무암 지반을 뚫고 솟아나는 마르지 않는 샘인 철원읍 내포리 샘통의 샘물을 이용하여 국내 최대 규모의 물고추냉이 재배 단지를 조성하고 물고추냉이를 생산하고 있다. 물고추냉이를 재배할 때 썼던 물을 송어 양식에 재활용하여 한 농가에서 두 가지 생산이 가능한 농촌 융복합산...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내포리에서 물고추냉이를 재배 및 가공하여 판매하는 영농조합법인. 철원고추냉이가영농조합법인은 현무암 지반을 뚫고 솟아나는 마르지 않는 샘인 철원읍 내포리 샘통의 샘물을 이용하여 국내 최대 규모의 물고추냉이 재배 단지를 조성하고 물고추냉이를 생산하고 있다. 물고추냉이를 재배할 때 썼던 물을 송어 양식에 재활용하여 한 농가에서 두 가지 생산이 가능한 농촌 융복합산...
-
1899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에 철원공립소학교로 설립되었던 4년제 초등 교육 기관. 일제강점기 보통학교의 교육 목표는 “학생의 신체 발육에 유의하여 도덕교육과 국민교육을 베풀어 일상생활에 필요한 보통지식과 기예(技藝)를 습득하게 하는 것”이었으나 실상은 식민 교육을 시키고자 한 것이었다. 철원공립보통학교는 1899년 철원읍 사요리에 철원공립소학교로 개교하였다. 1906년...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에 있었던 5년제 중등학교. 일제의 식민지 교육은 황국신민을 육성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내선일체를 강조하던 당시의 교육정책으로 일본어·일본사·수신·체육 등의 교과가 강화되었다. 철원공립중학교는 1941년 4월 1일 5년제로 개교하였다. 학년당 1학급의 총 5학급이었고 교직원 수는 한국인 2명, 일본인 7명이었으며 임직원은 4명으로 교장, 교무...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종합운동장. 공설운동장은 공공 체육시설을 대표하는 시설 중 하나이다. 공공 체육시설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단체가 국민의 체육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설치, 관리, 운영하는 시설이며,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고 있다. 철원공설운동장은 철원의 유일한 종합운동장으로 1987년에 건립되었다. 강원도 내 종합운동장이 본격적...
-
강원도 철원군의 관광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관광 안내 시설. 철원관광정보센터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고석정국민관광지 내 구(舊) 철의 삼각 전적관을 리모델링하여 개관한 종합 관광 안내 시설이다. 1층과 2층에 전시관을 마련하고 철원의 대표 관광지인 ‘철원구경’[고석정, 삼부연폭포, 직탕폭포, 매월대폭포, 순담, 소이산 재송평, 용양늪, 송대소 주상절리, 학저수지 여명...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도서관. 철원교육도서관은 평생교육 및 문화·예술의 장으로서 1988년 개관되었다. 학생·학부모·지역 주민 등 이용자들의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분야의 지식·정보 제공 및 쾌적한 독서·문화 환경 조성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최신의 양서 확충과 다채로운 독서 문화 서비스 제공으로, 지역 사회의 문화를 이끌어 가는 중추 기관이자 평생교육 및 문화·예...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철원군 관할 교육행정기관 강원도철원교육지원청은 철원군의 교육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강원도교육청 산하 교육행정기관이다. 강원도철원교육지원청은 철원 지역 내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유치원 등의 운영 관리에 관한 지도 감독 업무를 담당하는 한편 철원군의 교육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교육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
-
한반도의 중부, 강원도의 서북부에 있는 기초지방자치단체. 강원도 철원군은 강원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은 경기도 연천군, 남쪽은 경기도 포천시, 강원도 화천군 등과 접하고 있고 동쪽은 강원도 화천군, 양구군과 접하고 있다. 북쪽은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미수복 강원도 철원군, 평강군, 김화군 등과 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은 해방 직후 공산치하에 있다가 6·25전쟁으로...
-
한반도의 중부, 강원도의 서북부에 있는 기초지방자치단체. 강원도 철원군은 강원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은 경기도 연천군, 남쪽은 경기도 포천시, 강원도 화천군 등과 접하고 있고 동쪽은 강원도 화천군, 양구군과 접하고 있다. 북쪽은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미수복 강원도 철원군, 평강군, 김화군 등과 접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은 해방 직후 공산치하에 있다가 6·25전쟁으로...
-
강원도 철원군에서 관내 군사시설 및 훈련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지역과 주민을 지원하는 제도. 강원도 철원 지역에 있는 군사시설과 군 훈련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지역과 주민에 대하여 보상하거나 지원하는 제도이다. 강원도 철원군은 접경지역으로서 많은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군사훈련과 사격훈련 등으로 인하여 생활환경의 저해, 경제활동 및 재산권 행사 제약으로 지역 주민은 지역발...
-
1996년 7월 하순 강원도 철원군에 발생한 대규모 수해. 철원군이 속한 강원도 북부 지역 및 경기도 일대에서는 1996년 7월 하순에 접어들면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자주 있었다. 그 결과 7월 26일부터 7월 28일까지 3일간 수해가 많이 발생하였고 대참사를 가져왔다. 호우 기간에 내린 총 강우량은 철원 527㎜, 연천 687㎜, 화천 427㎜ 이었으며, 철원군에 내린 시간당 최대...
-
강원도 철원군에서 제정된 야생 동물로 인한 주민의 피해를 예방하고 보상하는 제도. 멸종위기 야생동물, 포획 금지 야생동물 또는 유해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등을 보상함을로써 안정적인 농업경영을 하며 자영 생태계를 유지하는 한편, 야생동물과 상생·공존하기 위하여 조례로써 주민의 피해를 예방하고 보상 방법을 마련하는 제도이다. 철원군은 2005년 3월 「철원군 야생동물에 의한 농...
-
강원도 철원군에서 장기복무한 제대군인의 정착을 지원하는 제도. 장기복무제대군인[병역법 또는 군인사법에 의한 군복무를 마치고 전역하는 사람으로 장기복무한 제대군인, 5년 이상 10년 미만 현역으로 복무한 장교, 준사관 또는 부사관]이 전역을 하여 철원군 지역에 정착을 하는 경우 원활한 사회복귀를 돕기 위하여 지역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조례로서 지원하는 정책사업이다. 철원군은 2...
-
강원도 철원군에서 재향군인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지원 제도. 철원군은 장기 군 복무를 마치고 사회로 복귀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보훈의식과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예우와 지원을 하고 있다. 철원군은 재향군인의 명예를 선양하고 군민의 보훈 의식 및 애국정신 함양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재향군인의 예우에 관한 사항과 재향군인회에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을 2008년 12월 30일에 「철...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에 있는 6·25전쟁 참전기념비와 베트남전 참전기념비. 강원도 철원 지역은 수복 지구로 6·25전쟁 당시 가장 치열한 전쟁터였고 피해가 극심하였다. 휴전된 지 60년이 훨씬 흘렀지만 전쟁의 상흔은 고스란히 남아 있다. 2008년 4월 15일 6·25전쟁과 베트남전쟁에 참여한 참전 용사들의 용기와 희생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6·25 참전기념비와 베트남 참...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가정과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기관. 철원군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여성가족부로부터 지정을 받아 철원군새마을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가정 및 다문화가족 전문 지원기관이다. 가족의 유형에 상관없이 다양한 가족에 대한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사회 다양한 가정의 가족기능을 강화하고 다...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치매·중풍 등 중증 노인성 질환으로 요양이 필요하여 입소한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평안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철원 지역의 노인복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철원군노인전문요양원은 2005년 5월 27일 개원하였다. 개원 후 사회복지법인 기독교대한감리회 사회복지재단이 위탁운영하였고 입소 정원은 56명이었다. 이...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전국농민회총연맹 강원도연맹 산하 농민 단체. 전국농민회총연맹은 농민의 권익 보호 및 실현과 민족의 자주적 경제 건설을 목적으로 1990년 4월 24일 설립된 전국 농민 단체들의 연합체로 전국 9개 도연맹과 97개 시군 지역의 농민회가 활동하고 있다. 주요 활동은 농축수산물의 수입 반대 운동, 추곡수매가 인상 및 수매량 확대 요구, 농가 부채 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농업인 기술 지도를 위한 공공기관. 철원군농업기술센터는 지역 농업 경쟁력 확보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를 위하여 설립된 농업인 기술 지도 전문 기관이다. 첨단 농업기술과 지역특화 작물에 대한 기술을 보급하여 농업인의 소득 증대 및 농촌 생활을 개선하여 삶의 질이 향상된 농촌을 만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철원군농업기술센터는 195...
-
강원도 철원군에서 운영하는 농촌 체험 마을과 체험·교육농장으로 구성된 협의회. 2011년 5월 발족한 철원군농촌체험관광발전협의회는 지역의 농촌 체험 마을과 체험·교육 농장이 회원으로 참여하여 농촌 체험관광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농촌의 전통과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결성된 단체이다. 농촌 체험 마을과 체험·교육 농장 상호 간의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고, 철원군을 특색 있는 농촌...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은 1919년 3·1운동 후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 대한독립애국단의 강원도 지부인 철원군단으로 1919년 8월 결성되었다. 강원도의 조직을 총괄하며 애국단강원도단, 철원에서 조직되었고 철원에 본부를 두어 철원애국단으로 불렸다. 독립운동 자금 모금 및 송금 등 상해임시정부를 국내에서 지원...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은 1919년 3·1운동 후 서울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 대한독립애국단의 강원도 지부인 철원군단으로 1919년 8월 결성되었다. 강원도의 조직을 총괄하며 애국단강원도단, 철원에서 조직되었고 철원에 본부를 두어 철원애국단으로 불렸다. 독립운동 자금 모금 및 송금 등 상해임시정부를 국내에서 지원...
-
강원도 철원군에서 지역사회 발전과 향토 문화 창달에 기여한 철원 군민에게 수여하는 상. 철원군민상의 수상 대상자는 철원군에 주소를 두고 있는 실거주자로서 읍·면사무소와 각급 기관 및 단체를 통하여 추천 받아 접수하며, 철원군공적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발된다. 시상식은 철원군민의 날 기념행사인 태봉제 개막행사 때 열린다. 철원군은 향토 문화의 보전과 육성, 효행의 실천, 봉사,...
-
강원도 철원군이 군민의 화합과 향토 문화 전통 계승 및 풍년 농사를 자축하기 위하여 매년 10월 개최하는 행사. 철원은 궁예가 세운 태봉국의 왕도로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인심이 순후하며, 풍요롭고 광활한 농경지를 가진 곡창지대이다. 철원군은 고장의 전통과 향토 문화를 계승하고, 군민의 화합을 다지기 위하여 10월 21일을 철원군민의 날로 정하고 매년 10월 중 3~4일 동안 군민...
-
강원도 철원군에서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군민 화합 체육대회. 철원군은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군민 화합 체육대회를 통해 주민들의 화합과 연대감을 강화하고, 현대사회에서 점차 상실되어 가는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재확립할 수 있는 기회를 형성하기 위해 1982년부터 매년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철원군은 6·25전쟁 후 철원 지역을 수복한 날인 10월 21일을 ‘철원군민의 날’로...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에 있는 청소년수련원. 철원군병영체험수련원은 미래지향적 통일관과 건전한 안보관을 심어 주고, 공동체 활동을 통해 공동체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험·숙박형 안보 관광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수련원이다. 미래 사회의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미래지향적 통일관, 건전한 안보관을 심어 주기 위해 개원하였다. 다양한 수련 체험 활동을 통해 급변...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공공 의료기관. 질병을 예방하고 질 좋은 의료 서비스 제공으로 지역 주민 모두가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철원군보건소는 「철원군 조례」 제176호에 의하여 1967년 3월 2일 설치되었다. 이후 1982년 6월 21일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641-6에 모자보건센터를 신축하였다. 1998년 1월 4일...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산주와 임업인들의 조합 단체. 철원군산림조합은 산림 소유자와 임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고 자주적인 협동 조직의 활동을 위하여 설립된 산림조합이다. 철원군산림조합은 철원군의 산림보호 및 산림자원 육성, 산주와 임업인 및 조합원에게 필요한 정보·기술·정책자금 등을 지원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촉진, 구성원들의 자주적인 협...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철원군청 산하 상하수도사업소. 철원군상하수도사업소는 강원도 철원 군민에게 맑은 물 공급과 생활하수의 완벽한 처리로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자 설치된 기구이다. 철원군의 상하수도 행정과 관련된 올바른 정보를 군민에게 제공하고,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 생산과 생활하수 처리를 위한 시설 확충을 통하여 깨끗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 있는 철원군 선거 관리 기관. 철원군선거관리위원회는 철원군 내에서 이루어지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에 관한 사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헌법기관이다. 철원군선거관리위원회는 철원 지역의 선거와 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에 관한 사무를 수행함으로써 깨끗한 선거문화를 정착시키고 민주정치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3년 1월...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철원군청 산하 시설물 관리 사업소. 철원군시설관리사업소는 철원군 관내의 다양한 안보 관광 시설 및 일반 시설들을 관리하는 철원군청 산하 사업소이다. 철원군시설관리사업소는 고석정, 철원 평화전망대, 모노레일, 승리전망대, 제2땅굴, 철원근대문화유적센터, 두루미전시관, 평화문화광장, 백마고지역 등과 같은 철원군 관내 안보 관광 시설 및 기타 시설들...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다목적 실내 체육관. 철원군실내체육관은 각종 행사 및 경기 개최, 주민의 여가 생활 증진을 위하여 건립된 다목적 문화체육시설이다. 철원군실내체육관은 「철원군 체육시설관리운영조례」에 의거하여 운영하며 대관 및 이용에 필요한 모든 사항은 관련 조례의 적용을 받는다. 철원군실내체육관은 주민의 복지 증진과 심신 단련 및 자발적 체육 활동을 권장하기 위...
-
강원도 철원군 지방선거의 철원군의회 의원 선거 결과 개관. 철원군의회 의원 선거는 1991년 지방선거를 실시하여 2018년 6월 지방선거까지 치렀다. 따라서 철원군의회는 제1대 의회를 구성한 이래 햇수로 28년을 경과하는 시점에 있고, 제8대 의회가 운영 중에 있다. 강원도 철원 군민들은 그동안 철원군의회 의원 선거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보수적 정치의식을 표출하여 왔지만, 비례대표...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철원군의 정책 결정 및 행정사무 심의·의결기관. 철원군의회는 철원 군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따라 선출된 의원을 구성원으로 하는 주민의 의사를 대표하는 기관이자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다. 철원군의회는 철원 군민을 대표하여 철원군의 정책을 의결하고, 관련 집행기관과 하부 기관의 행정사무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되...
-
강원도 철원군에 속한 리(里) 단위 대표들로 구성되어 지역의 발전을 선도하고 봉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협의체. 이장은 리(里) 단위의 지역 개발과 읍·면장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주민 참여 협의체의 구성원이다. 철원군은 봉사 정신과 책임감이 투철하며 당해 리에 2년 이상 거주한 30세 이상인 자를 이장으로 임명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리를 대표하여 5가지 업무를 수행하며 리의 발전...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철원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기관. 철원군청은 기초 지방자치단체인 철원군의 행정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철원군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중앙정부와 강원도 광역자치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업무, 철원 지역공동체의 유지·발전, 지역 행정, 민원 업무, 주민 복리 증진 등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강원도 철원군은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철원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기관. 철원군청은 기초 지방자치단체인 철원군의 행정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철원군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중앙정부와 강원도 광역자치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업무, 철원 지역공동체의 유지·발전, 지역 행정, 민원 업무, 주민 복리 증진 등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강원도 철원군은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청소년을 위한 문화 복지 시설. 철원군청소년문화의집은 다양하고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청소년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생활권 내 청소년 전용 문화 공간으로 설립되었다. 철원군청소년회관 내에 있는 철원군청소년문화의집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생활권 내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과 만남의 공간을 제공하고 창의적인 청소년 문화 활동과...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청소년 상담 복지 센터. 철원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복지 지원법」 제29조에 의하여 청소년에 대한 상담, 긴급 구조, 자립, 의료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철원군에서 설립한 청소년 상담 복지 전문 기관이다. 청소년 및 부모에게 전문적인 상담 및 집단 프로그램, 위기[가능]청소년 상담 및 지원 서비스를 실시하며 청소년과 위기청소년의...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청소년수련관. 철원종합문화복지센터 내에 있는 청소년수련관으로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과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하여 행복하고 아름다운 철원을 만들어 가고자 세워진 공간이다. 철원군청소년수련관은 건강한 청소년 육성과 지역 주민의 문화생활 향상 및 복지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철원종합문화복지센터 내에 있는...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상태이다. 보건복지부의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9~17세 아동·청소년 2,510명 가운데 5.8%는 스마트폰 과의존[중독] 고위험군, 27.9%는 잠재적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통계청과 여성가족부...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한 상태이다. 보건복지부의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9~17세 아동·청소년 2,510명 가운데 5.8%는 스마트폰 과의존[중독] 고위험군, 27.9%는 잠재적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통계청과 여성가족부...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에 있는 청소년을 위한 문화 복지 시설. 철원군청소년문화의집은 다양하고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청소년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생활권 내 청소년 전용 문화 공간으로 설립되었다. 철원군청소년회관 내에 있는 철원군청소년문화의집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생활권 내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과 만남의 공간을 제공하고 창의적인 청소년 문화 활동과...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체육 단체. 철원군체육회는 지역의 생활체육 대회 개최 및 운영,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보급·지도자 배치, 시설 운영 등 생활체육 진흥과 활성화에 필요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체육 단체이다. 생활체육 활동을 범국민운동으로 발전시켜 학교체육 및 생활체육의 진흥에 이바지하고, 철원 군민의 건강과 체력 증진 및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해 설립되었다....
-
강원도 철원군의 지역축제를 주관·주최하는 단체. 철원군축제위원회는 지역의 고유성과 독특한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축제를 개최하고 발전시켜 지역문화 브랜드와 다양한 축제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하여 2016년 출범한 지역축제 주관 단체이다.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특색과 축제 콘텐츠를 결합하여 지역 주민들의 문화와 쉼의 가치를 증진시키고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철원군은...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여성복지 증진을 위한 교육시설. 철원군평생학습관은 자격증, 기술, 외국어, 취미 등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여성들의 자활 능력 배양 및 잠재 능력을 개발하여 철원 지역 여성교육의 메카로 자리 잡은 여성복지 시설이다. 여성의 참여기회를 확대하여 경쟁력 향상과 경제적 자립을 높이고, 기술·문화·교양·취미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여성...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율이리에 있는 철원군청 산하 환경자원사업소. 철원군환경자원사업소는 철원군 전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위생적으로 매립하고 안정적으로 소각처리하며, 자원회수를 위해 재활용 선별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환경 시설이다. 철원군환경자원사업소는 강원도 철원군 전역에서 발생하는 하루 40여 톤 정도 의 생활폐기물을 위생적으로 매립하고 안정적으로 소각처리하여 자연환경과...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 있었던 극장. 철원극장은 1934년 일본인에 의해 개관된 철원 지역 최초의 극장이다. 철원극장은 주식회사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무성영화와 연극을 관람할 수 있는 신문화의 전당 기능을 수행하였다. 철원극장은 1930~40년대 강원 북부 지역 문화예술의 산실로 그 명성이 높았다. 당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고의 문화 예술인들이 철원극장에서 공연...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육단리에 있는 우편 및 금융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 기관. 철원근남우체국은 강원지방우정청 철원우체국 소속 기관으로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관내의 우편, 우편환, 우편대체, 예금, 보험 등의 업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철원근남우체국은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관내의 우편 및 예금·보험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 주민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철원근남우체국은...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에 있는 근대 문화유산 박물관. 철원근대문화유적센터는 지역에 산재한 근대 문화유산의 체계적 관리를 하는 한편, 지역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지닌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가치를 재부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사업비는 국비 8억 원, 도비 2억 4000만 원, 군비 5억 6000만 원 등 총 16억 원이 투입되었다. 철원근대문화유적센터는 2009년 국고보조 사...
-
김응하를 시조로 하고 철원을 본관으로 하는 강원도 철원군의 세거 성씨. 철원김씨(鐵原金氏) 시조 김응하(金應河)[1580~1619]는 안동김씨(安東金氏) 중시조인 신라 경순왕의 후예 김방경(金方慶)의 12세손이다. 김응하는 1580년(선조 13) 지금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하갈리에서 태어났다. 1604년(선조 37)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경원판관·삼수군수·북우후 등을 역임하였...
-
조선 전기 강원도 철원 지역에 설치된 행정 기구. 강원도 철원은 1394년(태조 3) 경기좌도에 속하였고, 1413년(태종 13) 철원도호부(鐵原都護府)로 승격되었으며, 1434년(세종 16) 경기도에서 강원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선 초기 1413년 종래 각 도의 단부관(單府官)을 도호부로 고치고 종3품 도호부사를 두었다. 1415년(태종 15) 군 가운데 1,000호 이상은 도호...
-
강원도 철원군에서 천연기념물인 두루미 및 재두루미 등 철새를 보호·관리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단체. 학(鶴)이라고도 하는 두루미는 겨울철새로 과거 한반도 전역에 걸쳐 많은 개체가 도래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때의 사냥과 6·25전쟁, 밀렵, 서식지 파괴로 멸종위기에 처하였다. 국제적으로 보호하는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러시아두루미, 시베리아흰두루미, 캐나다두루미 등 다양한 두루미...
-
강원도 철원군에서 두루미의 서식지 보호와 지역 주민의 소득 창출을 도모하고자 설립된 단체. 10월 하순부터 수천 마리가 철원평야를 찾아와 겨울을 났던 겨울철새 두루미가 6·25전쟁과 밀렵으로 개체수가 줄어 1968년 5월 30일 천연기념물 제202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서식지 파괴로 점차 두루미의 개체수가 줄어들자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
-
강원도 철원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문인협회 강원지회 산하 지부. 한국문인협회 철원지부는 철원 문인들의 구심점 역할을 할 대표 문학 단체 및 종합 문예지 창간의 필요성과 철원 지역 문인의 권익을 옹호하고, 전국 문학인과의 교류를 통해 철원 지역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설립하였다. 2000년대 초에 결성된 한국문인협회 철원지부는 2003년 철원예술인총연합회에 창립 지부로 참가하며...
-
강원도 철원에 거주하거나 연고를 두고 있는 지역 문인으로 구성된 시 창작 중심의 문학 단체. 철원문학회는 지뢰, 실향민, 철조망 등의 소재를 시에 담아 분단의 현실을 통일의 문학으로 승화시키고자 결성된 문학회이다. 강원도 철원군은 한탄강, 휴전선, 분단의 현장 등 문학의 소재가 풍부한 지역이지만 문학의 불모지나 다름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지역문학을 활성화시키고 자라나는 세대들에...
-
강원도 철원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문인협회 강원지회 산하 지부. 한국문인협회 철원지부는 철원 문인들의 구심점 역할을 할 대표 문학 단체 및 종합 문예지 창간의 필요성과 철원 지역 문인의 권익을 옹호하고, 전국 문학인과의 교류를 통해 철원 지역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설립하였다. 2000년대 초에 결성된 한국문인협회 철원지부는 2003년 철원예술인총연합회에 창립 지부로 참가하며...
-
강원도 철원 지역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굴, 보전 및 지역문화를 선도하는 문화예술 기관. 철원문화원은 향토 문화의 발굴과 육성 등 지역의 향토 문화와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관으로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비영리 법인이다. 철원 지역의 전통문화 계승 및 발굴, 보존을 하여 군민 정서를 함양시키고 지역문화를 선도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철원문화원은...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철원문화원 부설 문화학교. 철원문화학교는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특수 법인체 철원문화원이 운영하는 사회교육 기관이다. 전통문화 체험과 참여 활동을 통해 향토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문화·예술 강좌를 통해 건전한 여가 선용 및 문화 활동의 기회를 확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철원문화학교는 1997년 철원문화원 부설로...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있는 의료기관. 철원병원은 철원군의 유일한 병원급 의료기관이자 지역 응급의료기관이다. 의료 취약지 소아청소년과 사업을 정부의 도움을 받아 시행하고 있으며, 2017년 12월 보건복지부 공모 사업인 ‘2018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추진 중인 분만산부인과가 개원하면 저출산 극복 및 인구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주민들로 구성된...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 있는 한국 천주교 성당. 철원성당은 1957년 6월 4일 강원도 춘천시 죽림동본당 관할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 설립되었다. 주보는 ‘주님 공현’이다. 1955년 신자였던 신동균[스테파노]이 자신의 집 승리하숙에서 공소 예절을 시작하였다. 1957년 6월 4일 죽림동본당 관할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하였다. 초대 주임신부로 크로닌[베드로] 신부가 부임하...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 있는 한국 천주교 성당. 철원성당은 1957년 6월 4일 강원도 춘천시 죽림동본당 관할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 설립되었다. 주보는 ‘주님 공현’이다. 1955년 신자였던 신동균[스테파노]이 자신의 집 승리하숙에서 공소 예절을 시작하였다. 1957년 6월 4일 죽림동본당 관할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하였다. 초대 주임신부로 크로닌[베드로] 신부가 부임하...
-
강원도 철원군에서 소비 촉진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 상권 보호와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발행하고 있는 지역 상품권. 철원사랑상품권은 가맹점으로 등록한 철원군의 매장에서 사용 가능하며, 우체국과 국민은행을 제외한 철원 내 모든 금융기관에서 구매할 수 있다. 1,000원·5,000원·1만 원·5만 원권 등 총 4종을 발행하고 있으며, 유효기간은 5년이다. 철원사랑상품권...
-
일제 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율이리에 있던 사립학교. 철원사립봉명학교는 육영사업과 신문화[개화] 교육, 민족정신을 함양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철원사립봉명학교는 독립운동가로 철원애국단[대한독립애국단 철원군단] 단장이었던 소몽 이봉하(李鳳夏)[1887~1962]가 1909년 4월 1일 설립한 2년제 사립학교였다. 이봉하는 고향인 철원군 서변면 용담[지금의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1927년 강원도 철원지역의 일본인 농장에서 오디를 따던 조선인 여자아이를 일본인 농장주가 흉기로 상해하여 전 국민의 분노가 폭발한 사건. 철원사형사건(鐵原私刑事件)은 1927년 여름 강원도 철원에 사는 8살 조선인 여자 아이가 일본인이 운영하던 과수원에 들어가 오디를 따먹다가 잡혀 두 군데나 허벅지 살점이 떨어져 나가는 상해를 입는 일이 발생하여 전 국민 분노가 폭발하였던 사건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 있는